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2 , No. 9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2, No. 9, pp. 1419-1429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9 Aug 2021 Revised 27 Aug 2021 Accepted 07 Sep 2021
DOI: https://doi.org/10.9728/dcs.2021.22.9.1419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구축과정의 현황과 전망 : 충북도립대학교 RC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언1, * ; 나기열2 ; 류은숙3
1충북도립대학교 혁신지원사업단, 교육학박사
2충북도립대학교 반도체전자과 부교수,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장
3충북도립대학교 컴퓨터드론과 교수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spect of the Residential College : A Case Study of the RC-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Sang-Un Kim1, * ; Kee-Yeol NA2 ; Eunsook Ryu3
1Innovation Affairs,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Ph.D. in Education
2Semiconductor Electronics Department Associate Professor, Director, Center for Creative Fusion and Education
3Dept of Computer Drone Professor,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Okcheon-gun 29046, Korea
Correspondence to : *Sang-Un Kim Tel: +82-43-730-6545 E-mail: pas1003@cpu.ac.kr


Copyright ⓒ 2021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오늘날 대학은 미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하여 RC 교육을 도입해 왔다. 국내 대학에서는 인성과 융합된 전인교육으로 대학의 특성화를 위하여 RC 교육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과 융합된 전인교육으로 자기주도적 활동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특성화에 맞는 실질적인 RC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대학의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RC 교육의 조직체계를 구축하고 RC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시범운영 사례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급속한 고등교육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전문대학 특성화에 맞는 실질적인 RC 교육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Universities today have introduced residential college (RC) education programs to foster comprehensive talented persons who can respond flexibly to the future. Domestic universities have committed to RC education for the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by providing whole-person education, which integrates charac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ractical RC education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specialized junior colleges; such programs are intended to promote self-directed activity and community awareness through whole-person education integrating character education. To this end, previous research data from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re analyzed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ystem of RC education and develop RC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case trialed to present effective management plan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as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practical RC education management plans that are suitable for specialized junior colleges and that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Keywords: Life and Education, Residential College, RC Education and Management, RC Education Programs, RC Extra Programs
키워드: 기숙형 대학, 생활과 교육, RC 교육의 운영, RC 교육프로그램, RC 비교과 프로그램

Ⅰ. 서 론

오늘날 고등교육에서는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대학의 경쟁이 글로벌 대학으로 확대되면서 학생 유치경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등교육에서는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인성과 융합된 전인교육의 전문 인재 양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국내 대학들은 차별화된 교육의 서비스로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주도적 활동, 소통능력,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능력 등 융합형 인재 양성으로 대학의 경쟁력과 특성화를 지향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의 운영시스템이다.

RC 교육의 기숙형 대학은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숙식과 편의시설을 갖춘 주거환경을 제공하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생활공간과 교육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자기주도적 활동을 중심으로 소통과 협업의 공동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환경을 의미한다[1].

RC 교육은 19세기 영국의 옥스퍼드대학(Oxford University)과 캠브리지대학(Cambridge University) 등에서 최초로 만들어졌으며 꾸준히 운영[2]되다가 미국에 전파되면서 20세기 초에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 예일대학(Yale University)과 프린스턴대학(Princeton University) 등의 사립대학에서 체계적으로 시행되었다[3]. RC 교육의 시스템은 시대의 흐름과 지역변화에 따라서 고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다양화, 학문의 세분화, 교육방식에 대한 변화 등으로 각 대학의 실정에 맞는 변형된 RC 교육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2]. 국내에서는 2007년 연세대학교가 기숙형 RC 대학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이후로 이화여대, 숙명여대, 덕성여대, 서울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지방대에서는 한동대, 순천향대 등과 전문대로는 영남이공대학이 최초로 RC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1][4][5]. 국내의 RC 교육은 학생들의 학업과 생활을 연결하여 봉사활동과 공동체 의식 함양, 문화체험 등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경쟁력과 특성화에 맞는 RC 교육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1]하고 있으나 꾸준히 운영되는 정규화 된 프로그램이 없거나[4] 대학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운영조직 및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5]. 특히 전문대학의 RC 교육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RC 교육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RC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공동체적인 참여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학과 교육과 융합하여 자신의 역량을 성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6].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7], 공동체 활동을 통한 인성, 봉사 정신, 리더십 등의 함양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RC 교육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교육과 생활을 융합하여 자기주도적 활동의 학생 중심 지원체계로 이루어졌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3]. 학생생활관의 작은 공동체에서 창의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자신과 다른 전공의 선배, RC 전담 지도교수, 동료 간의 상호작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면서 인성과 공동체 의식이 함양된다[5].

