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4, No. 9, pp.2027-2036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08 Jul 2023 Revised 24 Jul 2023 Accepted 26 Jul 2023
DOI: https://doi.org/10.9728/dcs.2023.24.9.202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관계 모바일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허세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Effect of North Korean Refugees’ Social Relationship Mobile Use 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Se-Mi Heo*
Ph.D.Student,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Correspondence to: *Se-Mi Heo Tel: +82-2-877-5361 E-mail: gjtpal@hanmail.net

Copyright ⓒ 2023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중 북한이탈주민 자료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네트워킹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보화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모바일을 기반으로 사회적자본을 확대하고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 관계 모바일 활용의 실천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ocial relations and information sharing, networking,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Data from North Korean refugees obtained from the 2022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sharing,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full mediating effect wa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this study, basic data for practical intervention in the use of social relations mobile us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were obtained.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Mobile Device Accessibility, Social Relations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삶의만족도, 사회적자본, 모바일활용, 사회적관계

Ⅰ.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디지털 기술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다. 정보의 생산과 확보, 공유는 우리 사회의 핵심자원이 되었다. 특히, 모바일 기기는 정보화 사회에서 일상을 편리하게 해주며 동시에 많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핵심적인 수단이 되었다. 또한 모바일 활용의 대중화는 시간과 거리의 제약 없이 사람들과의 교류를 증가시켜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함에 있어 기여를 하고 있다. 이처럼 모바일 활용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나 이를 사용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취약계층에게는 불평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활용의 부족은 사회적 고립을 초래하여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2020년 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방역대책이 되면서 국민들의 모바일 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의존성은 높아졌다. 2023년 현재 코로나-19는 엔데믹이 되었으나 모바일을 활용한 사람들과의 교류 및 활동은 우리 생활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활용이 개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모바일을 비롯한 디지털 활용의 어려움은 정보화 사회에 대한 부적응과 인간소외 현상으로 확대될 수 있으나, 반대로 디지털 활용을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적 관계들은 개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 일원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제도적인 규범을 비롯한 지식의 습득과 활용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형성, 남한 문화를 내면화 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재사회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2]. 그러므로 오늘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의 모바일 활용은 남한 사회에 대한 정보 습득과 활용을 넘어선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자원을 확보하는 등 삶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서 얼마나 삶의 만족도를 느끼고 살아가고 있는지는 이들이 남한 사회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와 무관하지 않으며[3] 이는 결국 사회통합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선행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소외계층의 인터넷 활용을 인터넷을 통한 사회에 참여하고 구성원으로의 역할과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는 ‘정보생산 및 공유활동’이다. 둘째, 사회관계를 유지하거나 확대하기 위해 정보기술과 서비스를 활용하는 ‘네트워킹 활동’ 이다. 셋째,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는 ‘사회참여’ 이다[4]. 이러한 활동 유형들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사회적 관계 강화를 통해 개인의 사회적 자본을 구축할 수 있다[5],[6]. 사회적 자본은 연구자마다 정의의 차이는 있으나,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공동 목표 달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자본을 이르는 말이다[7]. 인간은 누구나 사회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사회적자본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8]. 모바일 활용은 개인 간 상호작용과 공동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배우며 이와 같은 활동이 사회적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가진다고 하였다[9]-[12]. 이민자 연구에서는 모바일의 소셜네트워크 이용은 새로운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관계 유지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13].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모바일 활용과 사회적자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14] 그 이유로는 모바일 활용이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의 목적보다 생계를 위한 수단으로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으나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삶의 만족도는 삶에 대한 주관적 행복감을 의미한다[15].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자본이 일상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6], 북한이탈주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사회적자본이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하였다[17],[18]. 유사한 맥락에서 모바일 활용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과 삶의 만족도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바일 상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확대에 따라 정보 취득과 참여 기회가 많아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위와 같은 모바일을 활용한 사회관계 관련 서비스 활동은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고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사회관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활발한 정보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능이 다양화되어 일상의 많은 부분에서 편의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모바일 활용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1],[22], 인터넷 활용이 남한 사회 내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질적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이용은 정보를 얻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고 남한주민 및 북한이탈주민들과의 교류 역할을 하여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고 하였다[23].

