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 No. 10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No. 10, pp. 1777-1790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25 Sep 2020 Revised 20 Oct 2020 Accepted 20 Oct 2020
DOI: https://doi.org/10.9728/dcs.2020.21.10.1777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 기반 AI 영어학습 앱 서비스 제안
강지원1 ; 서다은1 ; 어예진1 ; 김건동2, *
1홍익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학부과정
2홍익대학교 디자인컨버전스학부 교수

Suggestion of AI English Learning App Service based on Real-Time V-Log Contents
Jiwon Kang1 ; Daeun Seo1 ; Yejin Eo1 ; Geon-Dong Kim2, *
1Undergraduate Program, Major in Digital Media Design, Hongik University, Sejong 30016, Korea
2Professor, School of Design Convergence, Hongik University, Sejong 30016, Korea
Correspondence to : *Geon-Dong Kim E-mail: geon705@gmail.com


Copyright ⓒ 2020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최근 영상기반 스낵 콘텐츠의 소비 확산과 자기주도학습 학습자들이 늘어나면서 성인 영어학습 서비스 트렌드는 새롭게 변화되고 있다. 영어학습에 적용된 기존 스마트러닝 방식 또한 인공지능(AI) 플랫폼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수자(BJ)가 제작한 영상기반 실시간 브이로그 방송 형식의 수업과, AI의 역할 강화를 통한 개인화된 학습 서비스 제공을 통해 학습자의 영어 콘텐츠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어학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에 최종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영어학습 과정별 교수자, AI, 학습자의 역할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이를 컨셉화 한 앱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이후 이에 대한 파일럿, 본 테스트를 시행하여 실시간 브이로그는 생활 밀착형 회화 학습을 배우기에 적합하며, 역할이 강화된 AI 서비스는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영어학습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됨을 검증하였다.

Abstract

The trend of adult English learning services is changing anew as the consumption of video-based snack content has recently spread and the number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has increased. The existing smart learning method applied to English learning is also rapidly changing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platform. This study is aimed at enhancing the intimacy of learners' English contents and improving their language competency by providing personalized learning services through classes in video-based real-time Vlog broadcasting format produced by instructor(BJ)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AI. The research method developed an app prototype with the concept of the role scenarios of educators, AI, and learners in each English learning course through prior research. Later, pilot, this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real-time Vlogs are suitable for learning life-friendly conversation learning, and that AI services with enhanced roles help strengthen English learning competency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Keywords: Vlog, Independent Media, AI based Apps, English Education Apps, Smart Learning
키워드: 브이로그, 실시간 방송, 인공지능 학습, 영어학습 앱, 스마트러닝

Ⅰ.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영어학습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학습자는 스마트러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며 외국인과의 영어학습 및 교류 또한 간편해지고 있다. 스마트러닝의 성장에 따라 영어학습 시장에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짧은 콘텐츠로 학습하는 스낵 러닝(Snack Learning) 학습방식이 등장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맞춤형 개인화 학습을 위한 AI 기능들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영상을 활용한 모바일 영어학습 앱 서비스들은 사전 녹화된 영상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AI의 활용 역시 발음 교정 및 특정 학습 과정에서 학습 보조 역할 정도로 다소 소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를 챗봇 기술과 결합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소통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 과정에 AI의 역할을 강화하여 학습 과정에 맞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콘텐츠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어학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에 최종 목적을 둔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타 연령대보다 영어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만, 영어 공부의 시간 부족을 제약 요인으로 느끼고 있는 20대 성인 학습자를 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시간 브이로그의 주제는 ‘워킹 홀리데이와 취업을 위한 비즈니스 회화’, 그리고 ‘쿠킹, 쇼핑, 및 여행 등의 상황에서 유용한 일상회화’와 같이 20대 대상자가 주로 관심 있어 하는 콘텐츠를 주 대상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획과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안 연구로 기술 중심의 연구는 아니며 AI 기술 적용의 경우, 사용자 테스트 과정에서 체험 병행 설문을 위한 용도로 시도되었으며 ‘라떼’ 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토타이핑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브이로그의 개념과 특성, 영어학습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모바일 영어학습 시장 및 브이로그 동영상 시장 내에 AI 기술이 도입된 사례에 관해 분석한다. 3장은 도출된 선행 서비스와 차별화된 컨셉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 기반 AI 영어학습 앱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한다. 4장에서는 프로토타입으로 개발된 앱의 사용 효과에 대해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해석한다. 마지막 5장은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 성과에 대한 전체 결론을 제시한다.


Ⅱ. 관련 연구 및 사례분석
2-1 브이로그 콘텐츠와 영어학습
1) 브이로그의 정의와 특징

1인 미디어(Personal Media)란 개인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공유하는 소통형 플랫폼으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지칭하며, 소셜 미디어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1]. 특히 1인 미디어에서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콘텐츠로 개인의 일상을 동영상으로 담은 브이로그(Vlog)가 부상하고 있다. 브이로그란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제작이 가능한 영상 콘텐츠를 말한다[2]. 2019년 2월을 기준으로 유튜브 키워드 검색 도구 키워드 툴(Keyword Tool)의 브이로그에 대한 검색 수는 6개월 만에 약 16배 증가하여 109만 건을 기록하였다[3]. 또한, 알바몬과 잡코리아가 20-30대 1,117명을 대상으로 ‘브이로그 콘텐츠 선호도’에 대하여 설문한 결과, 10명 중 7명이 브이로그 콘텐츠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선호 이유로는 35.1%가 텍스트보다 영상이 생생하게 전달되고 31.5%가 사람들과 소통하고 공감하기에 유용하기 때문이라고 답변하였다[4]. 이처럼 브이로그는 시청자가 개인의 일상에 공감하고 직접 소통이 가능한 참여형 영상 콘텐츠로써 흥미와 몰입감에 도움을 준다.

