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 No. 4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1, No. 4, pp. 753-759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09 Mar 2020 Revised 15 Apr 2020 Accepted 25 Apr 2020
DOI: https://doi.org/10.9728/dcs.2020.21.4.753

아파트 브랜드 속성 모델링 요인이 신뢰 형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광1 ; 장재훈2, *
1부산외국어대학교 창업교육센터
2부산경상대학교 경영과

Impact of Apartment Brand Property Modeling Factors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Sung-gwang Jung1 ; Jae-hun Jang2, *
1Research Profess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Geumsaem-ro 485, Geumjeong-gu, Busan, 46234, South Korea
2Professor, Department of Mangement, Pusan Kyoungsang College, 170, Gobunro, Younje, Busan, 47583, Korea
Correspondence to : *Jae-hun Jang Tel: +82-51-850-1102 E-mail: jhj1102@bsks.ac.kr


Copyright ⓒ 2020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는 schmitt의 연구를 기반으로 아파트 브랜드 속성을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 속성(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신뢰는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파트 브랜드의 속성인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는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파트 브랜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보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s apartment brand attributes into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ship based on schmitt's research. We also wanted to find out how apartment brand attributes affect trust. Lastly, we tried to find out how trust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partment brand attributes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ship)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tudy variables. First of all, apartment brand attributes(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relation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addition, apartment bran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will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as a basis for apartment brand strategies.


Keywords: Apartment Brand,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Relationship, Trust, Purchse Intention
키워드: 아파트 브랜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신뢰, 구매의도

Ⅰ. 서 론

최근 아파트는 주거 목적 그 이상이다. 즉, 아파트는 관여도가 높은 제품이며 구매자는 신중하고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결국 아파트의 차별화 된 브랜드는 소비자의 마음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행동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매 및 소비를 의미하는 경제적 행동까지 포함되어 브랜드를 소비한다.

주거 개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브랜드 아파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브랜드 아파트의 등장은 전 세계적으로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회사의 기술 수준이 평준화 되었으며, 건설업의 기술 및 제품이 차별화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Alhaddad[1]에 의하면 제품을 중요시하는 것 보다는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현상이 오늘날 마케팅 추세이다. 2000년대 아파트는 1980년대와 1990년대보다 새롭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주거 문화를 설계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1990년대 민간 기업 아파트의 급격한 증가가 있다.

이 상황에서 아파트 브랜드 전략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였으며,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타 기업과 차별화되는 전략적 포지셔닝을 설계해야 했다. 특히, 브랜드 이미지는 광고, 가격 및 제품의 특성과 같은 다양한 컨셉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아파트 브랜드는 고유한 이미지를 구축하여, 소비자와의 관계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한편 아파트 브랜드 퍼스널리티는 이유재와 라선아[2]의 연구에 따라 브랜드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브랜드 자산의 최종 목적인 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아파트 시장에서는 브랜드 파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즉, 아파트 구매에 있어서 고객은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고려하고 있으며, 입지 조건이 동일하다면 소비자는 아파트의 외부 및 내부 설계에 대해 신뢰가 가능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아파트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측정을 통해 브랜드를 정확히 이해하고 향후 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건설시장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 시장에서의 경쟁은 심화되며, 결국 아파트 브랜드는 고객 중심 및 시장 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본 연구는 Schmitt[3]의 연구를 기반으로 아파트 브랜드 속성을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로 구분하여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아파트 브랜드 속성(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파트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아파트 브랜드가 향후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향을 제시하고, 아파트 브랜드의 차별화된 이미지와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2-1 아파트 브랜드 속성

Schmitt[3]는 브랜드 활동의 소비자 반응에 대해 체험 마케팅으로 간주되었으며 체험 마케팅을 위해서는 소비자를 직접적으로 관찰하여 참여를 유도하여야한다고 제안했다. 다시 말해, 제품의 기능적 이점 뿐 아니라 제품의 전체적인 경험(holistic experience)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면 강력한 고객 충성도가 완성된다는 것이다.