RC 교육의 자기주도적 활동의 연구를 살펴보면 대학은 규모가 큰 관계로 RC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캠퍼스 내에서 가깝게 거주하는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받으면서 자기주도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높다[4].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사회에 잘 적응하고 긍정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한 역량을 기르게 된다. ‘역량’은 생활하면서 부딪치게 되는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RC 교육은 새로운 학습 생태계를 조성하고 교과과정과 비교과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거나 혹은 창의적인 비교과 활동으로 학생들의 잠재적인 역량을 개발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5]. 이러한 역량개발의 계기는 자기주도적 선택에 의한 역량 강화의 통합적 활동이며, 학생은 새로운 방식으로 성취의 기쁨과 자존감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단순 주거 공간의 학생생활관은 교육적이거나 교과 중심 측면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 활동의 다양한 자극을 경험하고 자신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시켜야 할 필요성은 충분하다.

자기주도적 활동과 더불어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대인관계의 공동체 의식 함양은 중요하게 인식된다. 학생들은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RC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폭넓은 사람들과 교류하게 된다. RC 교육에서는 관심 분야가 다른 학생들이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동료 이외에도 선후배 관계의 형성과 RC 전담 지도교수와의 긴밀한 상호작용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기회가 된다[7]. 따라서 RC 교육에서 대인관계 역량인 공동체 의식 함양은 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도 강조된다.

학생생활관의 학생들에게 제공해주는 RC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로 전문대학인 충북도립대학교는 RC 교육 운영시스템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생활관의 교육에 필요한 편의시설은 소수의 인원 정도만 사용할 수 있으며 재학생 대비 수용인원 시설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충북도립대학교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경쟁력 있는 대학운영과 안정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해 2023년에 교육공간과 생활공간의 전인적 교육이 가능한 기숙형 대학을 신축 개관할 예정이다[8]. 이에 새롭게 개관될 기숙형 대학(RC)인 학생생활관의 효율적인 운영조직 및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있어서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는 학생들의 참여동기를 부여하고 서비스의 만족도와 지속적 참여를 위해서는 환류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국내외 대학에서 운영하는 RC 교육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거나 학년별 학습지도, 취업 및 진로, 심리상담, 인성교육, 지도자 양성 등 대학마다 운영프로그램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제공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사전에 학생들의 요구도 및 사전 수요조사가 필요하다. 학생 요구도에 의한 맞춤형 개선 발전으로 학생은 재학 중인 대학에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낀다면 학과 공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궁극적으로는 성적향상과 만족스러운 대학 생활로 성공적인 졸업과 적성에 맞는 취업이 가능해진다[9].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학생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대학 간 경쟁이 세계적 무대로 확대[10]되는 현시점에서 대학의 경쟁력과 특성화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참여자인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에 의한 환류 개선사항을 분석하여 RC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시기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의 펜데믹(Pandemic, WHO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물리적인 대면 생활을 하지 못하는 학생생활관 거주 학생들에게 RC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계속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1].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볼 때 RC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가 선행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대학마다 운영조직 및 체계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의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RC 교육의 이론적 연구 및 2023년에 신축 개관될 충북도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범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특성화에 맞는 RC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RC 교육 조직체계 및 내용의 구축과정은 어떠한가?둘째, RC 교육 사전 요구조사는 어떠한가?셋째, RC 교육 만족도 조사는 어떠한가?


Ⅱ. 본 론
2-1 이론적 고찰
1) 기숙형 대학(RC)의 개념

기숙형 대학이란 영국의 옥스퍼드대학, 미국 하버드대학과 예일대학 등 세계적인 명문대에서 유래된 교육모델이다. 학생들이 24시간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교육과 생활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대학에서는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동안 지식뿐 아니라 공동체 의식 등 인성을 갖춘 전인적 인재 양성이 목적이다[12]. 즉 ‘살아있는 체험 학습(living learning experience)’, ‘동료 간 교육(peer to peer education)’ 혹은 ‘수평적 학습(lateral learning)’의 방법을 통해 체험적이고 자기주도적 활동을 강화하는 교육 방법을 반영한다[13]. 이것은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고 RC 교육에서 자기주도적 교육 활동과 생활을 통해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소통과 협업의 공동체적인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는 전인교육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이다[14].

2) RC 교육프로그램의 기능과 목적

RC 교육프로그램의 기능을 살펴보면 미국 대학들 사이에서 보편화 된 ‘생활-학습 연계 프로그램(LLP, Living Learning Program)’이 있다. 이는 학생-교수 간, 학생-학생 간의 교류를 통하여 소통과 협업의 공동체 의식과 다양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의 자기주도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업 향상과 대학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적응하는 동안 사회적 인재의 필요한 역량이 강화된다[1]. 이러한 RC 교육의 다양한 활동의 경험은 학생들에게 공동체 생활과 사회봉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속한 대학의 소속감이 향상되며 교우 간의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

RC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은 첫째, 신입생들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적응력과 자신감 향상의 자기주도적 활동이다. 둘째, 생활과 교육이 하나가 되는 RC 교육을 통해 협동 정신, 사회성 배양, 소통능력인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다. 셋째, 리더십, 사회봉사, 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의 역량을 기르게 된다[15]. 즉, 다양한 RC 교육프로그램 제공으로 필요한 개인적 역량을 함양하게 되는 것이다.