2) 영어학습 측면에서 브이로그의 활용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현지 언어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비언어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함께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은 아직 문법과 구조에 집중되어 있다[5]. 본 연구는 1인칭 시점으로 브이로거(Vlogger)의 일상을 공유하는 브이로그 콘텐츠를 영어학습에 접목시켜 영상 내에서 학습자에게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브이로거의 실제 표정, 제스처, 환경 등 비언어적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전달하여 소통감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표 1은 영국과 미국에서 학교에 다니며 일상 브이로그 콘텐츠를 주로 제작하고 있는 유튜버 재이(Wander Jess)와 유진(Youjin)의 채널 영상 화면이다[6]. 해당 채널에서 유학생 재이와 유진은 영어와 한국어를 함께 사용하며 일상의 모습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 시청자는 재이와 유진의 일상을 간접 경험하며 영국 대학생은 어떤 공부를 하는지, 미국 고등학생들은 어떤 슬랭을 사용하는지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브이로그 영상에 등장하는 브이로거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므로 학습자는 본인의 관심사와 상황에 맞는 영상을 찾아보며 상황 기반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실생활에 사용되는 영어 표현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브이로그 콘텐츠의 장점을 영어학습에 접목하여 흥미롭고 생동감 있는 실시간 방송으로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한다.

Table 1. 
Examples of YouTube Vlogs
Images of YouTube Vlogs
Vlog screenshots of 'Wander Jess', a British student
Vlog screenshots of 'Youjin', a U.S. high school student

2-2 영어학습 환경변화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은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끊임없는 학습이 가능하며[7], 교수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양방향 지식 공유가 가능한 학습방법을 의미한다[8]. 이와 같은 스마트러닝의 등장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짧은 시간에 과자를 먹듯이 즐길 수 있는 스낵 컬처(Snack Culture)와 학습(Learning)을 합친 스낵러닝(Snack Learning) 환경을 성장시켰다. 스낵러닝은 학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힘든 성인 학습자에게 핵심 정보만 정리하여 제공하며 짧은 시간에 수업 집중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9]. 영어학습 환경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2019년 트렌드 모니터에서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성인 영어학습’ 관련 설문 조사에 의하면 성인 중 70.2%가 영어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그중 영어 회화 능력은 개인의 경쟁력이라는 문항에 20대가 50.3%의 답을 할 정도로 젊은 층일수록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영어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영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은 19.6%로 많지 않았다. 젊은 층일수록 영어 공부를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시간 부족’을 꼽았는데, 39.7%가 정기적으로 시간을 내 공부하는 것이 어렵고, 30.6%가 영어 공부를 위해 따로 시간을 내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했다[10]. 이를 볼 때 성인 학습자에게 스낵러닝이 가능하도록 돕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영어학습 시장이 빠르게 변화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스낵러닝 환경에 맞춰진 앱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녹화된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이 중심으로 여전히 교수자와 학습자가 양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실시간 방송 형식을 도입함으로써 현 스낵러닝 콘텐츠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실시간 1인 인터넷 방송은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이는 BJ와 학습자의 친밀감과 몰입감을 높여주어 스마트러닝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11].

2-3 인공지능(AI) 모바일 영어학습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사례

언어학습 과정에서 TELL(Technology-Enhanced Language Learning)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M-learning)은 교육 도구로써 새롭게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같은 테크놀로지를 통한 모바일 학습은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12]. 영어학습 시장에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러닝 모바일 서비스가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이유도 그 연장선에 있다.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자연언어 이해능력, 지각능력, 학습능력, 추론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하는 기술[13]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AI 기술이 도입된 영어학습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해 영어학습 서비스에서 AI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문제점 및 기회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본 연구의 사례 분석 대상은 AI를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 영어학습 앱 중에서 인지도를 기준으로 ‘케이크(Cake)’, ‘스픽(Speak)’, ‘듀오링고(Duolingo)’, ‘튜터링(Tutoring)’앱을 선정하였다.

1) 음성인식 AI를 활용한 영어 발음평가 기능

AI 기술이 도입된 영어 발음평가 시스템은 음성인식 엔진과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비원어민의 영어 발음을 평가하고 교정하는 기술이다[14]. 음성인식 AI를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바일 서비스로는 케이크(Cake) 앱과 스픽(Speak) 앱이 있다. 해당 앱이 제공하는 AI 서비스는 학습자의 발음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전달한다. 케이크 앱은 짧은 영상 콘텐츠 학습 후 AI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대화하듯이 회화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스픽 앱은 학습자의 단계별 문장 발음 학습을 통해 자연 암기를 돕고 있다. 사례를 볼 때 학습자들은 교수자 없이 자신의 발음평가와 발음 교정을 AI를 통해 도움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어학습 콘텐츠에 해당 기술을 접목하여 학습자가 언제든지 AI를 통해 발음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해당 피드백을 전달받은 교수자는 해당 학습자의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자 한다.

2) 콘텐츠 기반 필터링 기술의 활용

콘텐츠 기반 필터링(Contents Based Filtering)은 정보 필터링과 정보 검색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분석한 후 사용자 프로파일을 만들고 이와 흡사한 특징을 지닌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술이다[15]. 콘텐츠 기반 필터링을 영어학습 콘텐츠에 도입한다면 AI에게 학습자 프로파일과 교수자 콘텐츠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학습자가 본인의 관심사와 맞는 교수자의 콘텐츠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이 기술은 본인에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찾기까지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전화 영어 서비스에 AI 튜터를 접목한 튜터링(Tutoring) 앱의 AI는 학습자의 레벨 테스트 결과를 활용하여 학습 목적에 맞는 코스를 추천하고, 학습자의 관심사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23개의 언어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듀오링고(Duolingo) 앱의 AI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성과 정보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 과정을 생성하고 있었다. 콘텐츠 필터링 기술이 활용된 영어 회화 앱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관심사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제공에 AI가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3) 24시간 영어학습을 돕는 AI 챗봇 기능

챗봇(Chatbot)은 딥 러닝(Deep Learning)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부합한 정보를 대화형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챗봇은 질문이 생기면 메신저 플랫폼을 통하여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대화 방식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외국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챗봇은 사람보다 부담 없이 질의 응답할 수 있는 장점으로 학습자의 자발성에 의한 언어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16]. 튜터링(Tutoring) 앱과 케이크(Cake) 앱의 AI는 보이스 챗봇으로 24시간 어느 때나 학습자와 대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일정에 맞게 AI와 회화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사례는 영어 회화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서비스인 만큼 챗봇 기능이 발음을 연습하는 데 집중되어 있어 챗봇의 장점을 다양하게 접목하지 못하고 있다.

