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0 , No. 12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0, No. 12, pp. 2417-2422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06 Nov 2019 Revised 30 Nov 2019 Accepted 15 Dec 2019
DOI: https://doi.org/10.9728/dcs.2019.20.12.2417

ERP를 이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송형철
동원대학교 e-비즈니스과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nel Module Education using ERP and Class Satisfaction
Hyung-Cheol Song
Division of e-business, Tongwon University, Gwangju-si, Gyeongchung-daero 26, Korea
Correspondence to : *Hyung-Cheol Song E-mail: hcsong@tw.ac.kr


Copyright ⓒ 2019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3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Amos 23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수업만족도 변수 중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쳤지만 심리적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만족도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면 수업운영이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기대감이 심리적 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과 같은 수업만족도 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표본 확대와 교육과정개발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effect in the relationships of personnel module education applying ERP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study, data collected from 23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AMOS 23 and SPSS 23.0 program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sonnel module education applying ERP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class operation and social expectation. Second, it showed that personnel module education applying ERP affected class operation and social expectation but did not affect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lass operation affects social expectation and social expectation improv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future discussion is necessary for sample expan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Keywords: Personnel Module Education Applying ERP, Class Satisfaction, Class Operation, Social Expecta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키워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 수업만족도, 수업운영, 사회적 기대감, 심리적 만족

Ⅰ. 서 론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는 기업의 회계, 인사, 생산, 물류 등의 여러 경영자원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기업경영 혁신기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인사관리는 개인과 조직의 목표가 성취될 수 있는 인력확보부터 이직까지의 과정을 통제하는 과정이다. 조직구성원은 조직경쟁력을 원천이며 인사관리대상의 관리직능내용이나 신분에 따라 인적자원관리· 인간관리· 인사노무관리 등의 개념이 있다[1].

기업은 고객의 기호와 감성에 부합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정기적 고객 만족도 조사, 고객정보의 효율적 관리, 고객 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에 대한 정보시스템 뿐 아니라 기업 내부의 구성원들에 대한 관리도 매우 중요하며 인사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은 기업의 목표와도 관련이 있다[2]. ERP는 모든 자원을 통합적으로 처리하고 업무간의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유용한 정보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통합시스템이다.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확대형 ERP(Extended ERP)는 기존 ERP에 경영혁신 지원, 산업유형 지원 확대, 전문분야의 확대적용으로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다[3].

ERP 관리자와 그 구성원은 프로세스 재설계의 범위를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이는 비용절감 및 성과향상, 조직구조, 정보품질, 공유가치를 포함하도록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 기업의 리더는 비전을 제시하고 동기부여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ERP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적극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며 프로세스를 책임지고 있는 라인관리자는 팀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감을 고취시켜야 한다. 또한 ERP 업무를 재설계하는 팀은 현재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변화하는 기업의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기술의 도입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경영전략과 업무개선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5].

더존의 ERP 시스템 인사모듈은 인사계획, 사원채용, 인사고과, 임금관리 등 인사관리의 전반적인 도구(tool)를 제공하며 다른 모듈과 통합되어 자원배분이나 원가회계를 포괄하는 통합시스템이다. 선행연구에서는 PC의 등장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기술부서와 사용자의 관계도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비즈니스 거래로 변화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충분한 훈련과 경험을 통해 구성원이 점차 안정되고 마침내 안정성과 유연성이 최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6,7].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ERP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인사모듈을 통한 인사교육과 수업만족도의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Ⅱ. 이론고찰 및 가설설정
2-1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에서는 조직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도는 회사, 사업장, 부문, 부서, 사원으로 구성된다. 인사기초코드등록은 직급, 호봉테이블, 사회 환경 보험으로 구분된다. 인사정보등록에는 인사기초, 급여기초, 급여공제, 책정임금 등을 입력해야 한다. 인사기록카드는 인사정보등록에서 등록되지 않은 기타인사정보를 등록한다. 인사기록카드에는 급여와 상여부분에서 지급되는 각종 수당과 공제항목을 등록한다. 이러한 인사모듈은 인사정보시스템과 관계가 있다. 신기술을 받아들이고 명확하게 습득하는 것은 중요하다.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되어야 진정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에서는 전사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투명하게 보고하고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는 것을 인지시키는 것이다. ERP 시스템에 따라 체계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을 참여하게 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학생의 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시스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를 향상시키며 교육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1,8].

