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3 , No. 4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3, No. 4, pp. 631-640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8 Feb 2022 Revised 04 Apr 2022 Accepted 07 Apr 2022
DOI: https://doi.org/10.9728/dcs.2022.23.4.631

팬데믹 상황, 장애대학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통합교육 수업 시스템 적용
정소영1
1한국복지대학교 교수학습혁신센터장

Pandemics(COVID-19), Applying a Hybrid Class System of Inclusiv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Young Jeong1
1Director of Innovation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Korea National Welfare of University, Samnam-ro 283, Pyeongtaek-si, Korea
Correspondence to : *So-Young Jeong Tel: +82-31-610-4809 E-mail: nsoyoung@knuw.ac.kr


Copyright ⓒ 2022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이 연구는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K대학에서 장애대학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신입생 218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장애대학생의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운영을 위해 보편적 설계로 적용된 실시간 심리스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하이브리드 통합수업과 원격교육 콘텐츠 제작에는 장애 통역을 모두 제공하였다.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유익하고 즐거웠다고 만족(76.1%)했고,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대학생의 통합교육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이들이 대학의 유능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양성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 트렌드에 맞는 교육정책과 제도를 보완하고, 대면수업에 주로 활용하는 공간을 비대면 수업까지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마트학습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id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lecture system built for operating the liberal arts courses of university K and of the satisfaction level surveyed for the 218 freshman participants of the classes. For the hybrid class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sychological platform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the real-time class was built for the use in the class, and the interpreter providing interpretation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cluded in the hybrid class and contents of inclusive education.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ybrid clas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satisfied(76.1%) with benefits and joys and said that it was helpful to the learn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discussion made on the necessary effort on change, the education policy and system suitable to the future education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ed to be supplemented, and the college education space mainly used for the face-to-face class also need to be re-designed innovatively to provide the universal design smart learning system beyond the time and space enabling the untact class.


Keywords: Pandemics(COVID 19),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ybrid Class, Inclusive Education, Untact
키워드: 팬데믹(코로나-19), 장애대학생, 하이브리드 수업, 통합교육, 비대면

Ⅰ. 서 론

코로나 19가 강타한 2020년의 교육계는 재난약자[1]가 속출하였다.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격리하는 새로운 대응법이 요구되어, 상호접촉과 소통이 기본이 되는 교육계에서는 학교교육을 이어갈 수 없었다[2].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을 받지 못하고, 과거에 경험한 적 없고, 준비되지 않은 온라인 강의가 실시되면서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3].

코로나 19는 혁신적인 교육 변화를 요구하여 비대면 중심의 원격교육이 부각되었다. 교육부[4]는 코로나 상황에서 학생들과 접촉하지 않고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을 권고하고, 대학이 원격수업 비중을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하였다. 정부에서 제시한 비대면 수업은 공간적 · 시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실시간 화상교육 등 동시적 · 비동시적 수업으로 개념을 정리하여, 기존의 원격교육보다 학습자의 참여와 쌍방향 소통을 중요하게 강조하였다. 대학에서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 물리적 보완이 재정립되어야 하고, 이런 관점에서 보면 원격학습은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게임 등 흥미요소가 추가되고, 실시간 소통과 토론이 가능해야 하며, 에듀테크 활용이 구체화되어야 한다[5].

감염병으로 비대면 수업은 증가되고 있지만, 부작용을 제시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학생의 학력 격차가 커지고, 기초학력은 낮아졌고, 대면 실험수업과 비교하여 비대면 수업 효과가 떨어지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들이 자기관리 역량을 높이고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교수학습 지원이 개선되어야 한다[6]-[10].

이제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맞이하였다. 팬데믹 상황의 비대면 교육은 감염병 상황과 학습자 상황을 고려해 대면과 비대면 원격수업을 적절하게 통합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학습형태가 적절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온라인 콘텐츠와 화상회의를 병행한 하이브리드 수업을 실시하였으나[11], 교사가 주도하고 학생은 제한적으로 참여하였다. 하이브리드 수업이 온 · 오프라인 학습을 병행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 온 · 오프라인 수업을 적용하였고[12]-[14], 오프라인 강의가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5]. 과거의 사례들은 현시점에서 요구하는 쌍방향 교수법 중심 하이브리드 수업과는 다른 접근으로 적용되었다.