3) RC 교육프로그램의 국내외 사례

RC 교육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서 국외 사례로 케임브리지 대학(Cambridge University)의 트리니티(Trinity College) RC 교육을 들 수 있다. 트리니티 RC 교육은 소그룹 학습지도와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나눈다. 특징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교육모델로 꼽히는 소그룹 학습지도(Small Group Supervision)를 받는다. 학습관리자(Supervisor)는 과목 내용에 따라 트리니티 소속 선임연구원(Fellow) 혹은 연구조교(Research Student)가 되기도 하고 다른 RC 소속이 되기도 한다. 학사 지도교수(Director of Student)는 학생들의 학업 활동을 총괄하고, 강의에 대한 조언을 주며 학습관리자를 임명한다. 또 다른 역할로 관리대상 학생의 상담도 이루어진다. 주임 튜터(Senior Tutor)는 RC의 학업과 교육 활동을 총괄하며 개별지도의 역할에 책임을 진다. 튜터(Tutor)는 모든 학생의 개인적, 재정적, 학업적인 문제를 상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학생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16]. 이러한 기회를 통해 학생들은 관심 있는 분야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전공과 융합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웨슬리대학교(Wellesley College)의 RC 교육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기마다 학생주도형으로 행사를 준비한다. 학생들은 여러 활동에 중복하여 참여할 수 있으나 원하는 단체가 없는 경우에는 취미가 같은 학생들과 새로운 단체나 동아리를 구성할 수 있다. RC 교육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소통과 협업의 공동체 분위기를 구축한다. 입학하는 순간부터 학사지도와 멘토링, 심리상담 등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한 지원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다[4].

국내 대학에서 운영되는 RC 교육을 살펴보면 연세대학교는 1명의 학생을 지도하는 전공 교수, 학사 지도교수, RC 지도교수의 삼중 학생지도 시스템(Triple Advising System)이 있다. 삼중 학생지도 시스템에서 전공 교수는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이해와 진로 및 적성에 대한 상담을 지도하며, 학사 지도교수는 학업에 필요한 내용을 지원한다. RC 지도교수는 대학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상담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하고 학교생활에 쉽게 적응하도록 돕는다. RC 서포터즈(Residential College Assistant)는 2~4학년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멘토로 학생들의 단체생활을 지도하고 학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1].

이화여자대학교는 일반 교과과정 외에 RC 교육에서는 교과 프로그램과 4F(Fun, Free, Food, Family)의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 프로그램은 1학년 신입생은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며 나눔 리더십과 커먼리딩 세미나(Common Reading Seminar)이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4F(Fun, Free, Food, Family)와 3-ing(Reading, Meeting, Acting)가 있다. RC 교육에서의 특징은 대학의 교육이념인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는 프로그램으로 목소리 기부 낭독 봉사, 사랑의 연탄 배달 봉사, 텃밭 상추 나눔 행사 등의 활동을 재능기부의 형식으로 진행하여 인성교육, 공동체 의식 함양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16].

또 다른 대학의 RC 교육 운영조직을 살펴보면 교육운영부와 생활관리부로 나눈다. 교육운영부는 5명의 전담 교수와 튜터로 10∼15명이 활동한다. 생활관리부는 팀장 1명, 팀원 4명, 조교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RC의 교육 및 행정 운영에 대한 총괄관리 책임으로 RC 학장을 둔다. RC Master는 RC 업무 운영 총괄을 맡고 RC 운영위원회는 RC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개발, 도입, 운영 및 평가 환류에 관한 내용을 담당한다. 이외에도 RC 운영팀과 RC 학생회가 있다[15]. RC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운영조직 체계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RC 조직구성에 있어서 교육 부분과 운영 부분의 역할을 구분하고 업무분장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운영 및 관리에는 RC 교육을 담당하는 RC 전담 지도교수와 행정직원이 주를 이루는 운영위원회 혹은 연구위원회가 부설되어 있다. RC 교육을 운영하는 경우, RC 운영 전담 기구가 학생생활관에 설치되어 있다. RC 교육의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부분은 주로 교육지원 부서에서 담당한다[14]. RC 교육은 두 개의 유형인 교육 부분과 운영 부분의 역할로 구분하고 있으나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두 개로 운영되는 부분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으나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며 정보공유 및 상호 보완적인 관계는 RC 교육의 원활한 운영의 시너지 효과가 있다.

2-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의 특성화에 맞는 RC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RC 교육의 이론적 연구 및 2023년에 신축 개관될 충북도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범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특성화에 맞는 RC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협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실무진 및 운영위원회의 자문과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RC 교육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그 효과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RC 교육의 조직체계 및 내용은 2019년 ‘충북도립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RC 기반 비교과 교육체계 및 프로그램 개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사전 요구조사는 2020년 12월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재학생 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1차 시범운영은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2020년 12월에 총 10회에 걸쳐 14명의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재학생들에게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2차 시범운영은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2021년 3월과 4월에 총 10회에 걸쳐 28명의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재학생들에게 시범운영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2020년과 2021년은 대학 차원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및 온라인 등의 방법으로 교육과정이 운영되었다. RC 교육프로그램도 대면과 비대면 운영 방법 등을 탄력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3.0에 의한 평균, 표준편차와 t-검정 과정을 거쳤다.