정부에서는 일반국민 및 4대 정보취약계층(장애인, 고령층, 저소득층, 농어민)의 디지털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2004년부터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2012년부터는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민자도 조사대상에 추가하였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도 새로운 정보취약계층으로 본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공식적인 정보취약계층으로 포함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실제로 이들을 위한 디지털 지원 정책 지원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의하면[24], 북한이탈주민의 92.3%가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고 일반국민 보유율보다 6% 낮은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일반국민에 비해 보유율은 낮으나 90%가 넘는 보급률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대다수가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기를 소지하고 사용방법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닌 모바일 기기가 실제 삶에 스며들어 활용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실태조사에 의하면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은 85.1%로 일반국민에 비해 6.7% 낮은 수준이며 코로나-19로 인한 정보 서비스 이용량 변화 관련 질문에서도 사회관계가 늘었다고 답한 북한이탈주민은 38.7%로 일반국민에 비해 5.8% 낮았다.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모바일을 통한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환경 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 활용을 통한 사회적 관계 증진과 상호교류를 통한 남한 사회에서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현재 하나원 및 지역적응지원센터에서는 모바일 사용방법, 관련 프로그램을 다루는 교육에서 확장하여 상호교류를 통해 개인의 관계망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삶이 만족도를 향상하여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활용 관련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주로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소외계층을 포함한 연구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 관련 연구들은 주로 심리적 요인, 문화적응 등의 변인에 집중한 연구들이 주로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 관계 모바일 활용을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관계 관련 모바일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 문제 1. 모바일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수준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 문제 2. 모바일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수준과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Ⅱ. 본 론

2-1 연구모형

Fig. 1.

Research model

2-2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22)의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raw data) 중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조사의 모집단은 2022년 8월 1일 기준,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등록된 전국의 만 7세 이상 북한 출신 한국 국적 취득자이다. 해당 조사는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성, 연령, 입국시기, 권역별 비례할당표집으로 조사대상을 추출하였고 유효표본은 총 700명이나 본 연구에서는 결측값을 제외한 607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2-3 연구도구

1)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관련 척도는 SNS, 메신저, 개인 블로그, 커뮤니티,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여부를 측정하며 총 5개 문항, 4점척도(전혀 이용 안한다,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 다소 이용하는 편이다, 자주 이용한다)로 구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6로 나타났다.

2) 네트워킹

네트워킹 관련 척도는 인적관계 유지와 확장 활동 여부를 측정하며 총 2문항, 4점 척도(전혀 없다, 별로 없다, 가끔 있다, 자주 있다)로 구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네트워킹 활동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7로 나타났다.

3) 사회참여

사회참여와 관련된 척도는 표현적(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는 것) 및 행동적(기부 및 봉사활동, 정부/지자체/공공기관에 건의, 정책평가, 민원제기 활동을 하는 것) 사회참여 활동 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총 4문항, 4점 척도(전혀 없다, 별로 없다, 가끔 있다, 자주 있다)로 구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참여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3로 나타났다.

4) 사회적자본

사회적자본 척도는 Williams[25]가 개발한 인터넷 사회적 자본 척도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이 수정 및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망과 관련하여 본인이 동의하는 정도에 대한 질문으로 본 연구에서는 결속형 5문항, 교량형 5문항,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문항은 4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으며 총점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9로 나타났다.

5)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 측정은 Diener 등[26]이 개발한 삶의 만족도 척도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이 수정 및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4점 척도(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별로 만족하지 않는다, 다소 만족하는 편이다, 매우 만족한다)로 구성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4으로 나타났다.