장애대학생은 감염병으로 확대된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권을 보장받지 못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학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활발한 공간으로, 장애 · 비장애 대학생 간 친구맺기를 시도하고[16], 비장애 학생이 인식하는 장애대학생 유형을 분석하여[17] 통합교육 활성화를 지원하였다. 그럼에도 장애대학생은 여전히 많은 장벽들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고[18], 장애대학생에게 감염병으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수업은 또 하나의 장벽이 되고 있다.

교사와 보호자는 온라인 비대면 학습에 만족하지 못하고, 장애특성을 고려한 맞춤지원 부재와 상호작용 어려움을 호소하며 특수교육에서의 온라인 학습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19]. 대학은 장애대학생을 위한 수업내용 속기 지원, 온라인 수강 맞춤형 안내 등으로 학습권 보장에 노력하고 있으나 몇몇 대학은 원격교육을 위한 지원이 전무하다고 보고되었다[20]. 장애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접근이 어렵고, 콘텐츠를 읽어주는 프로그램이 호환되지 않고, 자막과 수어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21]. 부지런한 연구자는 발빠르게 코로나 상황의 비대면 학습 실태를 분석하여 장애대학생 지원 필요성을 보고하고 있으나[22]-[24], 아직은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감염병과 메타버스가 보편화되고 있는 미래의 학교교육은 시공간 초월, 쌍방향 소통이 활성화되는 온 · 오프라인 병행 하이브리드 수업이 일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장애대학생 등 학업취약계층을 포함한 보편적인 학습설계 가 수반되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교육이 뉴노멀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온라인 교육 특성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학습자 중심의 강의설계 및 개발, 상호작용 활성화 기반 구축을 통한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하고 그 결과가 학업성취로 이어지도록 교수학습 관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25].

대학은 통합교육이 일상화되어 있으나,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것처럼 팬데믹 상황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수업 시스템을 통한 통합교육 연구는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이 많이 재학하고 있는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장애대학생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 구축과 운영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상황, 장애대학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 구축과 적용은 어떠한가?

둘째, 팬데믹 상황, 장애대학생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만족도는 어떠한가?


Ⅱ. 관련 연구
2-1 코로나로 촉발된 대학 비대면 수업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은 기존의 강의 개념을 탈피하는 새로운 방식과 이전에 없던 교육환경 변화를 필요로 하였고, 시대적 흐름에 적합한 교육의 기능과 범위, 강의장 등 변화를 요구하였다[26].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강의자의 지식전달이 아닌 학생 중심의 학습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수업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에 따라 수강을 선택하도록 설계하고, 수업 및 평가방법을 명확하게 전달하여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학습활동을 구체화해야 한다[25].

팬데믹 상황에는 강의실, 교수, 학생, 교재, 수업지원, 상호작용, 평가 등 모든 학습활동이 온라인을 통해 공유될 것이다.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서도 대학 강의는 지속되는 시스템이 정착되고, 강의장에서의 대면수업과 온라인망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이 병행되는 수업형태가 보편화되어, 하이브리드형 수업이 일반화될 것이다.

Ross와 Gage[27]는 단순히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학습환경을 결합하는 단계를 넘어 학습활동, 학습매체, 학습경험, 상호작용 방식 등 다양한 요소를 결합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설계한 것을 하이브리드 모델로 정의하였다. 하이브리드 수업은 학습자가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교수자와 동시적-비동시적 상호작용을 더 활발하게 수행한다[28]. 하이브리드 수업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운영하므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테크놀로지가 결합되는 기술적 요인을 포함하는 것이 더 효과를 극대화한다고 보고되었다[29].