4) AI 활용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사례 종합 분석

AI를 활용한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교수자 없이 발음 교정 등 개별학습 영역에서 자율 학습이 가능하였다. 둘째, 선호 콘텐츠를 추천받음으로써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였다. 셋째, 시간 구속 없이 24시간을 자유롭게 영어 회화 공부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선 사례에서의 AI 기능은 주로 회화 연습 영역에서 발음을 교정해주는 보조 역할 중심이었다. 따라서 언어 4대 영역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중 말하기와 듣기 영역에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의를 시청하는 ‘학습 중’ 단계에서 AI의 기능에 대한 기획은 부족해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의 장, 단점을 종합하여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에 AI 기능을 접목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24시간 자유롭게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고, 관심사 및 진도에 따른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 사례들의 기획이 부족한 ‘학습 중’ 단계에서 AI의 역할을 강화하고, 전체 학습 단계에서 AI가 특정 언어 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학습자의 전반적인 언어 역량 향상에 고르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획하고자 한다.

2-4 브이로그 동영상 편집과 연계된 인공지능(AI) 서비스 사례
1) 네이버 블로그의 동영상 편집 도구

네이버는 2018년 블로썸 데이에서 AI 도입 및 동영상 기능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그 중 '브이로그 에디터'는 음성 분석으로 동영상 내 짧은 영상이나 사진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보여주는 기능으로 콘텐츠를 손쉽게 편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17]. 이러한 AI 기술을 영어학습 서비스에 활용하면 AI는 학습자가 원하는 특정 학습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2) ‘브류(Vrew)’의 AI 음성인식 영상편집 기술

STT(Speech To Text)는 사람이 말한 음성을 AI가 해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18]이며 유튜브와 같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실시간 자막을 생성할 때 사용된다. 이를 활용한 인공지능 영상편집 서비스 브류(Vrew)에서는 AI가 동영상 속 음성을 추출하여 자막을 생성하고 있었으며, 사용자가 STT로 생성된 텍스트만으로도 빠르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해당 기술을 영어학습 서비스에 활용한다면 학습자는 음성으로 자동 생성된 자막을 통해 영상에서 사용되는 영어 표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학습하고 싶은 영상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기록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이처럼 학습자에게 영상 이미지와 오디오, 그리고 텍스트가 결합된 서비스가 제공되면 학습자는 정보를 여러 관점에서 조직화하고 처리하여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19].

2-5 관련 연구 및 사례 분석의 종합 분석 및 해석

관련 연구와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브이로그 콘텐츠는 다양한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이 본인의 일상에 관련된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기 때문에 연출된 상황보다 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를 담을 수 있다. 또한, 브이로그가 실시간으로 진행될 시 학습자와 브이로거의 직접적인 상호소통이 가능하다. 영어학습 측면에서 브이로그 콘텐츠는 학습자가 해당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현장감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 현재 영어학습 시장은 스마트러닝과 스낵러닝과 같이 시공간에 상관없이 짧고 간단한 영상을 통해 영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다. 특히 스낵러닝의 발전은 시간이 부족한 성인 학습자에게 짧은 시간 내에 핵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 학습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 영어학습과 브이로그에 연관된 AI 사례를 분석한 결과 영어학습 앱은 영어 발음평가, 콘텐츠 기반 필터링, 챗봇 등 다양한 AI 기술에 접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례 앱들의 AI는 공통적으로 특정 학습 단계에만 보조적으로 돕는 역할로 사용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에 브이로그에 연관된 AI 기술인 음성인식 편집 기술을 접목하고, 챗봇 기능을 강화한다면 브이로그에 특화된 24시간 AI 영어학습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로 오락성 콘텐츠로 소비되던 브이로그를 교육 콘텐츠까지 확장하고 이에 AI 기술을 결합하여 성인 학습자에게 실시간 영어학습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그림 1은 각 항목에 대한 관련 서비스 사례를 종합 분석한 내용이다. 또한, 표 2는 관련 연구 분석을 핵심 분석 결과 및 니즈 관점, 그리고 도출된 키워드 기준으로 정리한 표이다.


Fig. 1. 
Analyses relevant service cases

Table 2. 
Comprehensive analysis of related research
Types of Related Research Key Results and Needs Eliciting Keyword
Vlog - Increase immersion through empathy
- Easily experience diverse lives indirectly
- Participating video content that enables direct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Close to life
- Easy accessibility in terms of production
- A sense of realism
- Participating video content
Changes in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 English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is prevalent
- Seamless training available
- Development through snack learning using spare time
- Two-way knowledge sharing
-Close to life
- Constant education
- Snack running
- Two-way knowledge sharing
AI Cases in the English Learning App - 24/7 learning
-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for learners
- passive in the learning stage
- passive in reading/writing among the four major areas of language
- 24-hour learning
- Customized training
- Auxiliary
AI Case in Vlog - Automatic video editing is possible through voice analysis - Voice Analysis
- Automatic video editing


