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 No. 10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No. 10, pp. 1817-1824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23 Sep 2020 Revised 07 Oct 2020 Accepted 07 Oct 2020
DOI: https://doi.org/10.9728/dcs.2020.21.10.1817

여자 대학생의 스마트 폰 앱 활용 신체활동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서경산1 ; 한달롱2, *
1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
2청주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Experiences of Physical Activit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 : A Focus Group Interview
Kyoung-San Seo1 ; Dal-Long Han2, *
1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5015,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Chungbuk 28503, Korea
Correspondence to : *Dal-Long Han Tel: +82-43-229-7985 E-mail: dhan@cju.ac.kr


Copyright ⓒ 2020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성공적인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과 스마트폰 활용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비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가진 15명의 신체 건강한 여자 대학생들이 자기 감시와 사회 관계망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걷기 응용 프로그램을 10일 동안 사용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18개의 코드와 6개의 카테고리를 추출하였고 2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개의 주제는 신체활동 시작 동기와 장애요인 및 신체활동 동기화 요소로서의 앱의 역할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대생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할 경우 신체활동 장애 요인을 줄이고, 신체활동을 유지, 강화시키는 다양한 장치 고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앱의 측정 기능을 보완하고 대학교 내 부족하거나 불균형적인 자원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We carried out to interview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needs for a successful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Fifteen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inactive lifestyle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after using a smartphone walking application with self-monitoring and social networking functions for 10 day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extracted into 18 codes and 6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y were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motive or barrier to move, role of application as a motiv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into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 need for considering their motive, sustainable activity, environmental resources with additional application functions.


Keywords: Physical Activity, Smartphone, Content Analysis, Need Assessment, University Student
키워드: 신체활동, 스마트폰, 내용 분석, 요구사정, 대학생

Ⅰ. 서 론

신체활동은 많은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건강행위로 적절한 신체활동은 많은 건강상의 유익을 가져다 준다[1]. 그러나, 우리나라 성인의 70.4%는 권장 신체활동량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은 10%를 넘지 않으며, 유산소운동 실천율은 52%인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 중 여자 대학생의 규칙적인 운동 실천 비율은 남학생보다 낮은 13.6-24.0%로 보고되었다[3], [4]. 대학생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변화단계,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전공, 학년, 연령,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있었고[4], [5], 국내 여대생의 경우 전공이나, 자기효능감에 따라 신체활동 실천률의 차이를 보였다[3], [6]. 대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또다른 방해요인에는 학업과 시간 부족 등[7], [8]의 남녀 학생 공통적인 요소도 있으나 여학생은 주로 체중 조절을 위해 신체활동을 한다고 보고되어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개인적인 동기 요소와 사회적 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최근 신체활동 행동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기술 기반(technology based) 중재를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9]. 건강 행위 변화 이론에서는 건강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참여자의 요구에 기반한 프로그램 요소를 찾아내어 변화동기를 자극하는 중재를 제공했을 때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하였다[10]. 스마트시대를 살고 있는 젊은 성인은 따로 시간을 내어 건강 상담을 하려는 욕구가 적고 건강 관리도 자기 주도적으로 재미있게 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11]. 이런 면에서 미래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활용한 건강 중재 프로그램 혹은 디지털 헬스의 활용이 더욱 일반화될 것이다[12], [13].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건강 프로그램은 적은 수의 건강 관리자가 다수의 참여자를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요구를 가진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이에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14]. 또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신체활동을 증진하고 비만과 체질량지수를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15], [16].