Ⅲ. RC 교육 구축과정 및 분석
3-1 RC 교육 구축과정
1) RC 교육 운영관리를 위한 조직 체계

충북도립대학교의 학생생활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RC 교육은 별도의 조직체계에서 운영되어야 하므로 RC 교육의 운영조직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RC 운영조직은 첫째, 총장 아래 RC 학장을 두고, 기본 운영을 위한 RC 운영위원회와 학생 중심의 자율적 운영을 위한 생활관리 위원회(RC 학생조직)를 둔다. 둘째, RC가 생활과 교육의 학습공동체인 만큼, RC 학장 아래에는 교육을 지원하는 RC 교육팀을 주관하는 RC 전담 지도교수와 생활을 지원하는 RC 운영팀을 두고 명확한 업무분장의 역할을 구조화한다. 셋째, 구체적 운영체계로는 조직구성, 추진체계 등이 필요하며 운영방안은 교육과정, 학습지도, 생활지도 등과 운영 가이드 및 성과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2023년 신축 개관 이후 RC 교육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경우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 인원수의 증가와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서도 그림 1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직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Fig. 1. 
An example of the RC education organizational system at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2) RC 교육프로그램 및 활동

충북도립대학교의 인재상은 인성을 갖춘 실용 전문 인재 양성이며, 대학의 6대 핵심역량은 4CPU-感想實(감상실)의 공동체 의식(Community), 소통능력(Communication), 비판적 창의력(Critical Creation), 창조적 문제해결능력(Creative Problem-Solving), 실무실행력(Understanding Field), 현장이해력(Practical Operation)이다. 정의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5].

첫째, 공동체 의식은 자기 이해와 타인존중이다. 건전한 인성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더불어 사는 환경 속에서 자신과 주변을 성숙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둘째, 소통능력은 적극적 경청과 공감적 자기표현이다. 말과 글, 행동으로 자신의 의사를 적절히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으며 타인의 의사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셋째, 비판적 창의력은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상상력이다. 다양한 생각을 서로 엮어 정보를 해석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넷째, 창조적 문제해결은 문제의식과 문제해결이다.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각종 정보를 활용하며 문제의 규명과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다섯째, 실무실행력은 실무현장적응력이다. 직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기초지식 및 실무적 기술의 체계적 습득을 통해 현장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여섯째, 현장이해력은 직업 마인드와 산업 트렌드 이해이다. 자신이 진출한 직업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건전한 직업 정신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RC 교육목표를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으로 연계하여 소통과 협업의 공동체 의식과 자기주도적 활동으로 계획하였다. RC 교육은 교육을 담당하는 RC 전담 지도교수 및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며 생활공간을 공유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하면서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RC 교육의 생활과 교육의 직접적인 소통과 교류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활동에 참여하고 공동체적인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는 등 융합형 인재로 성장한다[5]. 또한, 프로그램의 구성은 2019년 ‘충북도립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RC 기반 비교과 교육체계 및 프로그램 개발’의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구성하였다.

RC 교육은 학생생활관에서 학생들이 자유롭게 모임을 열어 협업과 소통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필요한 강좌가 있으면 뜻이 맞는 학생들끼리 소통을 통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개설할 수 있는 학습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림 1에 예시된 ‘RC 교육지원’ 공간과 ‘행정지원’ 공간은 RC 교육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공간을 구분하여 배치한다.

표 1의 내용을 살펴보면 RC 교육 및 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일반강의실, 그룹토론실, 다목적세미나실, 개인상담실, 개인 스터디룸, 동아리방, 소극장, 콘서트홀, 피트니스실, 악기 연습실이 필요하다. 활동별로 고려사항을 살펴보면 첫째, 콘서트홀, 다목적실, 악기실, 요리실습실, 미디어실, 피트니스실 등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은 1층과 2층으로 배치하여 원활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고려하고, 여러 용도의 개인실, 토론실을 충분히 마련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전공과 융합할 수 있는 3D프린팅 교육 활동과 관련된 미디어 매체를 충분히 구비하여 학생들이 4차 산업사회에서 활용하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옥천군 시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콘서트홀, 다목적실, 미디어실 등을 고려할 때에는 교내 학생들의 안전과 RC 교육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Table 1. 
Examples of the spatial design of RC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Category RC Education Program Type Spatial Design Proposal Activity
Character
and
Psychology
Pit-a-pat, the talk between
you and me
Small group discussions - Group discussion room (for 5-10 people)
- Individual counseling (coaching) room (1:1 mentoring)
Group
activity
Risk screening psychological test Experience-based
activities
- Individual counseling room (1:1 counseling guidance) Self-directed
activity
Finding my strengths
It’s all right! Same with me! - Multi-purpose seminar room (role play practice)
- Small theater (role-play performance)
Reflecting on myself through
everyday media
Self-directed activities
(Case study)
- Video room (watch movies and dramas)
- Personal mediation room (reflection and resolutions)
Career Finding my future ‘Dream’ Experience-based
activities
- General lecture room (special lectures)
- Group discussion room (for 5-10 people)
- Multi-purpose seminar room (practice role-playing)
Self-directed
and group
activities
Chungbuk Dream Honors Program - General lecture room (special lectures)
- Individual counseling room (1:1 coaching)
Self-directed
activity
Dormitory ‘self-growing tree’
aising project
- General lecture room (special lectures)
- Personal study room
- Small theater (curating possible)
Dormitory customized learning community Club-related activities - General lecture room (special lectures)
- Club room (mentor/mentee activities)
Group
activity
Living Learning applied music Hobby-related activities - Personal music room (personal instrument practice room)
- Instrument practice room (group sound practice)
- Concert hall (concerts, presentations)
Self-directed
and group
activities
3D Printing education - General lecture room (special lectures)
- Group discussion room (for 5-10 people)
Taking care of my health,
so that it will last a lifetime
- Fitness room (including yoga and meditation rooms)
- Individual counseling room (1:1 health counseling guidance)
Self-directed
activity
A day with a neighbor Hobby-related activities
Club-related activities
- Club room (mentor/mentee activities)
- Dormitory kitchen (food volunteer service)
Group
activity