Ⅲ. 실시간 브이로그 기반 맞춤형 영어학습 앱 제안
3-1 서비스 콘셉트

본 연구는 표 2의 관련 연구 종합 분석을 통해 도출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 기반 AI 영어학습 앱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앞서 도출한 '생활 밀접', '스낵러닝', 그리고 '24시간 학습'의 키워드에 따라, 5분에서 15분 이내의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에 AI를 접목하여, 시공간 제약 없이 흥미로운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통해 학습효과를 강화하는 서비스를 본 연구의 핵심 콘셉트로 도출하였다.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와 AI의 접목을 통해 학습자가 시간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학습 전, 중, 후의 단계에 맞춰 서비스 컨셉을 구체화 시켜 보았다. 학습 전에는 ‘맞춤형 교육’ 키워드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AI로부터 관심사 키워드를 이용해 콘텐츠를 추천받고 이를 통해 관심 있는 분야나 직업군에 관련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구성하였다. 학습 중에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브이로그 방송을 통해 BJ 주변 환경 및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도출된 키워드 중 ‘끊임없는 교육’, ‘양방향 지식 공유’, ‘24시간 학습’, ‘참여형 영상 콘텐츠’의 경우 AI 챗봇 기능을 결합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BJ가 양방향으로 소통하며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언어 4대 영역의 학습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말하기와 듣기 영역에서는 학습자가 AI를 통해 발음을 교정받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학습 후에는 ‘음성 분석’ 및 ‘자동영상편집’ 키워드를 활용하여, AI가 BJ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를 토대로 영상을 자동 편집함으로써 구간 복습할 수 있는 기능 제공을 시도하였다.

1) 프로세스에 따른 사용주체별 역할 유형 및 기능 구성도

본 서비스는 서비스의 사용 주체를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학습자(Learner)는 주 사용 대상자인 20대 성인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영어 표현을 니즈에 따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시청자 역할로 설정하였다. AI 튜터(AI Tutor)는 기존 AI 사례에서 소극적으로 사용되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학습 도우미이자 맞춤 콘텐츠 제공자 역할로 설정하였다. BJ 멘토(BJ Mentor)는 영어 방송을 브이로그 형식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작자이며 동시에 진행자 역할이다. 이때 BJ 멘토는 브이로그 특징인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현장감 있는 학습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O’Mally와 Chamot의 학습 전략 분류표[20]를 참고하여 그림 2와 같이 학습 전, 중, 후의 영어학습 과정에 따라 학습자, AI 튜터, BJ 멘토의 역할 유형과 기능, 수행 임무를 정리해 보았다.


Fig. 2. 
Role Function Composition by Learning Course

3-2 학습자 시나리오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1) 서비스 프로세스 및 화면 구성도

그림 3은 전체 애플리케이션 기술 및 화면 구성도이며 그림 4는 앱 내 프로세스별 화면을 정리한 내용이다. 가입 화면의 하위 구조는 학습 목적 및 관심사 등록하기, AI 튜터 성격 선택하기, 영어 실력 파악하기로 구성되며 홈 화면은 추천 강좌, 구독하는BJ 멘토, 저장한 영상, 내 노트, 마이 페이지로 구성된다. 예습 단계는 방송 주제 파악하기, 주요 표현 및 단어 파악하기, 퀴즈로 예습 내용 점검하기 기능이 제공되며, 학습 단계는 노트하기, 퀴즈 풀기, 질문하기 기능이 제공된다. 방송이 종료되면 학습자는 방송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고, 이어지는 복습 단계는 챗봇을 통한 복습하기 및 성장 분석 정보가 제공된다.


Fig. 3. 
Application Technology and Screen Diagram


Fig. 4. 
Screen by Service Process

2) 비주얼 콘셉트

그림 5는 친근감을 강화한 본 연구의 대표적 비주얼 콘셉트로 아바타의 적용과 그 모션 유형의 예이다. BJ 멘토는 성별, 의상, 액세서리 등 본인과 닮은 아바타를 설정할 수 있다. BJ 멘토의 아바타는 방송 썸네일에 사용되며, 방송 썸네일에 활용되는 아바타는 방송 테마에 따라 모션이 변한다. 가령 비즈니스 회화와 관련된 방송을 진행할 경우 강의하는 모션으로 변경된다.


Fig. 5. 
Screen of BJ Mentor Avatar and Motion Types

3) 학습자 정보 등록

학습자가 앱을 처음 실행한 경우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관심 콘텐츠 설정, AI 튜터 성격 결정, 영어 실력에 대한 학습 정보를 등록한다. 학습 목적 등록 시 분류 체계로는 시험 준비용 영어, 일상회화, 기초영어, 비즈니스 회화가 있으며, 각 분류별로 연관 관심 키워드를 고를 수 있다. 가령 일상회화를 선택한 학습자에게는 쇼핑, 쿠킹, 게임 등의 관심사 키워드를 제공한다. AI 튜터성격으로는 그림 6과 같이 적극적인 튜터, 성실한 튜터, 자유로운 튜터가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적극적인 튜터는 다양한 지식을 얻고 싶은 학습자를 위한 튜터이다. 학습 과정 중 방송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학습 흥미와 호기심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성실한 튜터는 확실한 실력 향상과 계획적인 학습을 원하는 학습자를 위한 튜터이다. 매일 학습을 유도하는 알람을 전송하며 다른 튜터에 비해 복습 분량이 많다. 자유로운 튜터는 구속이 싫은 학습자를 위한 튜터이다. 학습자가 원하지 않는 이상 대화를 먼저 시도하지 않으며 질문에 대한 피드백만 제공한다. 선택된 튜터는 학습 전체 과정에서 학습자와 함께하며 학습을 돕는다.