스마트폰과 하루의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우선 이들의 요구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 성별에 따라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가 달랐던 부분을 고려한다면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도 성별에 따라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찾기 힘들고[17], 기존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앱에 그대로 옮겨 놓은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스마트폰 앱 내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소개한 국외 연구가 있었으나[18] 건강관리 앱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을 탐색하거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 앱을 소개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국내 여대생의 스마트폰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9]. 특히, 여자 대학생이나 남자 대학생의 요구도를 따로 파악한 연구도 많지 않다. 이용자간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거나 전문가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는 앱은 유료인 경우가 많아, 대학생들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방적 토의를 통해 풍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여 스마트폰 앱 기반 신체활동에 대한 여자 대학생의 경험과 요구를 탐색하여 신체활동 증진의 전략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 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과 걷기 스마트폰 앱 사용 경험과 요구를 탐색하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과 걷기 스마트폰 앱 사용 경험을 탐색하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적용한 연구이다.

2-2 연구질문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여대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과 요구는 어떠한가?’, ‘걷기 스마트폰 앱 사용 경험과 요구는 어떠한가?’ 이었다.

2-3 연구참여자

스포츠 관련 전공이 아니면서 신체활동에 대한 제약이 없으나 스스로 신체활동을 많이 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여자 대학생을 일 개 대학에서 눈덩이표집(snow bowling) 방법으로 모집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자 대학생 15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 15명의 평균 연령은 22세이었고, 건강 관련 앱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참여자는 1명이었다. 자신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는 상, 중, 하 중에 중 13명, 상 2명으로 응답하였고, 현재 느끼고 있는 신체 증상으로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5명이었다. 신체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조금 중요하다가 7명, 보통이다가 8명이었다. 변화단계로 파악한 동기 수준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시작한지 6개월 이상 된 대상자는 없었고, 막 시작(action stage)한 학생이 3명, 하지는 않지만 하려고 준비 중(preparation stage)인 학생이 6명, 신체활동을 할 생각이 없는(contemplation or pre-contemplation stage) 참여자가 6명이었다. 신체활동을 시작한 2명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시작하였고, 3명은 중강도 운동을 가끔 하였으며, 나머지는 매일 1-2시간 걷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집에서 누워있거나 움직이지 않는 시간은 하루 평균 10시간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신체활동량이나 신체활동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 이질적으로 구성되어 풍부한 인터뷰 내용 수집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2-4 자료수집 방법

연구참여자 모집부터 자료분석까지의 연구진행절차는 Fig.1과 같다.


Fig. 1. 
The Process of Study

1) 연구참여자 사전 준비

참여자에게 모임 전에 연구보조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서를 받았으며, 참여자들은 스마트 폰 내에 지정된 걷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10일간 사용 후에 면담에 참석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스마트폰 걷기 앱은 자기 감시 및 그룹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워크온(by 스왈라비)’이었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친한 사람들과 소그룹을 만들어 활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인의 걸음수에 대한 같은 연령대의 분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인터뷰 진행

면담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진행 경험이 있는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면담은 2018년 4-5월 일개 대학 내 위치한 조용한 세미나룸에서 7-8명씩 나누어 집단으로 진행되었다. 각 면담은 90분 정도 소요되었고, 참여자의 동의를 받아 녹음하였으며, 면담 상황이나 참여자의 반응 등을 훈련받은 연구 보조원이 면담 내용과 함께 추가 기록하였다. 면담 종료 시 참여자에게 면담 내용을 요약하고 디브리핑하여 참여자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면담은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총 2회 진행되었다.

2-5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윤리심의(승인번호(1041107-201710-HR-009-01)의 승인 후 진행하였으며,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 시 인터뷰 과정이 녹음될 수 있음에 대해 알리고 이에 대한 서면 동의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녹음파일 필사는 참여자 개인식별표시 없이 랜덤 번호를 부여하여 시행하였고 녹음 파일은 연구 종료 후 삭제될 예정이다. 인터뷰 참여자는 인터뷰 참여 도중에도 언제든 참여를 중단 또는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고지하였다.