6) 통제변수

성별, 연령, 소득, 탈북시기, 입국시기, 가구구성형태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였고 통제변수 처리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1, 여성=0으로 더미 처리하였다. 연령은 실제 분석에서는 연속형 변수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빈도분석을 위해 1=청소년(10세~18세), 2=청년(19세~34세), 3=중년(35세~49세), 4=장년(50세~64세), 5=노년(65세 이상)으로 등간척도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수입은 1=200만원 이하, 2=2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3=4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4=600만원 이상인 척도로 변환하였고 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탈북년도와 입국년도는 실제분석에서 연속형 변수 그대로 활용하였고 빈도분석을 위해 1=5년 미만, 2=5년 이상~10년 미만, 3=10년 이상 으로 변환하였다. 가구구성형태로는 1인가구=1, 2인가구 이상=0으로 더미 처리 하여 활용하였다.

2-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V.4.2를 사용하였다.

첫 번째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로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로 SPSS PROCESS Macro Model 4 를 활용하여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 검증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연구모형에서의 측정오차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27]. 그러나 Preacher와 Hayes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는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제시하여 보다 세밀화된 매개효과를 분석할 수 있어[27],[28] 최근 연구의 매개효과 검증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의 사례수는 5,000번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에서 신뢰구간 95% 내에서 LLCI와 ULCI 사이의 값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면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Ⅲ. 연구결과

3-1 연구 대상자 특징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1). 여성이 451명(74.3%), 남성이 156명(25.7%)로 나타났다. 연령은 중년층인 35세~49세가 265명(43.7%)로 가장 많았으며 장년층인 50세~64세가 169명(27.7%), 청년층인 19세~34세가 145명(23.9%), 노년층인 65세 이상이 22명(3.6%), 청소년층인 19세 미만이 7명(1.2%)으로 조사되었다. 가구소득으로는 2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이 306명(5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200만원 이하가 219명(36.1%), 4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이 69명(11.4%), 600만원 이상이 13명(2.1%)로 나타났다. 탈북기간으로는 10년 이상이 523명(86.2%)로 가장 많았고 5년 이상~10년 미만이 77명(12.7%), 5년 미만이 7명(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입국기간 역시 10년 이상이 472명(77.8%)로 가장 많았고 5년 이상~10년 미만이 113명(18.6%), 3년 이상~5년 미만이 22명(3.6%)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구구성 형태로는 2인가구 이상이 390명(64.3%), 1인가구가 217명(35.7%)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607)

3-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본 연구의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는 다음과 같다(표 2).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 평균은 2.54(SD=.79), 네트워킹의 평균은 2.63(SD=.90), 사회참여의 평균은 1.87(SD=.90). 사회적자본 평균은 2.79(SD=.51), 삶의만족도 평균은 2.52(SD=.56)로 나타났다. 왜도 및 첨도의 경우 정규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 모든 변수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는 독립변수인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r=.31, p<.001), 네트워킹(r=.28, p<.001), 사회참여(r=.23, p<.001),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r=.45, p<.001)과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n variables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sult

3-3 매개효과 검증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표 4, 표 5와 같다.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I

첫째, 독립변수인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와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을 투입하였다. 독립변수들이 매개변수로 가는 회귀모형(F=11.324,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14.6%(13.3%)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이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 검증 결과,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β=.247 t=4.646, p<.001), 네트워킹(β=.314. t=6.158, p<.001)이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참여는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141. t=-.249 p<.001). 즉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이 높을수록 사회적자본의 수준이 높아지며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자본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와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 그리고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를 투입하였다.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가 종속변수로 가는 회귀모형(F=23.55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8.3%(27.1%)로 나타났다. 분산팽창지수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유의성 검증 결과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β=.112 t=2.265, p<.05)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407 t=10.842, p<.001).