Fig. 6. 
Student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Level Assessment Screen

실시간 학습 콘텐츠는 스낵러닝 형식으로 쉽고 간단하게 배울 수 있게 제공되지만, 학습자의 영어학습 역량을 위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표 3과 같이 토플(TOEFL) 학습 영역을 재구성하여 서비스에 반영하였다[21]. 평가 기준은 미국식 영어에 대한 이해도와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토플과 같이 언어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읽기(Reading), 듣기(Listening), 말하기(Speaking), 쓰기(Writing)로 구성된다. 평가항목은 읽기 2개, 듣기 2개, 말하기 2개, 쓰기 2개 총 8지문이며 분량은 3분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지문은 ‘Profitability를 발음해보세요’처럼 생활 회화 표현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와 문장으로 간단하게 출제된다. 학습자의 레벨은 2000년 유럽평의회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기준인 ‘CEFR’에 따라 일상회화가 가능한 ‘초급’, 종합 대학수업이 가능한 ‘중급’ 수준, 원어민 수준의 ‘고급’으로 나뉘며 학습자의 프로파일에 최종적으로 지정된 레벨이 입력된다[22].

Table 3. 
List of Learner Skills
List Content
Evaluation method - Solving multiple-choice quizzes
- Solving subjective quizzes(Text)
- Speaking
Evaluation content - Listening 2 questions
- Speaking 2 questions
- Reading 2 questions
- Writing 2 questions
Examples of Evaluation Problems - Listening to and speaking words using basic English conversation words, finding the right sentences, and making sentences
Evaluation criteria - Pronunciation, fluency, content, composition, language use, assignment completion
Processing of evaluation results - Automatic recording of learner learning assessment
- The recorded data i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results
- Lev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rived evaluation

4) 학습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

메인 화면에 진입하면 그림 7처럼 앱 상단에는 현재 방송을 진행하고 있는 BJ 멘토의 방송 콘텐츠가 테마별로 추천되며, 하단에는 학습자의 관심사에 맞는 키워드별 콘텐츠가 추천된다. 이때 맞춤형 콘텐츠 추천은 BJ 멘토의 방송 키워드 프로파일(Item profile)과 학습자의 정보 프로파일(User profile)을 추출하여 해당 데이터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제공된다. BJ 멘토의 방송 키워드 프로파일의 경우 BJ 멘토가 방송 전에 학습자와 본인의 방송을 연계하기 위하여 입력한 방송 키워드를 말하며 학습자 정보 프로파일의 경우, 학습자가 가입 과정에서 등록하는 사전데이터를 말한다. 방송 썸네일 이미지는 BJ 멘토가 직접 원하는 썸네일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전반적인 방송 분위기와 스타일을 짐작할 수 있다.


Fig. 7. 
Main Screen and Theme Detail Screen

5) 방송 시작 및 등록하기

BJ 멘토는 방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그림 8과 같이 방송 정보, 예습 내용, 복습 내용, 학습 도중 활용할 카드를 미리 등록해야 한다. 방송 정보는 제목, 시간, 테마, 썸네일 미리 보기, 키워드, 난이도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의 적정 영상길이는 2016년 7월 WISTA가 분석한 시간대별 영상 일탈률을 참고하였다[23]. 해당 연구에서는 WISTA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 일탈률이 감소하는 6분~12분을 포함하여, 최소 5분에서 최대 15분의 방송 길이를 권장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BJ 멘토는 5분 길이의 영상일 때 특정 상황이나 분야에서 핵심 표현들을 빠르게 전달하는 방송을 진행할 수 있고, 10분에서 15분인 경우 시청자들과 예문을 연습하고 대화를 나누는 형식의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학습 중에 활용되는 카드는 구조에 맞게 배열하기, 빈칸 채우기, 발음 따라 하기, 기본 메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BJ 멘토는 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Fig. 8. 
BJ Mentor's Broadcast Registration Screen

6) 예습하기

학습자는 방송 시작 전 방송 내용을 예습할 수 있다. 이때 예습 내용은 BJ 멘토가 사전에 등록한 내용을 기반으로 방송 주제 파악하기, 주요 표현 및 단어 파악하기, 퀴즈로 예습 내용 점검하기 순으로 구성된다. 방송 주제 파악하기에서 학습자는 해당 방송에서 다룰 큰 주제에 대해 미리 살펴본다. 학습자가 주제에 대한 이해를 마치면 그림 9와 같이 BJ 멘토가 방송 내에서 다룰 주요 표현 및 단어 자료가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퀴즈로 예습 내용 점검하기에서 학습자는 AI 튜터와 함께 예습한 주요 표현과 단어를 활용한 퀴즈를 풀어본다. AI는 학습자의 오답을 파악하여 방송 시청 시 학습자가 주목해야 할 결과를 제안한다. 가령 예습 과정의 발음 퀴즈에서 ‘f’ 발음 정확도가 부족한 학습자에게 ‘profitability’라는 단어의 활용 부분에 주목하여 방송을 시청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방송 시 자신이 집중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사전 파악할 수 있다. 예습 퀴즈 결과는 4대 영역인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기준으로 평가되며 이후 보완해야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복습을 할 수 있다.