3) 요구분석

요구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선정과정에서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 학생상담센터, 일자리지원센터, 도서관 등의 부서에서 운영 중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내용 선정은 표 1의 RC 교육프로그램 활동 예시 중에서 사회봉사, 독서 활성화, 다문화 및 해외 문화 이해, 심리, 생활 취미형, 진로, 지역연계형 등의 내용을 비교과 실무진 및 운영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020년 2학기 동계방학 기간의 RC 교육 운영을 위한 요구조사는 2020년 12월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 83명에게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내용을 살펴보면 활동 프로그램의 건강증진 프로그램(43.4%)과 어학프로그램(34.9%)이 높게 나타났다. 운영주기는 주 1회(51.8%)가 가장 높았으며, 운영 활동 시간대는 주중의 저녁 시간(68.7%)이 높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1시간(43.4%)이 높게 나타났다.

Table 2. 
Needs analysis
Content Program Name Response Rate (%) M SD
Activity Program Promoting health 43.4 .47 .503
Experiencing culture and art 7.2 .08 .273
Reading books 4.3 .03 .162
Language study 34.9 .43 .498
Frequency Once per week 51.8 .57 .499
Twice per week 22.9 .27 .447
Three times per week 9.6 .12 .329
Four times or more per week 4.8 .07 .253
Time Weeknights
(7:00 p.m.)
68.7 .79 .409
Weekends 19.3 .21 .409
Activity duration 1 hour per activity 43.4 .49 .503
2 hours per activity 39.8 .45 .500
3 hours or more per activity 6.0 .07 .253
(n=83)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범운영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어학 관련 프로그램은 교내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어학프로그램과 중복 여부가 논의되어 배제하였다.

3-2 RC 교육
1) RC 교육프로그램 시범운영: 3D프린팅 교육과정

RC 교육프로그램은 요구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의 실무진 및 운영위원회의 자문과 협의를 거쳐 문화예술체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관련 자격을 취득하고 대학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가 강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RC 교육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직접 체험이 가능한 내용[3], [15]으로 계획하고, 활동을 위하여 3~4명의 팀을 구성하였다. 팀 구성은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강사-학생, 학생-학생 간 팀 회의 등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견 공유 및 협의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공동체 의식[7], [15]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표 3은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의 전공과 융합하여 활용 가능한 3D프린팅 교육의 예시자료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도입에는 3D프린팅 개념과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소개 및 설치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활동은 3D프린팅의 기초가 되는 기본 도형의 내용을 익히고 디자인해 보는 활동과 실생활 용품을 디자인하여 직접 출력하는 실습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팀별 활동평가의 환류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림 2의 왼쪽은 학생들이 3D를 디자인하는 모습이며, 오른쪽은 디자인한 자료를 3D프린터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모습이다.

Table 3. 
3D printing education
Lesson 3D Printing education Activity
1 What is 3D Printing? - Concepts of 3D Printing
- Tinker CAD(Used over Internet)
2 Start 3D Printing - Primitives
3 3D Modeling
(Primitives)
- Keyring Design
4 - Smile Stamp Design
5 3D Modeling
(Design of real-life goods)
- Design of real-life goods
- Heart box Design
6 - Flower Design
7 - Vase Design
8 - Cup Design
9 3D Printing Operations - 3D Printing Practice
10 3D Printing Finishing - Activity Evaluation