Schmitt[3]에 의하면 감각(sense), 감성(feel), 인지(think), 행동(act), 관계(relate)로 브랜드 속성을 체험에 의해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속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 종합적인 체험에 의한 브랜드 속성으로 완성된다고 하였다.

한편 Pine, Pine and Gilmore[4]에 의하면 브랜드는 소비자들이 참여를 통해 주관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 가에 대해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Brakus, Schmitt and Zarantonello[5]의 연구와 의 연구에 의해서도 브랜드의 체험에 대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브랜드에 대해 체험을 중심으로 개념화 하였다.

또한 Zarantonello, Brakus and Schmitt[6]에 의하면 브랜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브랜드 아이텐티티 요소에는 로고, 브랜드 네임, 캐릭터, 마스코트, 슬로건, 디자인, 서체, 형태, 색깔이 있다고 하였으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에는 매장분위기, 브로셔, 웹사이트, 패키지, 광고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Schmitt[3]에 의하면 브랜드 속성에 대해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감각적 체험이며, 감각적 체험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미각적, 후각적의 오감 자극을 통하여 브랜드를 차별화하여 소비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Keng, Ting, and Chen[7]에 의하면 브랜드에서 감각이 중요한 이유는 다양한 감각과 일관성 있는 인지를 통해 소비자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Kemp, Bui, and Chapa[8]에 의하면 특정 브랜드에 대한 즐거움이나 자부심과 같은 소비자 감성을 자극할 필요가 있지만, 대부분의 브랜드는 구매유발 과정에서 소비자 감성를 간과하여 마케팅 실패로 이어진다고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Schmitt[3]는 올바른 감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와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감정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셋째, Schmitt[3]에 의한 인지적 속성이란 소비자들에게 강한 흥미, 놀라움, 도발을 통하여 확산적 또는 수렴적 사고를 가지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인지는 하이테크 제품, 혁신적 기술 제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산업 및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넷째, Schmitt[3]에 의하면 브랜드 속성 중 행동은 소비자의 오감을 통한 체험과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및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자극하며 그에 따른 소비자에게 새로운 욕구의 자극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Schmitt[3]에 의한 관계는 감각, 감성, 인지, 행동의 네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계는 더 넓은 시스템과 연결하여 소비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고 다른 사람 및 문화와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열망을 자극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의 체험속성에 대해 Schmitt[3]의 연구를 기반으로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체험 속성으로 구분하여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다음의 가설을 제시한다.

H1: 아파트 브랜드의 감각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H2: 아파트 브랜드의 감성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H3: 아파트 브랜드의 인지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H4: 아파트 브랜드의 행동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H5: 아파트 브랜드의 관계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아파트에 대한 신뢰

Moorman and Zaltman[9]은 신뢰는 믿을만하다고 생각하는 교환거래의 상대방에 의존하는 의지로 정의하였다. 또한 Kumar and Scheer[10]는 신뢰는 상대방이 정직하며 우리의 이익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라는 믿음이라고 하였다.

Deshpandé, Zaltman and Moonrman[11]는 소비자는 스스로 신뢰하는 브랜드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신뢰는 구매과정에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경종수와 김명수[12]에 따르면 신뢰는 한 사람이 이전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에 호의적으로 기대를 가지며 확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이전의 상호 작용에 대한 결과로 상대방의 이전 행동만큼 다시 수행할 것이라고 보장하지는 않지만, 예상대로 행동할 것이라는 신념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특정 대상에 대해 결정하기 이전에 다양한 외생변수에 대해 고려해야하는 복잡성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성은 압도적인 부담감을 제공하므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특정 행위를 시행하기 어렵게 만든다. 결국 Atkinson and Rosenthal[13]에 의하면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신뢰에 대한 필요성은 증가한다고 하였다.