이후 매개효과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6). 사회참여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그리고 사회참여 모두 신뢰구간 안에 0을 포함하지 않아 사회적자본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direct effects in the model

첫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적자본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총 효과는 통계적 유의하였으며(B=.150, CI[.076~.224])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B=.079,Cl[.011~.148]). 또한 직접효과도 유의하여(B=.071, CL[.039~.105])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킹과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은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킹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며(B=.078, CI[.015~.140]) 간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 (B=.052, CI[.052~.109])하다. 그러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B=-.002, CI[-060~.057]) 완전매개를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의 경우에는 총 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방향성이 반대이므로 비일관성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에 따라 완전 매개모형으로 결과해석이 가능하다[29].


Ⅳ. 논 의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모바일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2022) 자료를 활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모바일을 통한 SNS, 메신저,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의 사회관계와 정보공유 활동은 북한이탈주민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자본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이 비대면화 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메신저, 다양한 SNS, 커뮤니티를 통해 자신의 생활을 공유하고 의견을 표명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와 사람들로부터의 느끼는 사회적지지는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

SNS와 같은 사회관계 서비스 활용도가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선행연구[19]-[21],[30]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사회관계가 사회적자본을 증가시킨다는 결과도 선행연구[31]결과를 지지한다. 소통의 단절은 사회적 고립을 야기하므로 일상화된 비대면 생활 속에서 새로운 관계 맺음이 필요하다. 남한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북한이탈주민에게 모바일을 통한 사회관계는 남한주민 혹은 북한이탈주민과 소통함에 있어 본인 노출을 최소화 하며 소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작용에 있어 심리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생활에서 느끼는 고독감, 고립감을 감소시킬 것이며 주변의 사회적 자본의 확대와 사람들의 지지를 통해 남한 사회 적응에도 긍정적 영향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킹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네트워킹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네트워킹은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을 통해서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킹과 삶의 만족도의 직접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네트워킹 관련 문항은 새로운 사람들 혹은 기존에 알고 지낸 사람들과 관계 유지를 위해 모바일 활용 여부를 물어보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활용은 대인관계를 유지함에 있어 영향을 주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북한이탈주민들이 탈북 및 입국 과정에서 어려운 환경 속에 장기간 노출 되어 상호 간의 신뢰 하는 관계를 맺기 어려운 특성을 고려한다면[32], 단순히 개인의 상호작용을 위한 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기 보다 여러 활동을 통해 실제적으로 사회적 자본을 확대하며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만을 확인하였다. 이는 완전매개효과로 북한이탈주민이 사회적 관심사에 의견을 표명하거나 기부 및 봉사활동 혹은 민원을 제기하는 활동 등을 의미하는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회적자본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는 선행연구[33]-[35]와 상이한 결과이다.