Fig. 2. 
3D printing education activity

2) RC 교육프로그램 시범운영에 따른 결과

2023년에 신축 개관 예정인 충북도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2020년 2학기 동계방학 기간과 2021년 1학기에 RC 교육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하였다. 2020년 2학기 동계방학 기간에 학생들은 코로나19로 학교 방침에 따라 학생생활관에 거주할 수 없었다. 그러나 방학 기간에만 운영하는 학과별 자격증 특강 등으로 인하여 소수 인원만이 단기간 운영 가능하여 거주 대상 중에서 14명의 인원이 시범운영에 참여하였다. 2021년 1학기에는 코로나19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1학년과 2학년의 학생생활관 거주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차로 운영되었다. 교육과정에서 온라인 학습 과정과 대면 과정이 탄력적으로 진행되면서 실질적으로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의 수는 80명 내외 정도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3월과 4월 중에 1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학생들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대면 활동, 온라인 실시간 화상 시스템(Zoom)을 활용한 활동과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였다. 2020년 2학기 동계방학 기관과 2021년 1학기 RC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결과는 표 4와 같다.

Table 4. 
Participation Satisfaction
Content 2020-2
(n=14)
2021-1
(n=28)
t p
M SD M SD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4.43 .756 4.21 .787 .843 .404
Help with college life 4.43 .514 4.25 .645 .901 .373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4.43 .646 4.25 .701 .798 .429
Peer recommendation 4.50 .519 4.29 .713 .998 .324
Improving one’s competence in relation to participating in activities 4.43 .756 4.25 .518 .795 .436
Challenging
Aspects
Self-directed activities .29 .469 .25 .452 .242 .810
Creating activity and results reports .29 .469 .17 .389 .784 .437
Lacking face-to-face interactions due COVID 19 .57 .514 .58 .515 -.670 .506
Participating in non-face-to-face (Online) activities .50 .519 .33 .492 1.113 .272
Participating in performance briefing sessions (Zoom) .29 .469 .42 .515 -1.356 .186

표 4의 참여 만족도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 운영체계 구축과정에서 시범운영의 세부 요인별 결과분석은 추후 운영되는 교육과정에 의미가 있다[4]. 내용을 살펴보면 2020년 2학기 RC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4.43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생활의 도움 정도는 4.43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참여 의지가 4.43, 동료에게 추천할 의향은 4.50, 참여 활동과 관련된 자신의 역량 향상은 4.43으로 나타났다. 활동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교류의 부족은 0.57, 비대면(온라인) 활동 참여가 0.50으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로 대면 교류 활동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학생들은 대학 생활에서 필요한 정보공유가 부족함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의 상황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자기주도적 활동이 0.29, 활동보고서 및 결과보고서 작성 0.29, 성과 보고회(Zoom) 참여 0.29로 나타나 학생들은 온라인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활동에 적응력을 보이며 참여하였다. 2021학년도 1학기 RC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4.21로 나타났으며 대학 생활에 도움 정도는 4.25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참여 의지는 4.25이며, 동료에게 추천할 의향은 4.29, 참여 활동과 관련된 자신의 역량 향상은 4.25로 나타났다. 2020년 2학기보다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아졌다. 어려웠던 점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교류의 부족이 0.58로 지난 학기에 이어 높게 나타났다. 성과보고회 참여(Zoom)는 0.42로 지난 학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21년 1학년 신입생들의 참여가 높은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 시스템(Zoom)의 경험 부족과 온라인 참여 방법의 미숙으로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Ⅳ.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RC 교육의 이론적 연구 및 2023년에 신축 개관될 충북도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범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특성화에 맞는 RC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RC 교육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그 효과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4-1 RC 교육 구축과정

RC 교육의 구축과정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RC 교육의 조직체계는 RC가 생활과 교육의 공동체인 만큼 RC 학장 아래 교직원 중심의 RC 전담 지도교수를 두어 RC 교육을 지원하는 RC 교육지원팀과 생활을 지원하는 RC 운영지원팀으로 구분하여 역할이 혼재되지 않도록 구조화한다. 이는 RC 교육을 담당하는 전담 지도교수와 학과 수업 이외의 상담과 같은 적극적인 참여기회는 초기 대학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10].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면서 RC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RC 전담 지도교수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지적 성장을 기르는 동기를 마련하고 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면서 의문점이나 불안을 해소하고 대학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가장 의지하는 대상이 RC 전담 지도교수이다[10]. 따라서 RC 전담 지도교수는 ‘연구자’, ‘교수’의 역할과 ‘상담자’라는 역할까지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이 가능해야 한다.

둘째, RC 교육프로그램 및 활동은 충북도립대학교의 인재상과 6대 핵심역량을 연계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긍정적인 삶을 위하여 다양한 역량 강화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자기주도적 활동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목표를 세우고 내용을 구성한다. 이는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한 사회적 수요 충족을 위해 RC 교육을 도입하고 대학의 새로운 문화 형성, 대학교육목표의 달성, 사회적 수요에 맞는 인재 양성을 RC 교육의 목적으로 두는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12].