2-6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qualitative contents analysis)을 활용하였으며 coding to categories 내용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20], [21]. 녹음된 인터뷰 기록들은 필사하여 두 명의 연구자가 각각 문장 단위로 읽어 의미 있는 문장을 추출하고 다시 의미 단위로 나누고 응축과정을 거쳐서 추상화하여 이름을 명명하는 단계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의 선입견과 편견을 배제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분석 작업 후 분석 결과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까지 여러 번의 회의를 거쳤다. 분석한 내용은 질적 연구에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 1인에게 동료 피드백을 받은 결과 두 개의 코드가 재분류되어 범주에 포함되었고 그 외 코드 추출과 범주 기술이 대부분 적절하다고 하였다.


Ⅲ. 연구 결과

인터뷰 결과를 두 연구자가 분석과 논의 과정을 거쳐서 49개의 초기 문장으로 추출하였고 이들은 초기 코드화(pre-coding) 과정을 거치고 18개의 주요 코드(code)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코드를 6개의 범주(sub-categories), 2개의 주제(categories)로 분류하였다. 2개의 주제는 ‘여대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 또는 장애 요인’과 ‘신체활동의 동기화 역할로서의 스마트폰 앱’ 이었다(Table 1).

Table 1. 
Codes and Categories on Experiences of Physical Activity And Smartphone Application
Code Sub-category Category
Diet Access motive to activity –Personal factors to start Motive or barrier to move
Concern for health
Successive experiences
Recognition
Activity with adjustable schedule Sustainable factors to activity – Characteristics of Activity to sustain
Achievement
Continuous interesting
Lack of Time Discontinuance factors to activity – Environmental factor to stop
Lack of resources
Insights from objective feedback Empowerment Role of application as a motivator
Competition
Interaction with intimacy
Regular reward/achievement
Pacer
On trend Access motive to application
Regular reminder Additional Needs for program with application
Multi-functional application
Correct measure

3-1 여대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 또는 장애 요인

참여자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은 신체활동을 시작하는 이유, 신체활동을 중단하게 되는 이유, 신체활동을 유지하게 하는 요인으로 범주화되었고 이를 여대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 또는 장애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1) 신체활동 시작 요인 : 개인적 동기

본 연구의 결과 여대생이 신체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이유는 대개 개인적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자신의 신체활동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건강에 대한 관심이 생기거나 다이어트를 위해 신체활동이나 운동을 시작하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과거의 신체활동이나 운동을 하면서 느낀 성공적인 성취 경험을 떠올릴 때 신체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몸이 쑤시고 체력이 떨어지고 숨이 차서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인바디를 재고 충격을 받아서 운동을 시작했다.”

2) 신체활동 유지 요인 : 신체활동 자체의 특성

이에 여자 대학생들은 자신의 수업과 과제 일정과 상관없이 참여 가능한 신체활동 유형을 선호하였고, 신체활동 후 성취감을 느낄 때, 지속적으로 재미가 있다고 느끼는 신체활동 할 때 이를 지속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로써 신체활동 자체의 특성이 신체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책과 같이 개인 운동은 상대적으로 시간 제약이 없고 일상에서 언제나 하기에 좋다. ”
“운동을 하면서 성취감을 느끼면 흥미가 생겨서 운동을 지속하게 된다.”
“개별적이면서도 또 같이 할 수 있는 운동이 재미있다,”

3) 신체활동 중단 요인 : 환경 요인

여대생들은 불규칙한 학과 수업과 많은 과제 등에서 신체활동이 우선순위에 밀려서 신체활동을 그만두게 된다고 하였다. 학내에서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신체활동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교외에서 신체활동을 하는 데에 드는 개인적인 경제적 비용 소요가 학생이 감당하기에 부담이 있다고 호소하였다. 이와 같이 신체활동을 중단하게 될 때에 내적인 요인보다 외부 환경적 원인으로 신체활동을 중단하게 되었다.

“학교 일정이 뒤죽박죽이고 과제가 많아서 신체활동을 중단했다. 학기 중에 신체활동을 지속하기에 너무 힘들어서 그만두었다.”
“여학생이 선호하는 운동을 할 기회가 부족하다.”