경기도는 O2O(Online to Offline; 이하 O2O) 디지털 학습플랫폼을 개발하고 커리큘럼을 설계하여 온 · 오프라인 학습을 연계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O2O는 AI, 빅데이터, 로봇을 활용해 1:1 맞춤학습 콘텐츠를 설계하고, 게임, 3D, AR 등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O2O 학습모델은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방식과 현장체험 실습중심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메이커스페이스 등 오프라인 공간과 연계를 확장하도록 지원한다[4].

2-2 비대면 수업에서 장애대학생의 학습권 보장

「특수교육법[30]」은 장애대학생의 교육 편의제공을 의무화하고(제31조), 동법 시행령은 원격수업을 위해 점자 및 자막 등 장애 특성에 따른 교육자료를 개발 · 보급해야 함을 규정(제20조의2)하고 있다.

장애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은 장벽없이 정보접근이 가능해야하고, 오프라인 교육과 병행된다면 물리적 · 사회적 제한없이 비장애 학생과 동일하게 교육에 참여하도록 지원되어야 한다[31]. 시각장애 대학생들은 장애특성과 관련한 학습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온라인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강의 접근성 및 이용 용이성 개선, 디지털화된 학습자료 제공 등 비대면 학습지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장애대학생들이 온라인 학습에 몰입과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다른 학습자 및 교수자와 상호작용하도록 장애친화적 학습설계를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32].

코로나 이후 장애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한 연구에서 박재우[24]는 장애대학생의 응답을 신체 · 학습 · 사회적 측면으로 정리하였다. 신체 측면에서는 기기 조작과 모니터 정보습득으로 인한 피로감이 제기되었고, 학습 측면에서는 정보습득, 참여, 주의집중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사회 측면에서는 관계형성이 어렵다고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대학생을 위한 팬데믹 상황의 교육환경 변화가 필요하고, 감염병에 대한 안전과 심리사회적 지원, 학습지원이 개선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애대학생을 위한 비대면 수업은 물리적 통합과 상호작용, 관계형성을 강화하는 사회통합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창의 · 융합적인 교육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코로나를 경험한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컴퓨터 및 시스템 지원, 심리 · 정서적 지원, 교수자의 역량이 우선순위 고려사항으로 도출되었다[22]. 이는 장애유형에 따른 맞춤지원을 제공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장애 보호자는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학습에 필요한 지원으로 비대면 교육 플랫폼 정보 제공을 요구하였고, 온라인 수업 개선안으로 교수방법 다양화, 양방향 참여 활성화, 수업 질 제고와 소통 확대 방안을 요구하였다[33].


Ⅲ.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K대학은 모든 학과에 장애대학생이 재학하여 통합교육을 받는 상황으로 수어 및 속기통역, 점역 지원 등 장애영역별 맞춤지원이 필수적으로 지원된다. 2021년도에 코로나가 지속되어 비대면과 대면수업을 병행 운영하였다. 이 연구는 신입생이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교양 교과목 운영을 위해 구축한 하이브리드 수업 시스템 적용과 운영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수강을 희망한 248명 중 만족도 조사까지 참여한 학생 218명이다.

Table 1. 
Information of Participants (n=218)
Variable N %
Gender Male 134 61.5
Female 84 38.5
Disability Disability 80 36.7
Non Disabled 138 63.0
Major Humanities Social 71 32.6
Natural Science 28 12.8
Art & Sports 63 28.9
Engineering 56 25.7
Domitory Entered 81 37.2
Home 137 62.8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남학생이 많았고, 전공계열은 인문사회가 가장 많고, 예체능, 공학, 자연과학 순으로 나타났다. 기숙사 입소자(37.2%)보다는 가정에서 비대면 수업을 받는 학생(62.8%)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2 프로그램 내용