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아파트 브랜드 선택에 있어서 신뢰가 없다면,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아파트 브랜드 선택에 따른 다양한 외생변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외생변수의 고려에 따른 복잡성은 아파트 브랜드 선택에 있어서 구매행위를 어렵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아파트 브랜드 선택에 있어서 본 연구는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 속성과 구매의도에 있어서 신뢰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은 아파트 브랜드 전략수립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3 구매의도

의도란 Blackwell, Miniard and Engel[14]에 의하면 소비자의 계획되거나 예고된 미래행동을 의미하며, 신념 및 태도가 행위로 옮겨질 확률이다. 따라서 구매 의도는 의도되거나 계획된 행동이 신념과 태도로 옮겨지고 특정 제품에 대해 개인의 관점에서 구매하는 행동을 실행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한편, Blackwell, Miniard and Engel[14]에 의하면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구매의도는 구매 태도보다 더 많은 영향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매의도를 통해 특정 대상에 대한 행동을 보다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구매의도는 Fishbein and Ajzen[15]에 의하면 특정한 경우에 의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개인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의도가 구매 행동을 직접 결정하는 요소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하였다.

구매의도에 대해 Lipstein and Neelankavil[16]에 의하면 광고에 대한 호의적인 반응이 광고제품 및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구매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국내연구 중 허은정[17]에 의하면 구매의도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려고 함을 의미하며 개인의 특정 행동에 대한 아이디어 또는 계획 및 추천의도도 포함한다. 또한 김상훈, 박현정[18]에 의하면 구매의도는 글자 그대로 “특정상표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가지고 있는 구매의향의 정도”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 속성에 영향을 받은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H6: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Ⅲ. 연구모형
3-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연구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아파트 브랜드 속성(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가 신뢰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초점을 맞추어 아래의 연구모형과 같이 설계하였다.


Fig. 1. 
Framework

3-2 변수의 개념적 정의와 측정항목

본 연구의 개념적 정의는 아파트 브랜드 속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이 일어난다는 점을 고려한 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먼저, 아파트 브랜드 속성을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로 구분한 후, 개념적 정의와 더불어 측정문항을 선정하였다. 아파트 브랜드 속성은 Brakus, Schmitt and Zarantonello[5]와 Schmitt[3]가 이용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이용하고자 한다.

감각이란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의 오감을 자극하여 아파트 브랜드를 차별화하여 소비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감각에 대해서는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호의적 자극이 제공되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해 광고 사운드 및 안내원 목소리 등의 청각적으로 호의적 자극을 받았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해 나는 촉각적 관점에서 손으로 만지거나 체험하는 호의적 자극을 받았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아파트의 냄새 및 나는 스태프가 제공한 냄새와 같은 후각측면에서 호의적 자극을 받았다로 질문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와 7점(매우 그렇다)로 이루어진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감성은 상상력 및 직관을 기반으로 브랜드의 감성을 소비자의 감정에 호소함으로 구매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감성에 대해서는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감성적으로 만족하였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경험하는 동안 즐거웠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감성이 긍정적으로 자극되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특별한 기분이 들었다로 질문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7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진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인지는 소비자가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기존 가치를 재창조하여 창의적이고 정교한 사고를 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인지에 대해서는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호기심을 자극받았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정보에 관심이 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아보게 되었다로 질문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7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진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행동이란 소비자의 행동으로 인한 아파트 브랜드와의 직, 간접적 접촉으로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거나 신체적 경험과 같은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것이다. 행동에 대해서는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통해 특별한 행동을 하였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의 사용경험을 라이프 스타일에 적용하고 싶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경험하는 동안 신체적 역동감을 느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를 통하여 나의 생활에 활력을 제공받았다로 질문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7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진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관계란 특정 브랜드를 통하여 개인의 이상적 자아나 타인, 문화 등과 연결되거나 동질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관계에 대해서는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와 가깝다는 느낌이 들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가 친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와 관계가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로 질문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7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진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신뢰란 서로가 의지하고 믿는 마음이다. 신뢰에 대한 측정항목은 Johnson and Grayson[19]에서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목적에 맞추어 수정하였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믿고 있다, 나는 이 아파트 브랜드가 제공하는 정보는 믿을 만하다, 이 아파트 브랜드는 약속을 잘 지킨다의 3가지 문항을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는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지정도이며, Goldsmith, Lafferty and Newell[20]과 Till and Busler[21]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에 맞추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문항은 이 제품을 구입하실 의향이 있는 정도,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실 의향이 있는 정도, 귀하께서 구매하신다면, 우선적으로 본 제품을 고려하는 정도의 문항을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7점(매우 그렇다) 척도로 사용하였다.