Fig. 9. 
Preview Screen

7) 학습하기

학습자는 학습 도중 퀴즈 풀기, 노트하기, AI 튜터 챗봇을 활용한 질문하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퀴즈 풀기는 BJ 멘토가 사전에 준비한 퀴즈 카드를 생방송 도중 적절한 상황에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을 통해 학습자는 방송에서 배운 표현을 재학습함으로써 중요 표현을 익히고, 방송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하기에서는 STT(Speech To Text) 기능으로 자동 생성된 자막을 자신의 노트 화면으로 드래그하여 그림 10과 같이 중요 부분에 하이라이트를 하거나 발음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이라이트 된 문장이 포함된 영상의 해당 부분이 추출되어 영상 단어장으로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된 색에 따라 ‘새로 알게 된 내용’, ‘복습하기’, ‘자주 보기’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림 11은 학습하기의 실시간 방송 과정에서 BJ 멘토가 진행할 수 있는 브이로그 콘텐츠의 예시이다. BJ 멘토는 표 4의 내용과 같이 장보기, 면접 준비 등 생활에 밀접한 상황을 기반으로 방송할 수 있으며, 방송에서 다룰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길이 및 카테고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Fig. 10. 
Note Screen


Fig. 11. 
Example of BJ Mentor Live Broadcast Content

8) 학습 중 챗봇 시스템을 통한 질문 및 피드백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간 방송 중 BJ 멘토가 모든 학습자의 질문에 답변하기 어려우므로 그림 12와 같이 AI 튜터 챗봇이 학습자에게 간단한 답변과 피드백을 제공한다. AI 튜터는 영어 단어와 예제가 포함된 다국어 온라인 사전 API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어 발음 분석, 단어 및 문장 뜻 번역, 예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AI 튜터가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의 경우 BJ 멘토에게 카드로 전달되어 방송 중, 혹은 방송 후에 답변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챗봇 내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너무 어려워’, ‘너무 빨라’ 등과 같은 간단한 피드백을 BJ 멘토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정 수 이상의 학습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BJ 멘토에게 ‘많이 들어온 피드백이에요’와 같은 카드형식으로 피드백이 전달된다. 이처럼 학습 중 과정의 AI 튜터는 스스로 답변 가능한 질문을 필터링하고, BJ 멘토가 받는 질문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 방송의 흐름이 끊임없이 유지되어 BJ 학습자와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Fig. 12. 
Chatbot screen of AI tutor and question screen that BJ mentor received

9) 복습하기 및 학습 성장 분석 제공받기

방송 시청을 완료하면 학습자는 AI 튜터 챗봇을 통해 복습하기 및 성장 분석을 제공받는다. 복습하기 과정에서의 챗봇 형태는 학습자의 복습 영역에 따라 텍스트형 챗봇과 보이스형 챗봇으로 나뉜다. 읽기와 쓰기 영역의 복습이 필요한 학습자는 텍스트형 AI 튜터 챗봇과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틀린 문법을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복습이 필요한 학습자는 보이스형 AI 튜터 챗봇과 대화하며 발음을 교정받을 수 있다. 복습 내용은 중요 표현 복습하기, 부족한 부분 다시 보기로 구성되며 중요 표현 복습하기에서는 BJ 멘토가 강조했던 표현 및 단어를 퀴즈를 통해 복습한다. 이때 AI 튜터는 ‘방송에서 다루었던 표현을 다시 볼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자의 복습을 유도한다. 배웠던 표현 연습하기에서는 AI 튜터 챗봇과 함께 학습하기 과정에서 배웠던 표현들을 연습할 수 있다. 가령 말하기 영역의 복습을 진행 중인 학습자가 'I am interested in something'이라는 문장에 대해 복습할 때, AI 튜터는 보이스형 챗봇 형태로 먼저 학습자에게 발음과 문장을 제시하여 연습을 돕는다. 또한, 따라하는 학습자의 발음을 분석하여 교정안을 제시한다. 부족한 부분 다시 보기에서 학습자는 그림 13과 같이 AI 튜터에게 궁금한 점을 질문하거나 다시 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가령 학습자가 ‘아까 interested in에 대한 부분 다시 볼래’라고 요청할 경우, AI 튜터는 학습했던 영상에서 ‘interested in’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하는 부분을 STT를 이용한 자막 편집 방법으로 제시한다. 복습까지 모두 마무리하면 AI 튜터 챗봇은 학습자의 성장 분석을 제공한다. 성장 분석에서는 해당 방송의 학습 여정을 기반으로 발음의 억양, 속도, 강세, 정확도를 분석하여 평균 발음 점수를 제공하며 학습 시작 날짜를 기준으로 실력 상승 정도를 제공한다.


Fig. 13. 
Review and growth analysis screen through chatbot


Ⅳ. 유저 테스트
4-1 파일럿 테스트

본 연구의 파일럿 테스트는 본 연구의 제안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으며 영어학습에 흥미가 있는 20대 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3일부터 15일까지 총 3일간 진행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참여자에게 앱 소개 및 유저 테스트 방법을 담은 안내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뒤, 프로토타입 툴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체험해보도록 하였다. 이후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객관식 20문항을 질문하였고, 진행 과정에서 서비스 보완점과 기능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4-2 프로토타이핑 및 유저 테스트
1) 유저 테스트 진행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2020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총 3일간 20대 7명을 대상으로 태스크 병행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유저 테스트의 대상자는 파일럿 테스트와는 달리 비즈니스, 일상회화 등 영어학습 서비스별 앱 사용 유경험자 중 영어학습 능력 강화의 의지가 높은 직장인, 학생, 취업준비생, 유학 준비생 중에 선정하였다. 태스크 병행 유저 테스트는 정성적 방법론으로 긴 시간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심화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파일럿 때와 달리 7명 대상자로 한정, 진행하였다. 조사 방법은 참여자에게 앱 소개 및 BJ 멘토의 방송 예시 영상을 보여준 후, 프로토타입 툴인 스케치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또한, 라떼 AI를 이용하여 복습 과정에 해당되는 AI 챗봇 서비스를 일부 구현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구글 행아웃을 통해 한 명씩 비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2) 유저 테스트 구성 및 결과 분석