3-2 신체활동의 동기화 역할로서의 스마트폰 앱

여대생의 걷기 스마트폰 앱 사용에 대한 경험은 앱에 대한 호감과 접근 용이성, 신체활동 강화 요소, 앱 사용을 위한 추가적인 요구로 범주화되었으며, 이를 신체활동의 동기화 역할로서의 스마트폰 앱으로 범주화하였다.

1) 신체활동을 강화

실제 스마트 폰 앱을 사용해본 결과, 스마트 폰 앱은 실시간 객관적인 피드백으로 자신의 걸음수가 부족함을 인지하게 만들어 주고, 보상과 목표 달성 기능은 성취감을 느끼게 해 준다고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앱 내 커뮤니티는 참여자간 걸음수 비교와 순위 표시로 친밀한 친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느꼈다고 한다. 이런 순위 기능이 성취감과 경쟁심,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게 하여, 실제 신체활동을 의식적으로 더 하려고 했다고 하였다. 이런 스마트폰 앱의 기능은 대상자에게 강화 요소로 작용하였다.

“다른 사람의 걸음수와 나의 기록을 비교해보면서 의식적으로 더 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걷게 된다.”

2) 앱에 대한 접근 동기

여대생들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건강 관리나 신체활동을 하는 것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트렌디한 느낌이어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서 스마트폰 앱이 선호되며, 매력적인 디자인의 앱을 선호한다고 표현하였다.

“스마트 폰을 통해 인터넷에 바로 접속이 가능하고 트렌디한 느낌이다.”

3)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추가적 요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참여도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요구 사항으로 정기적인 알람 기능, 식이 일지 작성과 같은 다양한 건강관리 기능의 통합 등이 있었다. 앱 내에서 신체활동이나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에 바로 접근할 수 있거나 공유하기를 원하였다. 이 외에 현재 걸음수나 활동량 측정 방법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고 개별적으로 수정하여 작성할 수 있기를 요구하였다.

“다이어리, 식사일지, 칼로리 계산기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Ⅳ. 고찰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과 스마트폰 앱 경험을 탐색하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먼저, 잘 움직이지 않는 생활습관을 가진 여대생이 신체활동을 시작하게 만들려면 신체활동을 해야 하는 동기를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여대생들은 다이어트나 체형 변화, 건강상의 문제 등 개인적인 목적을 가지고 신체활동을 시작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 결과는 선행 연구 결과[8]와 유사하나, 일부 대상자들 중에는 ‘아직 신체활동을 해야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대답한 학생들도 있다. 기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에 목적을 가지고 찾아오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사람에게 제공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신체활동에 대해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프로그램 소외자가 될 수 있다.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는 대학생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간호대학생 중 40% 이상이 신체활동에 관심이 없다고 보고된 경우가 있었다[4]. 이에 신입생 때부터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지시켜 주거나 개별적인 간단한 건강검진결과를 제공[7]하여 필요성에 대한 인지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인식 변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개인별 체성분 분석 후 피드백을 해주거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간단한 설문지나 신체활동 권고사항에 대한 짧은 교육 등을 제공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시스템적으로 대학 전체가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가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신체활동은 대학이 학생의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에서 주체가 되어 대학 내 환경 개선이나 교육 정책 변화들을 만들어 갈 때, 신체활동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도 참여하여 그 효과는 증폭될 것이다.

일단 시작한 신체활동이 지속되는 것은 더욱 중요한데, 참여자들은 신체활동을 지속시키는 요인은 시간 조정이 유연한 신체활동, 신체활동을 통한 성취감, 지속적인 재미라고 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 신체활동을 지속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재미와 성취감, 사회적 지지를 언급한 내용과 유사하다[4], [11]. 바쁜 학교 생활 속에서 시간 조정이 유연한 신체활동을 위해서는 홈트레이닝을 유사하게 구현한 디지털헬스시스템 등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다[22]. 본 연구 참여자들은 신체활동에 대한 재미와 흥미에 대한 부분을 ‘개별적이면서도 또 함께할 수 있는 요소’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추후 프로그램 개발시 혼자 해도 재미있는 신체활동이면서, 시간적 제약으로 동료들과 동시에 신체활동을 할 수는 없더라도 함께하고 있다는 또래의 지지를 느낄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신체활동을 일단 시작한 대상자들에게는 신체활동이 자신의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해주고, 지속적으로 신체활동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략도 필요하겠다.