Ⅳ. 연구방법
4-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본 연구모형을 위한 설문은 2020년 1월 13일부터 1월 17일까지 5일 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의 목적을 응답자들에게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설문에 직접 응답을 입력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386부가 회수되었다.

4-2 신뢰성 및 타당성
Table 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ems
  Sense Feel Act relate Think Trust Purchase
Sense4 .795 .149 .201 .084 .202 .139 .194
Sense3 .784 .232 .234 .096 .160 .111 .174
Sense2 .783 .231 .167 .173 .099 .227 .106
Sense1 .768 .188 .220 .174 .071 .226 .165
Feel3 .160 .772 .030 .266 .152 .175 .208
Feel2 .266 .718 .258 .218 .102 .197 .223
Feel1 .325 .687 .335 .138 .137 .172 .208
Feel4 .266 .632 .289 .129 .221 .218 .183
Act2 .319 .185 .712 .186 .263 .233 .191
Act1 .276 .281 .694 .191 .178 .212 .246
Act4 .316 .188 .678 .214 .276 .264 .226
Act3 .286 .254 .677 .265 .253 .235 .187
Relate2 .141 .212 .242 .788 .227 .201 .160
Relate3 .181 .159 .165 .783 .267 .214 .153
Relate1 .152 .254 .168 .754 .186 .212 .242
Think2 .132 .074 .217 .098 .840 .192 .110
Think3 .129 .177 .245 .284 .766 .145 .128
Think1 .187 .197 .112 .279 .735 .176 .149
Trust4 .270 .262 .280 .263 .251 .734 .262
Trust2 .285 .267 .232 .310 .179 .684 .227
Trust3 .273 .254 .255 .237 .277 .672 .299
Trust1 .287 .230 .322 .264 .299 .652 .202
Purchase3 .170 .162 .141 .260 .165 .122 .807
Purchase2 .210 .207 .246 .145 .168 .231 .772
Purchase1 .230 .316 .198 .128 .081 .246 .761
Total 3.662 2.996 2.995 2.784 2.738 2.736 2.694
% of Variance 14.650 11.986 11.982 11.135 10.952 10.946 10.777
Cumulative % 14.650 26.636 38.617 49.752 60.704 71.649 82.426

Table 2. 
Reliability of Items
Construct Cronbach’s α
Sense 0.909
Feel 0.888
Act 0.930
Relate 0.905
Think 0.866
Trust 0.916
Purchase Intention 0.899

본 연구의 연구 개념인 기대충족도, 지각된 유용성, 신뢰, 구전의도는 반영적 지표(reflective indicator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연구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의 Cronbach's 에 대해 계산하였다. 한편, 감각, 감성, 행동, 관계, 인지, 신뢰, 구매의도의 Cronbach's 가 0.8을 상회하여 연구 개념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 측정항목이 구성개념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탐색적 요인분석은 VARIMAX회전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유값 2.0이상의 요인에 한하여 요인부하량이 0.6이상으로 나타났다.

Table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Items
  Estimate C.R. Construct reliability AVE
Sense4 1 0.943 0.650
Sense3 0.995 20.448
Sense2 0.960 20.057
Sense1 0.928 20.238
Feel1 1 0.918 0.623
Feel3 0.804 17.213
Feel2 0.922 22.923
Think3 1 0.905 0.577
Think2 0.966 18.611
Think1 0.870 18.374
Act4 1 0.954 0.702
Act3 0.902 25.772
Act2 0.899 25.118
Act1 0.830 23.777
Relate1 1 0.934 0.681
Relate3 0.970 21.831
Relate2 0.980 22.924
Purchase1 1 0.929 0.664
Purchase2 0.962 24.280
Purchase3 0.880 20.520
Trust1 1 0.976 0.827
Trust2 0.895 27.483
Trust3 0.987 30.393
Trust4 0.986 37.652
x2= 435.7(df=231, p=0.000), x2/df= 1.886 GFI= .915,
AGFI= .889, CFI= .976, NFI= .951, TLI= .972, RMSEA= .048