4-2 요구분석

요구분석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분석에서는 이론보다는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더 선호하였으며 취미형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3D프린팅 등의 최근 관심 주제 및 트렌드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RC 교육에 있어서 협동 위주의 활동을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의 공동체 활동을 제공하고 신체활동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되도록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제공은 교육내용의 자율성을 지니고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RC 교육 문화를 창출한다는 연구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12]. 긍정적인 삶을 유지 시켜 줄 수 있는 취미형 혹은 체험형 활동은 여가를 즐기며 야외활동이 가능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인 혼자 활동하기보다는 여러 명이 팀으로 움직여야 한다. 이러한 공동체 활동 과정은 팀 운영에 필요한 협동, 응집력, 팀워크 등의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면서 배려와 이해, 서로 간의 상호작용으로 도움을 주는 등 공동체 의식이 함양되는 계기가 된다.

둘째, 요구분석에서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어학프로그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RC 프로그램은 창의적이며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역량을 제공해야 한다는 연구[14]와 연계되는 부분이 있다. 다양한 나라의 국제적 언어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요구도를 조사한 ‘어학 관련 프로그램’은 사전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타부서의 어학 관련 프로그램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 시범운영에서 제외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영어 이외의 다양한 나라의 국제적 언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외국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글로벌 역량을 위하여 추후의 프로그램 운영 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4-3 시범운영에 따른 결과

RC 교육 시범운영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학년도 2학기 동계방학 기간에 시범운영 결과에서는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자기주도적 활동으로 ‘활동보고서 및 결과보고서 작성, 성과 보고회(Zoom) 참여’ 등이 원활히 이루어졌으며 장기적으로 계속되는 온라인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로 RC 교육과 물리적 대면 생활이 어려운 비대면 상황에서도 RC 교육의 목적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신입생의 자아 정체감 확립과 심리적, 사회적인 지적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11]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둘째, RC 교육 활동에 참여하면서 어려웠던 점으로 나타난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교류 부족’과 ‘비대면(온라인) 활동 참여’가 어려움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RC 교육에 있어서 학생과 학생,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10]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대면 교육환경에 익숙한 학생들은 학생 간, 교수와 학생 간의 온라인 상호작용 및 비대면 의견교류가 낯설고 어려움으로 여겨졌을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비대면 및 온라인 학습 방법은 정규교육과정에서 탄력적으로 사용되며 앞으로 계속 운영될 것이다. 따라서 변화되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원활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으로 정보공유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RC 교육의 ‘자기주도적 활동’에서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람은 새로운 환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반응할 때 생활의 만족을 느끼며 새롭게 무언가를 경험하면서 자신을 성장시킨다. 또한, 기존의 학습 및 생활 방식에서 변화된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동안 책임감 있게 소통하는 방법과 자신의 소질과 재능이 무엇인지, 자신이 무엇을 잘할 수 있고, 어디에 흥미가 있는지를 알아가게 된다는 연구와 연관되는 부분이 있다[17]. 따라서 자기주도적 선택에 의한 다양한 역량 강화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성취의 기쁨을 누리며 자존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RC 교육 학생들이 주도하는 운영프로그램이 되어야 하며 단순 주거 공간의 교과 중심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 활동의 다양한 자극을 경험하고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2021년 1학기는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운영되었으며 참여 만족도에서 어려웠던 점으로 ‘성과보고회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공동체 의식은 참여자들 간의 소속감, 팀에서 중요한 존재라는 느낌,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로 서로 간의 요구가 함께 충족될 수 있다. 또한, 팀원들 간의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감으로 개인적으로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중요한 계기를 가지게 된다는 연구[17]와 의미를 같이 한다. 본 RC 교육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고 온라인 회의를 진행하였으며 Zoom에 의한 성과보고회를 위해 지속적인 회의가 필요하였다. 비록 온라인 회의 과정이었으나 팀에 대한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감을 중요하게 여겼다. 성과보고회를 위해 지속적인 온라인 회의를 진행하였으나 각자가 처한 시스템 환경이 달라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팀원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고 미디어 환경을 보완하는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Ⅴ. 결 론