한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중단 요인은 운동할 시간 부족과 학업, 우선순위에서 밀린다는 것이었다. 이는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대학생의 신체활동 방해요인인 학업, 시간 부족 등과 유사하다[3], [7], [8]. 또한 참여자들은 신체활동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금전 부족이나 외부 요인에 의한 압박감으로 신체활동을 중단한 사례를 보고하면서 캠퍼스 자원 부족을 지적하였다. 실외 운동장과 공 하나만 있으면 모여서 공을 찰 수 있는 남학생과 달리 여자 대학생은 요가나 필라테스와 같은 실내 운동 프로그램이나 공간, 그리고 공용 샤워 시설 등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경제적 제한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비용이 드는 신체활동을 지속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대학교 내 여자 대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공간 마련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여대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특정 걷기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고 그 경험을 확인하였다. 참여자 15명 중 이전에 만보계, 스마트밴드나 만보계와 같은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기능이 있는 앱을 사용해본 대상자는 아무도 없었고,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3명(20%)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여대생들의 신체활동 실천률에 관한 선행연구[3],[4]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스마트폰 앱을 통한 건강 프로그램 참여가 보다 ‘트렌디’하고 접근이 쉽다고 하였고, 스마트밴드나 스마트워치 사용은 다소 ‘올드’한 느낌이 있다고 하면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보다 접근성이나 활용도가 높다는 의견을 주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스마트폰 걷기 앱은 이전 다른 건강 앱에서 사용된 전문가의 실시간 피드백이나 교육 제공 등의 기능은 없었으나, 실시간 개인별 걸음수 감시와 일별 걸음수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체 참여자 중 자신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또한 참여자 15인으로만 이루어진 소그룹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였다. 앱을 통해 신체활동을 경험한 대상자들은 실시간으로 자신의 걸음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걷기가 부족한지 증진되었는지를 인식하게 하는 부분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목표 걸음수 세팅은 목표 달성 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신체활동을 유지시키고 강화시켰다. 특히 커뮤니티 내에서 친구들 간 순위 비교나 상호작용을 통해 경쟁심에 의식적으로 더 많이 걷게 되었고 걷기 운동이 지루하지 않고 재미가 있었다고 하였다. 이는 커뮤니티 기능이 그룹 역동, 집단 자극 요소가 되면서[23] 신체활동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앱 사용을 통해 개별적으로 신체활동을 함과 동시에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함께 재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던 점 역시 신체활동 강화 요소로 작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커뮤니티에서 자신의 신체활동 경험을 공유하는 것도 추천하였다. 추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다면 친구들과 함께하는 커뮤니티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과 주간 순위를 보여주는 기능을 꼭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스마트폰 앱은 게임이나 경쟁 요소를 시각적으로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으므로 이를 잘 활용한다면 대상자에게 자신과 함께 누군가가 신체활동을 계속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 연구[24]에서 스마트폰 앱 내 게임 기능을 넣거나 미션을 주는 것도 재미와 성취감을 대상자로 하여금 느끼게 하여 신체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제안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확인한 한 여대생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요구 사항이었던 ‘개별적이면서도 또 함께’, ‘언제 어디서든 본인이 원할 때 참여가능한 신체활동의 형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충분히 실현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앱 기능 활용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중단 요인을 해소하고, 신체활동을 지속하게 만드는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중에는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으로 커뮤니티 기능이 있더라도 주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이 있다면 신체활동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욕구의 연장으로 보여진다. 구체적인 오프라인 방법으로 학과별 경쟁 미션이나 일회적 마라톤 모임 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들은 대학교라는 특정 공간을 공유하고 있다는 부분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스마트폰 앱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시 온라인상의 피드백과 모임 뿐 아니라 적절한 주기를 가지고 오프라인 모임이나 피드백을 설계하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행동 변화 전략에 적절한 보상에 대한 고민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여대생들은 자신의 목표 달성에 대한 보상에 대한 욕구는 높지 않았다. 