한편, 타당성을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인 모델 적합도는 x2= 435.7(df=231, p=0.000), x2/df= 1.886 GFI= .915, AGFI= .889, CFI= .976, NFI= .951, TLI= .972, RMSEA= .048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의 요인 부하량에 대한 t값이 유의하게 나타났다(t값>17). 따라서 아파트 브랜드 속성(감각, 감성, 행동, 관계, 인지)과 신뢰, 구매의도의 측정항목들에 대한 집중타당성이 확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측정항목에 대한 연구단위의 대표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단위 개념 신뢰도의 경우 추천 기준치인 0.70보다 높은 0.90을 상회하였으며, 평균분산추출(AVE)의 경우 추천기준치인 0.50보다 높은 0.57를 상회하였다(배병렬 2014). 이에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항목들은 각 연구단위의 대표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able 4. 
Discriminant Validity of Items
  Sense Feel Think Act Relate Purchase Trust
Sense 0.650            
Feel 0.501 0.623          
Think 0.275 0.315 0.577        
Act 0.564 0.572 0.508 0.702      
Relate 0.296 0.434 0.477 0.487 0.681    
Purchase 0.377 0.501 0.277 0.489 0.373 0.664  
Trust 0.469 0.524 0.461 0.635 0.524 0.511 0.827

또한 Fornell and Larcker[22]의 연구를 근거로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개념 간의 상관 계수 제곱값(∅2)을 초과함에 따라 측정 도구의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다[23, 24, 25]. 이에 본 연구의 측정문항들이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내적일관성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한 뒤 AMOS 25.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로는 x2= 487.7(df=236, p=0.000), x2/df= 2.067 GFI= .906, AGFI= .880, CFI= .971, NFI= .945, TLI= .966, RMSEA= .05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가설을 검증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파트 브랜드의 감각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157(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 브랜드의 감성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161(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 브랜드의 인지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144(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 브랜드의 행동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235(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 브랜드의 관계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319(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6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이 0.746(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5. 
Path Analysis
  Estimate Estimate C.R. P-value
H1 Sense → Trust 0.157 2.705 0.00
H2 Feel → Trust 0.161 2.899 0.01
H3 Think → Trust 0.144 2.415 0.02
H4 Relate → Trust 0.235 4.449 0.00
H5 Act → Trust 0.319 4.538 0.00
H6 Trust → Purchase 0.746 16.815 0.00
x2= 487.7(df=236, p=0.000), x2/df= 2.067
GFI= .906, AGFI= .880, CFI= .971, NFI= .945, TLI= .966, RMSEA= .053