이 연구에서 실시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은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핵심역량 향상을 위해 편성한 교과목으로 대학환경에 빨리 적응하도록 개강 주간에 집중이수제로 운영하였다. 감염병 확산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학생간 소통과 적극적인 수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액션러닝 수업으로 구성하였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와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을 체험하여 미래직업에 대비하도록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Table 2. 
Program Contents & Type
Subject 5 Fun (Liberal arts)
Period 2021. 3. 2.(Tue) ~ 3. 5.(Fri)
Topic H Content Operating Type
University Guide 3 Institutional guidance needed for college life Real time, YouTube lessons
Making a Club 3 Organizing a club that sets common learning goals Real time, non-face-to-face small group classes
Online Campus Tour 3 Exploring the school with Avatar Real time, face-to-face/ non-face classes
English Cooking Class 3 Learning english conversation while cooking Real time, non-face-to-face practice
AI Experience 3 AI application practice Real time, non-face-to-face practice
Group Dance 3 Create collective motion for flash mob songs Real time, non-face-to-face practice
Challenge Quiz 3 Take the college Topic Quiz Real time, Non-face-to-face activity classes
VR, AR Space 3 AR and VR game-based learning experience Real time, non-face-to-face practice
Task Activities 6 Individual tasks, Diagnostic evaluation
(Core Competency, Basic Learning Ability)
Anytime, Watch online content. Online survey
Total 30H

소통과 공동체역량을 중심으로 주요하게 선정한 주제는 대학생활 안내, 학습동아리 만들기, 랜선 캠퍼스 투어, 잉글리쉬 쿠킹클래스, 인공지능 체험, 집단댄스, 도전 골든벨, 가상증강 스페이스 체험이고, 개별과제활동을 포함하였다.

3-3 연구절차

이 연구의 참여자는 2021학년도 입학전형을 통해 등록한 신입생으로, 수강신청을 완료한 학생을 2월말에 최종 선정하였다. 개강전일까지 참여 학생에게 모바일과 SNS 단체알림으로 연락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 참여 여부를 조사하고, 수업 참여에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사전 점검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PC 또는 모바일을 활용해 수업에 참여하고 기숙사에 입소했거나 근거리에 거주하여 통학이 가능한 학생은 희망 여부와 사회적 거리두기 가능 범위에서 대면수업에 참여하였다.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은 실시간 대면 · 비대면 동시 수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스마트 강의실에서 이루어졌다. 스마트 강의실은 하이브리드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강사-교재-수어통역사-속기사-학생 등이 동시에 보여지도록 카메라부터 라이브 송출까지 모든 네트워크 상에서 심리스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대면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은 별도 카메라 또는 모바일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수업에 참여하고, 온라인으로 만나는 친구들이 볼 수 있도록 동일한 URL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하였다.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은 학과를 중심으로 50명 내외의 10개 조로 구성하였고, 조별로 시스템 지원 인력 1명, 보조교사 1명을 배치하였다. 시스템 지원 인력은 인터넷 접속 및 오류 등을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보조교사는 비대면으로 참여하는 학생의 수업관련 질의에 대해 응대하고, 매시간 출석관리를 담당하였다.

장애대학생에게는 장애유형에 적절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였다. 청각장애 대학생은 같은 모둠에 통합하여 분반을 편성하고 수어통역사와 속기사를 각 2명씩 배치하였고, 대면활동 수업을 희망한 학생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지원센터에 요청하여 수어통역사를 추가 배치하였다. 지체장애대학생은 PC활용 등 시스템 상에 어려움을 호소한 경우가 있어 전담 지원이 가능하도록 학습지원사를 배치하고 1:1 상시 맞춤지원을 하였다. 시각장애 대학생은 자신의 PC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에 참여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없었고,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점역 교재 또는 확대 교재를 제공하거나 파일로 제공하였다.

3-4 자료처리

이 연구에서 구축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은[그림 1]에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Fig. 1. 
Hybrid Inclusive Class System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교과목 운영 마지막날 쉬는시간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항목은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운영 만족,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척도와 선택형으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는 IBM SPSS(ver 23.0)를 활용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에 대한 응답 결과는 핵심 키워드를 텍스트마이닝하여 워드클라우드 생성기(ver 3.4)를 활용해 시각화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4-1 장애대학생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 구축 및 적용