선행연구[36]에 의하면 온라인을 통한 사회참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고 자신감, 자부심을 얻을 수 있어 이는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 한다고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자본과 공적지원제도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37]에 의하면 이들의 사회적 자본 하위유형 중 집단의 전체 목표를 위한 행동을 일컫는 호혜성이 가장 높고 시민참여와 정치참여를 일컫는 참여는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해당 연구에서의 참여와 본 연구에서의 사회참여를 유사한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이는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거나 혹은 복잡하다고 느껴서 참여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회참여와 사회적자본의 관계가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38]와 다른 결과이다. 다시 말해 사회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자본 수준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39]의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대인 네트워크와 미디어에서 얻는 정보는 정치적 관심을 높이고 정치참여를 높인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추측한다면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생활 과정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들을 단순히 참여여부를 떠나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 이질감으로 인해 사회적 자본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있어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 지원과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한이탈주민들은 SNS, 메신저, 커뮤니티를 등을 통한 상호 간 교류 및 정보공유 활동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만큼 지역적응센터나 지자체에서 북한이탈주민 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통합 측면에서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이 온라인을 통해 관계를 맺고 다양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이 모바일을 활용한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는 모바일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하나원이나 지역적응센터에서 모바일 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교육과 프로그램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 관계 모바일 활용을 통해 사회적자본이 확대될 수 있도록 교육지원과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일상의 비대면으로 많이 변화하였으므로 모바일 활용은 더욱 크게 요구된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주민과 같은 정보소외계층에게 모바일 활용은 사회적 자본을 확장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기 위한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하나원, 지역적응센터 그리고 정부에서는 효과적이고 시대적 상황에 맞춘 콘텐츠와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현재 지자체에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관련 교육 중 모바일 관련 교육은 모바일 기기 활용 방법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획일적인 교육이 아닌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와 남한에서의 적응을 독려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진 맞춤형 교육지원이 요구될 것이다. 이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활용 유형에 보다 집중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 후 이벤트나 활동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교육 내용이 이들의 삶에 녹아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위의 논의 파트에서 논하지 않았으나 매개변수 검증에서 독립변수인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 그리고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을 투입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은 사회적자본 이었다. 개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공유하는 신뢰와 결속력은 생활하던 북한이라는 터전을 떠나 남한이라는 새로운 곳에 정착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적 관계 활동을 통해 외부세계에 있는 사람들을 만나고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독립변수 중 네트워킹과 사회참여는 완전매개로서 사회적자본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생활에서 경험하는 활동들을 통해 사회적자본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탈북과 입국 과정에서의 경험으로 관계를 맺음에 있어 신뢰감을 쌓는데 오랜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자본 확장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관계 및 정보공유, 네트워킹,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 활용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서비스 및 정책 지원을 수립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함에 따라 사회적 관계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지 못했다. 또한 횡단데이터를 사용함에 따라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삶의 만족도 추정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제변수를 사용하였지만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수준, 연령, 탈북 및 입국 시기 등에 대한 사회적 관계 활용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는 변인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후속 연구를 진행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N. H. Hwang, H. S. Kim, K. G. Kim, B. H. Joo, S. H. Hong, and J. H. Kim, Older Adults and the Digital Divide: Current Condi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u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jong, ISBN 978-89-6827-767-2 93330, 2020.
  • D. W. Jung, Effect of Smartphone on North Korean Defector’s Cross-Cultural Adaptation a Digital Divide Perspectiv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February 2019.
  • M. R. Kim, “The Study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by Demographic and Context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 4, No. 3, pp. 19-39, November 2007.
  • J. S. Lee and D. S. Jun, “The Impact of Internet Use on Life Satisfaction in the Age of Smart Devices,”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 24, No. 4, pp. 431-455, December 2015.
  • Y. K. Cho, Y. M. Baek, and B. Y. Kim, “How and Why Does SNS-Based Interaction Promote Perceived Social Support?: Focusing on Types of SNS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Vol. 22, No. 2, pp. 5-31, May 2014.
  • M. A. Kim, “Making of Social Capital on Cyberspace: Analysis of the On-Line Network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formation Society & Media, No. 11, pp. 25-59, June 2007.
  • J. T. Choi, W. W. Lee, and N. G. Ahn,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Factor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cale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 21, pp. 227-248, December 2016.
  • P. D. Moon and J. H.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Disabled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 Esteem,”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27, No. 3, pp. 133-160, December 2017. [https://doi.org/10.24226/jvr.2017.12.27.3.133]
  • S. J. Best and B. S. Krueger, “Online Interactions and Social Capital: Distinguishing Between New and Existing Tie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24, No. 4, pp. 395-410, November 2006. [https://doi.org/10.1177/0894439306286855]