Fig. 2. 
Path Analysis


Ⅴ. 결론
5-1 연구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의 속성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적 속성으로 구분한 후 이러한 아파트 브랜드 속성이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파트 브랜드의 속성인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적 속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구매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분석함에 있어 소비자 특성에 관한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소비자의 관여도 및 다양한 소비자 특성은 신뢰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 특성에 대한 변수를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여 보고자 국내 아파트 브랜드의 소비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 수준을 중심으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연구를 실시한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Alhaddad, A., "Perceived Quality,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s Determinants of Brand Loyalty," Journal of Research in Business and Management, Vol. 3, No. 4, pp. 01-08, 2015.
2. Youjae Yi, Suna La, “Brand Personality - Brand Identification - Brand Equity Model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 – Users,” Korea Marketing Review, Vol. 17, No. 3, pp. 1-32, 2002.
3. Schmitt, B. The Concept of Brand Experience. Springer, 2009.
4. Pine, B. J., Pine, J., Gilmore, J. H.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Press, 1999.
5. Brakus, J. J., Schmitt, B. H., Zarantonello, L., "Brand Experience: What is It? How is It Measured? Does It Affect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 73, No. 3, pp. 52-68, 2009.
6. Zarantonello, L., Schmitt, B., Brakus, J. J., "Development of The Brand Experience Scale," ACR North American Advances, Vol. 34, 2007.
7. Keng, C. J., Ting, H. Y., Chen, Y. T., "Effects of virtual‐experience combinations on consumer‐related “Sense of Virtual Community”," Internet Research, Vol. 21, No. 4, pp. 408-434, 2011.
8. Kemp, E., Bui, M., Chapa, S., "The Role of Advertising in Consumer Emo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 31, No. 2, pp. 339-53, 2012.
9. Moorman, C., Deshpande, R., Zaltman, G., "Factors Affecting Trust in Market Research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 57, No. 1, pp. 81-101, 1993.
10. Kumar, N., Scheer, L. K., Steenkamp, J.-B. E., "The Effects of Perceived Interdependence on Dealer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2, No. 3, pp. 348-56, 1995.
11. Deshpandé, R., Zaltman, G., Moorman, C., "Relationships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The Role of Personal Trust," Faculty & Research, 1993.
12. Jong-Soo Kyung, Myung-Su Kim, “The Study of Impact of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of SNS Service on Trust and Commitment,” The e-business studies, Vol. 13, No. 3, pp. 3-25, 2012.
13. Atkinson, L., Rosenthal, S., "Signaling the Green Sell: The Influence of Eco-Label Source, Argument Specificity, and Product Involvement on Consumer Trust," Journal of Advertising, Vol. 43, No. 1, pp. 33-45, 2014.
14. Blackwell, R. D., Miniard, P. W., Engel, J. F. Consumer Behavior: South-Western Pub, 2006.
15. Fishbein, M.,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Theory and Measurement. New York: Wiley, 1985.
16. Lipstein, B., Neelankavil, J. P., "Television Advertising Copy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24, No. 2, pp. 19-25, 1984.
17. Eun Jeong Huh,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Ethic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22, No. 2, pp. 89-111, 2011.
18. Sang Hoon Kim, Hyun Jung Park, “Effects of Country of Manufacture and Country of Brand on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Korea Marketing Review, Vol. 25, No. 2, pp. 19 - 40, 2010.
19. Johnson, D., Grayson, K.,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in Service Relationship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8, No. 4, pp. 500-07, 2005.
20. Goldsmith, R. E., Lafferty, B. A., Newell, S. J., "The Influence of Corporate Credibility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 3, No. 4, pp. 304-18, 2000.
21. Till, B. D., Busler, M., "The Match-Up Hypothesis: Physical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The Role of Fit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 and Brand Beliefs," Journal of Advertising, Vol. 29, No. 3, pp. 1-13, 2000.
22. Fornell, Claes, and Davi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1981.
23. Seong-Nyun Kim, Kyeong-Seok Han, Tae-Hyun Kwon, Sang-Ung Han,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e Intention of B2C Mobile Simplex Transfer Servic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0, No. 1, pp. 109-118, 2019.
24. Sung-Gwang Jung, Jae-Hun Jang, "The Relationship of Mobile Payment Service Using Value and Innovation Resistance, Continuous Use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9, No. 11, pp. 2203-2210, 2018.
25. Hee-kyung Hong, Jung-il Choi, Kyeong-seok Han,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by SNS Connection Type and User Psycholog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5, pp. 957-967, 2012.

저자소개

정성광(Sung-gwang Jung)

2012년 :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석사)

2016년 :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박사)

2019년 ∼ 현 재 : 부산외국어대학교 창업교육센터 연구초빙교수

※관심분야 : 부동산 경영, 국제 마케팅, 창업경영, 소비자 행동, 마케팅 조사론 등

장재훈(Jae-hun Jang)

2006년 :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석사)

2014년 :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박사)

2013년 ∼ 현 재 : 부산경상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관심분야 : 유통마케팅, 상권분석, 소비자행동, 판매원관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