이 연구에서 실시한 하이브리드 통합교육 수업은 장애 및 비장애 신입생이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K대학 인재양성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하고 학생이 직접 참여하여 소통하는 액션러닝으로 설계하였다. K대학은 장애와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이 모든 교수학습 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대면 · 비대면 상황에서 실시간 액션러닝이 가능하도록 이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통합교육 수업 시스템을 심리스 네트워크로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축 · 운영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은[그림 1]에 제시하였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수행한 교양 수업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실시간 온 · 오프라인 통합수업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보편적 설계가 적용된 하이브리트 통합수업 플랫폼을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심리스 네트워크 플랫폼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은 학생-강의자-교육자료-통역사 등 하위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를 상위 정보시스템에서 통합하여 층간 막힘없이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온라인 네트워크에 송출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활동이 가능하여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촉시켰다. 일부 학생은 기숙사에 입소하여 대면으로 수업에 참여를 희망하였고, 전면 비대면 수업을 지침으로 결정한 학과의 학생들은 교양 수업 참여를 위해 출석하기 어려워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장애대학생은 감염병이 확산되는 염려로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였으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싶은 욕구 또한 강하게 요구하였다. 해당 수업은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공동체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학생간 적극적인 소통이 중요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고 장애와 비장애 학생이 적극적으로 통합교육에 참여하도록 시스템 구축을 중요 요인으로 수행하였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하이브리드 운영으로 해결하기 위해 대형 강의실에 심리스 스마트 강의환경을 구축하였고, 일부 학생들은 강의장에서 대면으로 수업에 참여하였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52인치 HD TV를 통해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학생 참여는 랜선참여 또는 아바타 참여 등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형태를 적용하였다. 수업 운영내용 중 랜선 캠퍼스 투어를 예로 들면, 각 모둠에서 2명의 학생들이 아바타가 되어 통역사와 함께 학교 여기저기를 투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아바타가 수행해야 하는 미션은 랜선으로 참여하는 모둠 친구들이 협의해서 결정하고, 아바타는 장소를 방문해서 미션을 수행하고 인증 촬영을 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이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접근이 가능한 원격교육 콘텐츠 제작 툴을 지원하였다. [그림 1]에 제시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콘텐츠에는 장애대학생이 어려움없이 수업에 참여하도록 장애유형에 적절한 통역 지원을 제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자는 K대학에서 구축한 학과의 스마트 강의실과 LMS에 접속해 실시간 대면 · 비대면 수업 운영에 수어 및 속기사를 초대하여 통역 지원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이 일정기간 온라인 수강이 가능하도록 콘텐츠를 제작할 때 수어 및 속기 통역을 포함해 제작이 가능하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강의자가 콘텐츠를 제작한 이후에 수어 또는 속기 통역을 추가 요청하는 2단계 절차였고, 이제는 1단계에서 원스탑으로 콘텐츠 제작을 통합하였다. 이는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대학생들에게 통역 지원이 포함된 콘텐츠 제공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역사의 통역 업무 폭주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대학생 지원 체제를 개선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통합교육 수업 녹화 및 송출은 2분할부터 4분할까지 16개의 프레임 구성 중에서 강의자가 선택하여 창을 구성할 수 있다. 장애대학생이 수강 신청을 하지 않은 교과목은 2분할 창으로, 강의자와 수업내용(교재)만 보여지도록 구성한다. 최대 4분할로 구성된 프레임은 강의자-교재-수어통역-속기통역(자막) 포함된 구성으로 수업이 녹화되거나 송출된다.

4-2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만족도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만족도 조사는 수업에 참여한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항목은 운영 만족도,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구성하였고, 5점척도 또는 선택형 응답으로 평정하도록 구성하였다.

Table 3. 
Satisfaction Survey Results (n=218)
Question Response Results N(%) Total
Very
much
so
That’s
right
It's
normal
I don't
think so
It's not
like that
at all
The class was useful and enjoyable. 89
(40.8%)
77
(35.3%)
36
(16.5%)
12
(5.5%)
4
(1.9%)
218
(100%)
I am satisfied with the hybrid class. 46
(21.1%)
89
(40.8%)
64
(29.4%)
12
(5.5%)
7
(3.2%)
218
(100%)
Hybrid classes helped with learning activities. 60
(27.5%)
97
(44.5%)
46
(21.1%)
9
(4.1%)
6
(2.8%)
218
(100%)