매일의 칭찬이나 친구사이의 순위로 받는 금메달 이모티콘만으로 충분히 보상이 되었다고 하였다. 최근 많은 걷기 스마트폰 앱이 걸음수에 대해 금전적 보상에 주요 강화 기전을 두고 있는 상황에 반대되는 결과이기도 하다. 성취에 대한 보상이 금전적 보상 외에 일상적 보상을 주거나 게임과 같이 재미 유발로 보상 강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계가 요구된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스마트폰 앱이 신체활동 증진에 도움이 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기능이 더해지면 스마트폰 앱 활용을 더 많이 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요구사항으로는 하나의 앱에서 식단 관리나 일기와 같은 다른 건강관리를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다. 또,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과 상관없이 정확한 신체활동량 측정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주기적인 알림으로 자신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어하였다. 스마트폰 앱 내 걸음수나 활동량 측정에 대해 정확도를 높여 앱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대상자 중심의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기술적인 보완과 콘텐츠 개발도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앱이 실시간 변화하는 참여자의 상태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활동이 기록되고, 참여자를 만나러 가기 위한 노력 없이 피드백이 가능하며, 앱 내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내 손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그룹 역동을 만들어 주어 사회적 지지 자원도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앱 활용이 기존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고 또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중심의 프로그램 운용으로 프로그램 콘텐츠의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리라 본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일개 대학의 학생들을 표본으로 하여 결과 해석의 일반화에 제한점을 가지므로 추후 프로그램 개발시 더욱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학과의 여자 대학생들을 포함시켜 그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15명의 여대생의 신체활동과 걷기 스마트폰 앱에 대한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여대생은 학업과 관련된 시간 부족과 경제적 부담, 교내의 여대생을 위한 신체활동 공간과 자원 부족 등의 이유로 신체활동을 지속하지 못하고 중단하고 있다. 신체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 자체가 개별 시간에 따라 운용가능하면서도 또 함께할 수 있는 유형이어야 하고, 신체활동을 통해서 지속적인 성취감과 재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를 기대를 하였다. 자기 감시와 커뮤니티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앱의 사용은 개별적인 활동량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으로 인지가 강화되고, 따로 또 같이 하는 신체활동으로 재미와 보상, 상호 작용을 경험하게 하여 신체활동 장애 요인은 줄어들고 지속할 수 있는 동기가 강화되었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활용될 앱은 보다 정확한 신체활동 측정과 복합적인 건강관리 기능 등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여대생의 신체활동 유지 동기 요소로서 스마트폰 앱의 기능과 요구 사항을 추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7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o. 2017R1C1B5076609)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et]. Available: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pa/en/index.html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Available: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3. Y. B. Kim, C. M. Park, H. H. Kim, and C, H. Han, “Health Behavior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Health Clinics,” J Korean Soc Sch Community Health Educ, Vol. 11, No.1, pp. 79-91, 2010.
4. K, Seo. “Factors Affect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 Health Info Stat, Vol. 44, No. 1, pp. 92-101, 2019.
5. W. K Kim,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of Undergraduates,” Korean J Sports Sci, Vol. 21, No. 2, pp. 1189-1198, 2012.
6. G. S. Kim, C. Y. Lee, I. S. Kim, T. H. Lee, E. Cho, and H. Lee et al, “Assessing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Vol. 27, No. 3, pp. 466-479, 2013.
7. J. H. Bae, Y. H. Lee, and A. S. Lee, “The Perception and Barriers of Physical Activity to University Freshmen,” Korean J Sport Pedagogy, Vol. 21, No. 4, pp. 119-137, 2014.