본 설문은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근거 기반과 사전 경험 여부 기반 질문, 서비스 만족도, AI 튜터와 BJ 멘토의 역할 수행도, 활용 가능성 및 개선사항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2개 5점 척도 항목의 문항과 객관식 3문항, 주관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척도 평가항목은 평가 이유에 대한 하위 주관식 항목을 포함시켰다. 사전 경험 여부 기반 피험자 구성을 보면 영어와 관련된 브이로그 시청 경험 여부의 질문에 ‘네’라고 응답한 비율이 71.4%이다. 하지만 ‘해당 브이로그 영어 콘텐츠가 본인에게 실제 영어학습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는 66.7%가 ‘아니오’라고 답하였다. 주관식 하위 질문을 보았을 때 유튜브 등의 플랫폼에 의해 노출된 영상물은 학습용보다는 오락용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공지능을 결합한 영어학습 서비스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아니오’라고 응답한 비율이 71.4%로, 아직 인공지능을 결합한 영어학습 콘텐츠는 저변화가 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14. 
User Test Evaluation Process

그림 15의 1-1과 1-2는 서비스 만족도 영역이다. 서비스 만족도 영역은 표 2에서 관련 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도출한 인사이트 키워드를 바탕으로 서비스 효과와 만족도를 검증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점 척도와 객관식 복수 응답 문항 모두 응답 이유를 묻는 하위 주관식 항목을 포함하였다. 먼저, 1-1의 5점 척도 1번 문항에서 ‘영어학습과 브이로그 콘텐츠의 결합이 실생활 영어 표현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의 질문은 4.14점으로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답변이 많았다.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본인의 흥미와 알맞은 상황의 브이로그를 선택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과 BJ가 실상황에 쓰는 영어 표현을 제시함으로써 쉽고 기억에 용이함을 꼽았다. ‘실시간 브이로그 방송이 BJ 멘토(교수자)와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2번 문항에서는 4점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이유는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제시한 실시간 브이로그 방송의 현장감, 학습 몰입도 및 콘텐츠 공감지수’에 관한 3번과 4번 문항에서는 모두 3.3점과 3.57점으로 보통 수준의 점수를 받았는데, BJ 역할의 중요성이 언급되었다. 즉, BJ의 방송 진행 역량과 콘텐츠 구성 능력에 따라 현장감, 학습 몰입도 및 콘텐츠 공감지수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5분에서 15분 길이의 스낵러닝 형식 방송의 영어 학습효과’에 대한 5번 문항의 점수는 3.8점으로, 스낵러닝 수준의 방송 콘텐츠 분량이 학습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일부 기존 분량보다 짧은 5-10분 이내를 선호하는 답변도 있었다. ‘스낵러닝 형식의 방송이 언어 4대 영역 중 어떤 영역의 학습에 도움이 될지’를 묻는 객관식 8번 문항에서는 7명 모두 ‘말하기’ 영역을, 3명이 ‘듣기’ 영역에 복수 응답하였다. 스낵러닝 형식의 방송이 듣기와 말하기를 주로 활용하는 실생활 회화 학습에 주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황별 콘텐츠 추천 기능의 맞춤형 영어 교육 효과’에 관한 6번 문항의 응답은 4.2로 긍정적이었다. 또한, ‘AI 튜터의 도입이 24시간 자유로운 영어학습에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7번 문항의 응답이 평균 4.8점을 보이며,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인터랙티브 영어 교육 콘텐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한 객관식 9번, 10번 문항에서 학습자들은 ‘활발한 소통’을 위한 요소로 ‘질의응답’과 ‘실시간 반응’을, ‘학습 증진’을 위한 요소로 ‘교과 자료’ 및 ‘콘텐츠 소재’를 꼽았다. 그림 15의 2-1과 2-2는 역할 수행도 영역으로 AI 튜터와 BJ 멘토가 각각 서비스 내에서 기대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는지를 검증하는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서비스 만족도 영역과 마찬가지로 5점 척도와 객관식 복수 응답 문항 모두 응답 이유를 묻는 하위 주관식 항목을 포함한다. 2-2의 ‘AI 튜터가 학습 전체 과정에서 적절히 활용되는지’를 묻는 2번 문항에 대한 응답은 4.14로 긍정적이었으나 주관식 항목에서 AI의 기능이 다소 많다는 의견도 있었다. 복습 과정에서 AI 챗봇의 역할 수행도에 관해 묻는 3, 4번 문항은 각각 평균 4.2점과 4.14점으로 긍정적으로 챗봇 학습의 가능성을 기대하였으며 쓰기 영역 학습 시 패드의 펜을 사용한 아날로그 공부 방식이 접목되어도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영상 자동 편집 기능을 활용한 특정 영역 구간 영상 복습 기능의 효과에 관한 5번 문항에 대한 응답은 평균 4.7점으로 AI 기능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유로는 보고 싶은 부분을 즉각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 시간 활용에 용이하다는 점을 들었다. AI 기능 중 학습에 제일 도움이 되는 기능에 대한 객관식 1번 문항에서도 ‘자막 편집을 통한 영상 단어장 기능’이 ‘발음 교정’ 기능과 함께 선택되었다. 멘토 역할 수행도에 관련한 6번 문항에서는 평균 3.8점으로 다른 영역보다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결국 BJ 멘토의 역량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BJ 멘토가 제작하는 브이로그 콘텐츠 소재 중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는 소재에 대한 주관식 문항’에서는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 담긴 일상 브이로그, 나의 관심 분야, 취미 생활에 연관된 소재를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서비스의 활용 가능성 및 개선사항에 대한 주관식 3문항에 대해 ‘사용자가 공부했던 영상을 모아놓는 히스토리 기능’, ‘최신 유행어만 모아놓은 슬랭 사전’이 추가되면 좋겠다는 답변이 있었다.