학생은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이 ‘유익하고 즐거웠다’라는 문항에 매우그렇다(40.8%)와 그렇다(35.3%)라고 응답하여 양호한 만족도를 나타냈다(76.1%). ‘하이브리드형 수업에 만족한다’라는 문항에서는 만족하지 못한 학생(8.7%)에 비해 매우그렇다(21.1%)와 그렇다(40.8%)라고 응답한 학생이 월등히 많아(61.9%)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수업이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라는 문항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한 학생(6.9%)에 비해 매우그렇다(27.5%)와 그렇다(44.5%)라고 응답한 학생이 월등히 많아(72.0%)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에 대한 응답 결과는 <표 4>, <표 5>에 제시하였고, 주제어를 시각화한 분석 결과는[그림 2]에 제시하였다.

Table 4. 
Positive Thing of Hybrid Class
Question Response Results N(%) Total
Online and offline
parallel classes
Making friends
online
Non-face-to-face
action learning
classes
Adapting to
college life
in Corona
Other things
Positive of Hybrid Class 52
(23.9%)
90
(41.3%)
42
(19.3%)
19
(8.7%)
15
(6.8%)
218
(100%)

Table 5. 
Negative Thing of Hybrid Class
Question Response Results N(%) Total
Network
Environment
PC
Literacy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n-face-
to-face class
adaptation
None
Negatives of hybrid classes 20
(9.2%)
36
(16.5%)
7
(3.2%)
56
(25.7%)
99
(45.4%)
218
(100%)


Fig. 2. 
Word Cloud Analysis Results

* It can't be translated into korean word cloud.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의 긍정적인 면으로 학생들은 ‘온라인 친구사귐(41.3%)’이 가장 좋았다고 응답하였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병행수업(23.9%)’, ‘비대면 액션러닝 수업(19.3%)’, ‘코로나 속 대학생활 적응(8.7%)’ 순으로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코로나 19가 발생한 2020년은 다양한 비대면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나, 2021년은 다양한 수업설계를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통합수업의 부정적인 면으로는 없다는 응답이 높았고(45.4%), ‘비대면 수업에 적응하기(25.7%)’, ‘PC 사용능력(16.5%)’,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9.2%)’, ‘장애대학생 맞춤 지원(3.2%)’ 순으로 나타났다. 감염병의 장기화로 학생들이 비대면 원격수업을 오랫동안 경험하고 있어 변화된 수업에 적응해 가고 있지만, 모니터에 집중해야 하는 피로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 론

이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에서 장애대학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한 만족도를 중심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장애와 비장애 대학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온 · 오프라인 통합수업에 참여하도록 보편적 설계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심리스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하이브리드 통합수업과 원격교육을 위한 콘텐츠 제작에는 장애 통역 지원을 위한 통역사가 포함되었다. 하이브리드 통합교육 수업에 참여한 대부분의 장애와 비장애 학생은 유익하고 즐거웠고,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었다고 만족하였다. 가장 긍정적인 면으로 온라인으로 친구를 사귄 것이라고 답하였고, 부정적인 면은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PC 사용능력과 비대면 수업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의 어려움도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팬데믹 상황에서의 장애대학생 고등교육 학습권 강화를 위한 대학 및 정부의 노력을 제안하는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팬데믹 상황에는 장애와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하이브리드를 적용한 실시간 수업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팬데믹 상황에는 매년 백신을 접종하면서 학교교육을 받게될 것으로, 감염이 확산되면 수업은 비대면이 확대되고, 감염 상황이 줄면 대면이 확대되어 대면과 비대면 수업이 통합운영될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대학교육이 방해받지 않는 교수학습 시스템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팬데믹 상황을 계기로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기반의 역량이 강화되도록 수업모형을 다양화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가능한 수업 시스템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수업환경을 스마트한 디지털환경으로 전환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수업을 운영하고, 변화된 수업환경에서도 학생과 교수가 활발하게 상호작용을 하고, 수업 접근권에 어려움이 없는 보편적인 학습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팬데믹 상황의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운영에서는 장애대학생 등 학업취약계층 학생들의 학습권이 방해받지 않도록 접근권이 확보되어야 한다. 장애대학생의 학습권 확보를 위한 지원은 법률에 규정하고 있는 사항으로 모든 장애유형과 특성을 고려해 접근권 확보와 대체자료가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특히 갑작스럽게 확대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의 장애대학생 지원은 좀 더 보완이 구체화 될 필요가 있다.