초기 운영체계 구축을 위하여 RC 교육 및 RC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기에는 성급한 면이 있으나 향후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과적인 운영 및 발전적인 방향으로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인식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C 교육의 구축과정에서 조직체계는 교직원 중심의 RC 전담 지도교수를 두어 RC 교육을 지원하는 RC 교육지원팀과 생활을 지원하는 RC 운영지원팀으로 구분하여 역할이 혼재되지 않도록 구조화한다. 학생들에게는 RC 전담 지도교수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지적 성장을 기르는 동기를 마련하고 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RC 교육프로그램 및 활동은 충북도립대학교의 인재상과 6대 핵심역량을 연계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긍정적인 삶을 위하여 다양한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여 대학의 새로운 문화 형성, 대학교육목표의 달성, 사회적 수요에 맞는 인재 양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사전 요구분석에서는 이론보다는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더 선호하였으며 취미형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제공해 주는 활동으로는 개인 혼자 활동하기보다는 팀 활동을 구성하여 팀 운영에 필요한 협동, 응집력, 팀워크 등의 과제 수행 활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팀 활동을 통해 배려와 이해, 서로 간의 상호작용과 의존력을 인정하고 도와주는 등 공동체의 소중함을 경험하면서 공동체 의식이 함양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시범운영에 따른 결과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교류 부족’과 ‘비대면(온라인) 활동 참여’가 어려움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대면 및 온라인 학습환경이 교육과정에서 앞으로 계속 운영되는 상황이므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으로 정보공유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자기주도적 활동’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선택에 의한 다양한 역량 강화를 위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성취의 기쁨을 누리며 자존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주도하는 운영프로그램이 되어야 하며 단순 주거 공간의 교과 중심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 활동의 다양한 자극을 경험하고 자신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RC 교육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RC 교육의 구축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선행연구자료, 사전 요구조사, 만족도 조사로 연구를 진행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RC 교육 적용이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와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RC 교육프로그램의 사전·사후 비교검증의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RC 교육의 주체는 학생들이므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흥미를 위한 기회 제공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 및 환류 개선 내용을 도출하여 체계 구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의 지원비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이며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H. S. Kong,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Plan for Residence College,”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11, No. 1, pp. 125-132, May 2019.
2. J. K. Kim,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Residential Colleges in the British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8, No. 6, pp. 11-37, December 2014.
3. J. K. Kim, “Implanted Residential College System - Changes and Development of American Residential Colleg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9, No. 3, pp. 41-70, September 2015.
4. H. Y. Ahn, S. B. Ka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spect of the Residential College - The case of the Dongguk university PARAMITA colleg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9, No. 2, pp. 181-205, June 2015.
5. Y. A. Ra, Y. H. Lee, H. M. Kim, “Th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y for RC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3, No. 1, pp. 31-55, February 2019.
6. K. H. Yeo, S. E. Kim, “A Case Study on RC Co-educational Programs for Collaboration and Thinking Skill Develop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8, No. 18, pp. 105-130, 2018.
7. J. M. Kim, A. U. Ku, “The Effect of Extra-curricular and Dormitory Experience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 24, No. 4, pp. 381-400, 2018.
8. D. J. Kim, S. J. Cho, A plan and strategy to build a new dormitory for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Chungbuk Research Institute, Policy Task Report, pp. 01-38, June 2018.
9. E. Pascarella, P. Terenzini,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 A third decade of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Vol. 2, 2005.
10. Y. G. You, J. G. Kim, S. W. Lee, “The College Professor and Students' Experience and Meaning for Settlement of Residential College Advis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6, No. 9, pp. 433-456, 2016.
11. I. H. Jung, S. A. Lee, S. Y. Lee, D. K. Yoo, J. W. Yoo, H. K. Kim, J. S. Baek, “A Study on the Design of Integrated Services Supporting Residential College Freshman Students,” Proceedings of HCIK, pp. 829-834, 2021.
12. Y. S. Kim, D. S. Han, J. W. Yi,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in residential colleg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23, No. 4, pp. 45-62, February 2019.
13. Z. Fareed, In defense of a liberal educat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015
14. Y. C. Kim, K. C. Choi, I. K. Kim, A. R. Cho, “A Study on the Operation of RC Education i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1, No. 3, pp. 303-329, June 2017.
15. H. K. Lee, E. S. Je, M. O. Nam, H. D. Lee, Y. K. Ch, E. S.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xtracurricular curriculum for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The Development of an RC-Based Extracurricular Curriculum and Program,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Research Task Report, pp. 01-135, 2019.
16. H. S. Kong, “A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Scheme for Residence College in Korea,” KSHE, Vol. 20, No. 4, pp. 67-84, 2016. http://UCI/G704-002071.2016.20.4.001
17. H. J. Yang, “Suggestions to Cultivate Community Spirits for Residence College Freshmen with the Concepts of Spontaneity and Creativity in Psychodrama,” Korean Journal of Psychodrama, Vol. 21, No. 2, pp. 27-39, December 2018.

저자소개

김상언(Sang-Un Kim)

2013년 :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학과 (교육학석사)

2018년 :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교육학박사-컴퓨팅사고력)

2018년~2019년: 충북도립대학교 연구원

2019년~2020년: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2020년~현 재: 충북도립대학교 혁신지원사업단

※관심분야:기숙형 대학(RC 교육), 비교과 교육과정, 핵심역량 인증제도, 컴퓨팅 사고

나기열(Kee-Yeol NA)

1997년 : 충북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07년 : 충북대학교 대학원 반도체공학과 (공학박사)

1997년~2001년: SK Hynix 연구원

2001년~2004년: Flasys Corp 연구원

2007년~2008년: IHP microelectronics (Frankfurt-Oder) 연구원

2008년~현 재: 충북도립대학교 반도체전자과 부교수, 창의융합교육지원센터장

※관심분야:기숙형 대학(RC 교육), 비교과 교육과정

류은숙(Eunsook Ryu)

1992년 : 충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공학석사)

1998년 : 충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공학박사)

1999년~현 재: 충북도립대학교 컴퓨터드론과 교수

※관심분야:기숙형 대학(RC 교육), 비교과 교육과정,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분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