8. J. M. Kim, K. W. Koh, Y. J. Kim, and Y. H. Shin, “Status of and Challenges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Vol. 28, No. 5, pp. 51-60, 2011.
9. B. A. Lewis, M. A. Napolitano, M. P. Buman, D. M. Williams, and C. R. Nigg. “Future Directions in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Research: Expanding our Focus to Sedentary Behaviors, Technology, and Sisseminatio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 40, pp. 12-126, 2017.
10. L. K. Bartholomew Eldredge, C. M. Markham, R. A. C. Ruiter, M. E. Fernández, G. Kok, and G. S. Parcel,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2016.
11. G. M. Harari, S. R. Müller, V. Mishra, R. Wang, A. T. Campbell, P. J. Rentfrow, and S. D. Gosling, “An Evaluation of Students’ Interest in and Compliance with Self-tracking Methods: Recommendations for Incentives Based on Three Smartphone Sensing Studies,” Soc. Psychol. Personal. Sci, Vol. 8, pp. 479-492, 2017.
12. Y. J. Kim,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9, pp. 369-379, 2012.
13. J. Bort-Roig, N. D. Gilson, A. Puig-Ribera, R. S. Contreras, and S.G. Trost, “Measuring and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with Smartphone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 Vol. 44, No. 5, pp. 671-686, 2014.
14. J. H. Cho, G. J. Song, J. H. Oh, and H. K. Chung, ”Current Mobile App Contents and Technologie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ng Intervention,”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Vol. 18, No. 1, pp. 1-15, 2016.
15. G. Flores Mateo, E. Granado-Font, C. Ferré-Grau and X. Montaña-Carreras, “Mobile Phone Apps to Promote Weight Loss and Increase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Med Internet Res, Vol. 17, No. 11, e253, 2015.
16. H, N. Kim and K. S. Seo, “Smartphone-Based Health Program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and Tackling Obesity for Young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ol. 17, No. 15, 2020.
17. T. Miller, L. Chandler, and M. Mouttapa, “A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 46, No. 4, pp. 207-215, 2015.
18. J. Zhang, D. Brackbill, S. Yang, J. Becker, N. Herbert, and D. Centola, “Support or Competition? How Online Social Networks Increase Physical Activ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eventive medicine reports, Vol. 4, pp. 453-458, 2016.
19. D. D Carter, K. Robinson, J. Forbes, and S. Hayes, “Experience of Mobile Health i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and Meta-Ethnography.”, PLoS ONE, Vol. 13, No. 12, 2018.
20. H. M. S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J Korean Assoc Qual Res, Vol. 2, pp. 56-63, 2017.
21. J. Saldana,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Publication, 2016.
22. E. W. Shin, “Design and Realization of Smart Health System for Home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0, No. 3, pp. 451-457, Mar. 2019
23. M. I. Stuckey, S. W. Carter, and E. Knight. “The Role of Smartphones in Encouraging Physical Activity in Adults,” Int J Gen Med, Vol. 10, pp. 293–303, 2017.
24. J. Y. Kim, N. E. Wineinger, M. Taitel, M. Radin, O. Akinbosoye, J. Jiang, N. Nikzad, G. Orr, E. Topol, and S. Steinhubl, “Self-monitoring Utilization Patterns Among Individuals in an Incentivized Program for Healthy Behaviors,” J Med Internet Res, Vol. 18, No. 11, 2016.

저자소개

서경산(Kyoung-San Seo)

2014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2015년 3월 ~ 2020. 8월: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2020년 9월 ~ 현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관심분야:신체활동 증진, 모바일헬스

한달롱(Dal-Long Han)

2014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2014년~현 재: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관심분야:정신간호, 간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