국가차원에서 마련한 원격교육 방안에 장애대학생 접근성 강화 방안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대학의 노력도 함께 확대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기관은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장애인식 교육을 더 세심하게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는 내용를 넘어 장애유형별 특성과 구체적인 지원사항을 교육하여 장애별 맞춤지원을 실행하도록 전문성을 강화하고, 비대면 수업상황의 지원에도 빈틈이 있다면 의무교육 기회를 활용해 컨설팅을 받는다면 시간과 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권역별로 운영되는 장애지원 우수대학과 네트워킹을 하는 것도 각 대학에서 부족한 인적 · 물적 자원을 수급받는 좋은 방안으로 보인다.

셋째, 팬데믹 상황에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하이브리드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 ·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장면에서의 교수법 개발 뿐 아니라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장애대학생이 비장애 학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도록 쌍방향 접근이 제공되어야 한다. 교수자와 학생의 소통, 학생간 소통에 제한이 없는 물리적 환경을 갖추었다면, 더 나아가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한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수업을 전개하는 교수자의 미래교육체제 운영에 대한 역량이 필요하다. 교수자는 비대면 상태에서 원격으로 개별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생은 학습활동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능동적인 학습주체로 변화하도록 지도해야 한다[26]. 이를 위해 교수자는 미래지향적 수업설계능력을 강화하고, 학생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강화하여, 교수자와 학생이 상호협력하는 교수학습 혁신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기를 희망한다.