  • H. I. Lee and Y. Bae, “A Study on the Use of Smart Phone and Social Capital -The Effect of Usage Motivation and Degree of Usage in Smart Phone on Social Capital-,” Information Society & Media, No. 21, pp. 35-71, December 2011.
  • C. H. Lee and N. W. Jung,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and Motive on Social Capital: Comparison of Open/Closed Social Med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65, No. 1, pp. 5-26, February 2014.
  • Chen, H. T. and Li, X., “The Contribution of Mobile Social Media to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amining the Role of Communicative Use, Friending and Self-disclosur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75, pp. 958-965, October 2017. [https://doi.org/10.1016/j.chb.2017.06.011]
  • H. J. Keum, “Social Media Use and Tolerance for Cultural Diversity: The Influences of Bridging Network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5, No. 4, pp. 162-186, August 2011.
  • Y. M. Kim, “A Study on the Mobile Capacity and Util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Focused on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ectation towards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 Society & Media, Vol. 21, No. 3, pp. 1-32, December 2020. [https://doi.org/10.52558/ISM.2020.12.21.3.1]
  • S. M. Choi,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ns for the Unification of Minds: Focusing on the Life Satisfaction,” North Korean Studies Review, Vol. 21, No. 1, pp. 203-205, June 2017.
  • M. J. Lee, The Impac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oci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February 2016.
  • M. J. Lee, “The Effect of Variables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aspora Studies, Vol. 9, No. 1, pp. 155-187, June 2015.
  • G. S. Yang, Research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Refugees to the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Competence, Ph.D.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August 2019.
  • M. Y. Kim and H. J. Jun,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2, No. 3, pp. 343-370, September 2017.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 J. M. Ra and H. J. Han,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Application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31, No. 1, pp. 219-248, February 2015. [https://doi.org/10.18859/ssrr.2015.02.31.1.219]
  • S. R. Um, H. R. Shin, and Y. S. Kim, “A Path Analysis of Attitudes,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Capabilit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23, No. 2, pp. 31-54, June 2020. [https://doi.org/10.22896/karis.2020.23.2.002]
  • H. Min, “North Korean Defectors’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eir Emotional States, Social Media Use, and Life Satisfaction,” Informatization Policy, Vol. 25, No. 2, pp. 67-83, June 2018.
  • H. K. Kim, “A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Usage of Internet as Social Support System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1, pp. 49-86, March 2012.
  • M. S. Choi, H. I. Yang, and H. J. Ko, 2022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aegu, NIA Ⅷ-RSE-C-22046, December 2022.
  • D. Williams,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1, No. 2, pp. 593-628, January 2006.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9.x]
  •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49, No. 1, pp. 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 K. J. Preacher and A. F. Hayes,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0, No. 3, pp. 879-891, August 2008. [https://doi.org/10.3758/brm.40.3.879]
  •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3.
  • H. Y. Kim and S. Y. Kim, “Exploring the Possible Direction of Interpreting Inconsistent Mediational Effec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9, No. 1, pp. 91-115, April 2020. [https://doi.org/10.22257/kjp.2020.3.39.1.91]
  • C. W. Jung and H. J. Choi, “Senior’ Use of Text Messages and SNS and Contact with Informal Social Network Memb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3, pp. 401-414, March 2021. [https://doi.org/10.14400/JDC.2021.19.3.401]
  • H. S. Yoon, E. K. Lee, K. A. Beum, and Y. J. Kim, “Effect of IT Education o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f Older Adul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5, pp. 283-294, May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83]
  • H. J. Kim and Y. K. Chu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daptation, Suicidal Ideation, and Self Esteem among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16, No. 1, pp. 9-46, June 2015.
  • S. B.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 9, No. 3, pp. 115-129, June 2018. [https://doi.org/10.22143/HSS21.9.3.10]
  • M. Y. Kim,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11, pp. 264-277, November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264]
  • S. K. Kim, H. R. Shin, and Y. S. Kim,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t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evel: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Online Social Engagement and Online Network Activ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7, No. 12, pp. 23-34, December 2019.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023]
  • M. Godfrey and O. Johnson, “Digital Circles of Support: Meeting the Information Needs of Older Peop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5, No. 3, pp. 633-642, May 2009. [https://doi.org/10.1016/j.chb.2008.08.016]
  • S. Y. Lee, “Social Capital and Public Support Institu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Gwangju,”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Vol. 12, No. 2, pp. 253-285, June 2019. [https://doi.org/10.14431/jms.2019.06.12.2.253]
  • S. M. Heo and T. Y.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Social Capital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58, pp. 29-55, September 2016. [https://doi.org/10.15300/jcw.2016.58.3.29]
  • S. J. Hwang and S. H. Hong, “A Study of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Media on Political 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4, pp. 351-410, December 2012.