Fig. 15. 
User Test Questions and Values


Ⅴ. 결 론

최근 학습과 흥미를 결합한 스낵러닝 기반 영어학습 서비스 도입이 시작되고 있지만, 아직 적용 방식은 소극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시간 브이로그 콘텐츠 기반 AI 영어학습 앱 서비스 제안을 통해 친밀감 있는 새로운 영어학습의 생태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이로그를 결합한 영어학습은 교수자의 일상을 간접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실재감과 학습 흥미도, 기억을 강화한다. 둘째, 영어학습 역량, 학습 전, 중, 후의 시점에 따른 AI 역할 강화의 긍정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5분에서 15분으로 진행되는 영상 플랫폼 기반 스낵러닝 형식의 영어학습은 언어 4대 영역 중 ‘말하기’학습 향상의 기대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AI를 결합한 영어학습은 교수자가 응대할 수 없는 24시간 자유로운 영어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끊임없는 학습 환경 제공 방법으로써의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자막 편집 영상 단어장, 발음 교정 등의 AI 기능은 선호도가 상당히 높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무리 플랫폼이 좋아도 결국 콘텐츠 제작자인 BJ의 소재 발굴 역량, 실시간 진행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획과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안 연구로 기술 중심의 접목에는 한계점이 있으나, 최대한 기술 리서치를 근간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1차 파일럿 테스트는 본 연구의 방향성 기획을 위해, 그리고 2차 태스크 병행 유저 테스트는 정성적 방법론으로 긴 시간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심화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7명 대상자로 한정하여 진행하였으나 피험자 그룹이 다소 적은 한계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새로운 서비스 기획 제안 연구로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교육 효과 측면의 영어학습 역량에 대한 성취도 측정까지는 진행되기 어려웠으며, 이는 후속 연구에서 이어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아직 선행 연구가 부족하지만 새롭게 열리고 있는 브이로그 콘텐츠 기반 AI 영어학습 연구에 초기 가이드가 되길 바란다.


References
1. Editorial Department, A New Type 1 Media Content Consumption Survey, Korean Consumer Agency, Chungcheong-do: Korea, pp. 1-78, July 2017.
2. Art Inside. Why do we watch Vlogs [Internet]. Available: https://www.artinsight.co.kr/m/page/view.php?no=35940#link_guide_netfu_64709_77360
3. J. Y. Yoon, J. Y. Yoo, and J. S. Lee,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User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YouTube Vlo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20, No. 4, pp. 189-201, April 2020.
4. The JoongAng Ilbo. 2030 Adults Prefer 67.9% Vlog Content [Internet]. Available: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205/99542569/1
5. J. H. Lee, Nonverbal Communication in English Educ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Video Materials, Master degree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January 2008.
6. WanderJess. London School of Pharmacy student Vlog [Internet]. Available: https://www.youtube.com/watch?v=eEVh4X7474Y&list=PLbFnLtAEzc3MmgD6cgwU0LYfLh29DP66h&index=25 Youji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Prom Party Vlog [Internet]. Available: https://www.youtube.com/watch?v=JGFLch9hWGw&t=23s
7. DBR. Diversifying platforms, the content is the problem [Internet]. Available: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1/article_no/4773
8. S. W. Choi, High School Spanish Education Teaching Method applied Smart-Learning, Master degree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February 2020.
9. hynews, Snack Culture, the smart snack you had [Internet]. Available: http://www.hy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8431
10. Openads. Trend monitor [Internet]. Available: http://www.openads.co.kr/nTrend/article/5737
11. Y. H. Jo, Psychological Effects of Interactivity for Internet Live Broadcasting Viewers: Moderating Role of User Motivations on Parasocial Interaction, Social Presence, and Flow, Master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December 2017.
12. J. G. Lee,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echnology-Enhanced Language Learning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How to enhance the way of TELL, Ph.D.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August 2016.
13. Ministry of Environment.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Available: https://www.me.go.kr/home/web/dictionary/read.do?menuId=10448&boardMasterId=&dicSeq=1003
14. AI hub. phonetic evaluation technique [Internet]. Available: http://www.aihub.or.kr/ai_software/371
15. L. L. Xiang, A Study on the Scientific Article Recommendation System Applying with Content Based Filtering,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August 2016.
16. D. E. Han, Effects of AI Chatbo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February 2020.
17. ChosunBiz. Naver Blog, Strengthens AI and Video[Internet]. Available: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15/2018061501417.html
18. Saltlux. voice recognition engine [Internet]. Available: http://www.saltlux.com/ai/stt.do?menuNumber=1
19. S. I. Park, J. Y. Son, “An Inquiry on the Presentation Principles of Audio-visual Information under the Multimedia-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Vol. 67, pp. 105-120, December 2003.
20. J. Y. Kim, The Study o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Adult Students of English in Different Language Contexts: EFL and ESL Contexts, Master degree dissertation,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June 2017.
21. ETS TOEFL. Understanding TOEFL iBT scores [Internet]. Available: https://www.ets.org/ko/toefl/test-takers/ibt/scores/understanding
22. CEFR TEST. Criteria for Level System [Internet]. Available: http://cefrtest.com/cefr/
23. M. Cassandra. What is the proper length of the video content? [Internet]. Available: https://21ctheageofdiscovery.com/100

저자소개

강지원(Jiwon Kang)

2016년 ~ 현 재: 홍익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재학

※관심분야:UX, UI, AI 등

서다은(Daeun Seo)

2016년 ~ 현 재: 홍익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재학

※관심분야:3d design, Motion graphic design 등

어예진(Yejin Eo)

2016년 ~ 현 재: 홍익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재학

※관심분야:UX, UI, Motion graphic design 등

김건동(Geon-Dong Kim)

1998년 : 홍익대학교 대학원(미술학석사)

2007년 :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USA(MFA, 미술학 석사)

2017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Doctor of Design, 디자인학 박사)

2001년~2004년: 엔씨소프트(NCSOFT)

2007년~2009년: Tellart, Interaction Design Consultancy, USA

2019년~2019년: Duk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USA

2009년~현 재: 홍익대학교 디자인컨버전스학부 교수

※관심분야:Interface Design, Information Design, Interaction Design, Meaning Making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