결론적으로, 팬데믹 상황에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이들이 대학의 유능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교육 트렌드에 맞는 교육정책과 제도를 보완하고, 대면수업에 주로 활용되던 대학 교육공간을 혁신적으로 재설계하여 비대면 수업까지 가능한 시공간을 뛰어넘는 보편적 설계 기반 스마트학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K국립대학의 하이브리드 통합수업 시스템 구축과 운영 사례가 팬데믹 상황에 필요한 통합교육을 활성화 할 것을 희망하나 모든 대학에 운영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비대면 교육이 확대되는 현시점에 대학의 강의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References
1. M. Nemoto, and E. Ariga, “Improvement Strategy of Social Support System with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Comparative Study of Preliminary Survey Structure on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between Korea and Japan”, Crisisonomy, Vol. 10, No. 6, pp. 67-87, June 2014.
2. KEDI, A Qualitative Study on Disadvantageous Experience of Student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2020.
3. L. McKenzie, D. Lederman, and Burke, L, Taking colleges online: How smart institutional and their leaders can approach online education now and in a postcorona virus world, Inside Higher Ed, 2020. https://www.insidehighered.com
4. Ministry of Education, Digital based higher education innovaion support system, News Report, 2020.
5. Y. I. Bae and H. R. Shin, “COVID-19, Accelerates the untact society” Issue & diagnosis, No. 2020. 5, pp. 1-26, May 2020.
6. S. J. Kwon, Education task after COVID-19: Re-examination of discrepancy inequality and role of school, Seoul Education Issue Paper, Vol. 2, No.26, pp. 1-14, 2020.
7. E. H. Kim, and J. M. Le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ies: Focused on the Smart Class of a University, Which is a Non-face-to-face Class due to COVID-19”.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 34, No. 6, pp. 1-21, December 2020.
8. J. H. Oh, Foredated future by COVID-19: From education age to learning age. Gyongi Research Institut, Issue & Diagnosis, Vol. 421, 2020.
9. W. H. Jang, Choi, M. J., & Hong, H. J.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Non-face-to-face Experimental Class at University with COVID-19 Pandemic”.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0, No. 17, pp. 937-966, September 2020.
10. The Guardian, Attainment gap between poor pupils and their peers in England is widening. 2020. https://www.theguardian.com/education
11. J. S. Song, S. M. Jung, J. M. Lee, J. M. Kim, and H. J. Cha, “Analysis of English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rough a Hybrid Model using Online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2, No. 3, pp. 31-40, May 2009.
12. B. S. Choi, and S. M. Yoo, “Investigation of H model blended e-learning technique in enhanced effectiveness of class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6, No. 3, pp. 49-60, May 2013.
13. Y. K. Cho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asic Chinese sign Language Model Using Blended Learning”,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Vol. 13, No. 12, pp. 1-21, November 2011.
14. G. Wilson, Teacher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case studies of ICT-enhanced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08.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41821329
15. W. Y. Bong, and G. C. Jeong,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tilizing Hybrid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2, pp. 513-524, October 2016.
16. H. Y. Yoon, and B. J. Jeon, “A Decisive Factors on the Attitude for the Buddy between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se of A Universit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14, No. 3, pp. 133-148. September 2013.
17. B. S. Seo, and J. K. Park, “An Analysis on Awareness Types of Colleg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16, No. 2, pp. 649-679, June 2015.
18. M. W. Ok, Y. H. Pyo, and J. S. Hong,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Difficulties Related to College Lif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Brain Lesion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21, No. 4, pp. 93-124, December 2020.
19. D. Y. Kim, and J. H. Choi,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Online Learning due to COVID-19”, Kore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55, No. 2, pp. 85-108, September 2020.
20. UNN, University's non-face-to-face class, emergency.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7073
21. Newspim,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n blind spots due to prolonged COVID-19. 202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420000114
22. K. O. Park, and J. Y. Kim, “Needs Analysis of Online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ing COVID-19”,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Vol. 60, No. 2, pp. 229-254, June 2021.
23. J. W. Park, “The Reality and Problem of Non-face-to-face Instuection According to the COVID-19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 19, No. 3, pp. 31-53, August 2020.
24. J. W. Park, “Review on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Experienced b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ased on Lowenfeld’s Theory”, The Korea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36, No. 4, pp. 187-210, December 2020.
25. T. H. Ru, How to design and operate online classes efficiently in the post-corona era, Education Policy Forum, Vol. 327, 2020.
26. E. S. Cho, “Untact Class in Post Covid-19: The Rol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al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6, No. 3, pp. 693-713, October 2020.
27. B. Ross, and K. Gage, Global Perspectives on Blended Learning: Insight from WebCT and Our Customers in Higher Education. In C. J. Bonk, and C. R. Graham(Eds.),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San Francisco: Pfeiffer., pp. 155-168. 2006. http://curtbonk.com/toc_section_intros2.pdf.
28. J. Gorge-Palionins, and V. Filak, “Blended Learning in the Visual Communications Classroom: Students Frflection on a Multimedia Course”,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 3, pp. 247-256, September 2009.
29. C. H. Lee, “Computers and Four Language Skills Development”, Language and Linguistics, Vol. 38, pp. 59-87, September 2006.
30. Ministry of Educ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2021
31. D. Y. Kim, J. Y. Son, H. J. Koh, S. R. Jung, J. H. Lee, and S. Y. Back, “Qualitative Research of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CK, pp. 945-948, 2014.
32. S. M. Lee, and Y. J. Oh,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Evaluation of Moderating Effects of Learning Contents Adequacy and e-learning Interactio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30, No. 4, pp. 233-254, December 2014.
33. H. J. Kim,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in Chungbuk”,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21, No. 6, pp. 350-358, May 2021.

저자소개

정소영(So-Young Jeong)

2002년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유아특수교육)

2015년 :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박사-특수교육학)

1997년~2000년: 인천연일학교 특수교사

2000년~2010년: 한국우진학교 특수교사

2010년~2019년: 한국복지대학교 교육연구사, 공주대학교 등 시간강사

2020년~현 재: 한국복지대학교 교수학습혁신센터장

※관심분야 : 특수교육, 장애인 고등교육, 장애인 평생교육, 교수학습 혁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