저자소개

허세미(Se-Mi Heo)

2016년: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석사)

2016년~2017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사회복지사

2018년~2021년: 정신재활시설 마인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2021년~현 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박사과정

※관심분야:사회복지, 정신건강, 정신장애인, 북한이탈주민, 디지털융복합

Fig. 1.

Fig. 1.
Research mode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607)

Variables Category N %
Gender Male 156 25.7
Female 451 74.3
Age ≧18 year 7 1.2
19~34 year 145 23.9
35~49 year 265 43.7
50~64 year 168 27.7
65year ≦ 22 3.6
Income >200 219 36.1
200 ~ 400 306 50.4
401 ~ 600 69 11.4
600< 13 2.1
Defection Period > 5 year 7 1.2
6 ~ 10 year 77 12.7
10 year < 523 86.2
Entry Period > 5 year 22 3.6
6 ~ 10 year 113 18.6
10 year < 472 77.8
Type of Family Single-person houeshold 217 35.7
2 or more household 390 64.3

Table 2.

Main variables characteristics

Variables M SD Sk Ku
1.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Sharing 2. Networking 3. Social Participation 4. Social Capital 5. Life Satisfaction
1 2.54 .79 -.028 -.620
2 2.63 .90 -.195 -.762
3 1.87 .90 .815 -.332
4 2.79 .51 -.272 .606
5 2.52 .56 -.193 .341

Table 3.

Correlation analysis result

Variables 1 2 3 4 5
p < .05*, p < .01**, p < .001***
1 1
2 .60*** 1
3 .62*** .59*** 1
4 .27*** .30*** .08* 1
5 .31*** .28*** .23*** .45*** 1

Table 4.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

Path B SE β t F R2
p < .05*, p < .01**, p < .001***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Sharing Social Capital .160 .034 .247 4.646*** 11.324*** .146
(.133)
Networking .178 .029 .314 6.158***
Social Participation -.141 .030 -.249 -4.754***
Control variables Gender -.032 .044 .009 .225
Age .001 .002 .019 .456
Defection Period .099 .075 .076 1.317
Entry Period .009 .057 .009 .164
Income -.019 .031 -.027 -.617
Type of Family .010 .044 .009 .225

Table 5.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I

Path B SE β t F R2
p < .05*, p < .01**, p < .001***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Sharing Life Satisfaction .079 .035 .112 2.265* 23.553*** .283
(.271)
Networking -.002 .030 -.003 -.058
Social Participation .056 .030 .091 1.856
Social Capital .445 .041 .407 10.842***
Control variables Gender -.034 .045 -.027 -.758
Age .001 .002 .016 .426
Defection Period .051 .076 .035 .674
Entry Period -.106 .057 -.098 -1.862
Income .144 .031 .186 4.678***
Type of Family .116 .045 .100 2.610**

Table 6.

Indirect effects in the model

Path Effects B SE LLCl ULCI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Sharing → Social Capital → Life Satisfaction Total Effect .150 .038 .076 .224
Direct Effect .079 .035 .011 .148
Indirect Effect .071 .017 .039 .105
Networking → Social Capital → Life Satisfaction Total Effect .077 .032 .015 .140
Direct Effect -.002 .030 -.060 .057
Indirect Effect .079 .015 .052 .109
Social Participation → Social Capital → Life Satisfaction Total Effect -.007 .033 -.070 .057
Direct Effect .056 .030 -003 .116
Indirect Effect -.063 .015 -.092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