수업만족도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느끼는 학습의 성공적인 수행에 대하여 느끼는 만족의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수업만족도의 구성요소는 첫째, 수업운영, 둘째, 사회적 기대감, 셋째, 심리적 만족으로 구분된다. 수업운영은 교수의 지도법이나 성격에 따라 차이가 나며 성공적인 학습은 교수의 전문성이나 열정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사회적 기대감은 학생들이 지각하는 개인 또는 집단적으로 느끼는 연대감으로 기능적 측면에서의 의존성이나 사회적 측면에서의 친분성 등을 나타낸다. 사회의 내외적인 요인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서반응을 일으키며 학습의 관심에도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성취감을 획득할 수 있고 시스템에 대해 지식을 축적함으로써 정보 활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업만족도가 상승한다. 심리적 만족은 자기결정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원하는 결과에 대한 심리적 성취를 의미한다.[9,10].

따라서 본 연구는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수업운영, 사회적 기대감, 심리적 만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수업운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2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3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심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수업만족도 변수의 관계

수업운영은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의 지도법이나 전문성, 열정 등을 의미한다. 수업운영은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와도 관련이 있어 좋은 수업운영으로 사회적 기대감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적 기대감에는 효과성과 효율성의 의미가 포함되어야 한다. 대학의 교육의 성과는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얼마나 많은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하느냐로 평가 된다 사회적 기대감은 교육서비스의 수혜자인 학생들이 제공받는 사회적 경쟁력, 역량에 대한 만족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대학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직업적 성장기회의 노력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학문적 성과와 더불어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성과를 교육성과로 정의한 것이다. 졸업생들이 반드시 취업을 하지 않더라도 교육과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학생은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적 기대감을 성취하였다고 볼 수 있다. 교육 경쟁력은 경쟁에서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이나 힘을 의미한다. 교육역량은 대학이 과업을 추진하고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졸업생 취업률 등으로 측정한다[11,12].

심리적 만족은 교육의 질적 향상과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국가나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심리적 만족은 대학교육의 효과성, 경쟁력, 역량 등과 같은 사회적 기대감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은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정보분석에 도움이 된다[11,14].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수업운영이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기대감 또한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수업운영은 사회적 기대감에 정(+).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5 사회적 기대감은 심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Ⅲ. 연구방법
3-1 연구분석 방법

본 연구모형은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통계분석으로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3-2 조사방법 및 표본특성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 B대학에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은 총 257부를 회수하였고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편향적 분포를 보인 23부를 제외한 23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Sample
Classification frequency %
Gender male 131 55.98
female 103 44.02
School Year 2nd year 11 4.70
3rd year 62 26.50
4th year 161 68.80

연구표본의 특성을 보면 성별로는 남성 55.98%, 여성 44.02%로, 학년별로는 2학년 4.70%, 3학년 26.50%, 4학년이 68.80%로 분포되었다.


Ⅳ. 실증적 연구분석 결과
4-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 및 수업만족도에 대하여 신뢰도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으로는 주성분분석을 사용하여 eigenvalue가 1이상인 값을 추출하였으며 회전방법으로는 Kaiser 정규화가 있는 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 2의 분석결과에서 보면 1.0 이상의 고유값과 cronbach's α 값이 모두 0.7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Factors Variables factor loading eigenvalue cronbach's α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869
.810
.809
.782
10.471 0.919
cumulative proportion(%):45.56
class satisfaction class
operation
.876
.874
.798
.796
3.278 0.904
cumulative proportion(%): 60.01
social expectation .809
.766
.748
.741
1.842 0.938
cumulative proportion(%): 68.02
psychological
satisfaction
.814
.801
.785
.584
1.067 0.791
cumulative proportion(%): 73.15

4-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Var. Est. C. R S.E CCR AVE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4 1.000 - 0.843 0.922 0.627
2 0.962 17.192 0.887
3 1.039 17.473 0.871
1 0.961 15.897 0.854
class
operation
3 1 - 0.796 0.908 0.609
2 1.086 15.987 0.942
1 1.042 15.384 0.875
social expectation 2 1 - 0.863 0.934 0.526
1 1.021 19.984 0.932
3 1.043 19.756 0.898
4 0.857 17.035 0.829
psychological
satisfaction
2 0.948 18.143 0.856 0.913 0.607
1 1.011 19.983 0.927
3 1 - 0.879
Model Fit: χ2=117.032, GFI=.942, AGFI=.913, NFI=.961, TLI=.985, CFI=.976

확인적 요인분석의 집중타당도를 유지하기 위해 평균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이상, 개념 신뢰도(CCR)가 0.7이상이 되어야 한다[15]. 분석결과 평균분산추출(AVE)은 0.5이상, 개념 신뢰도 0.9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값들은 적합도 기준을 대체로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가설의 방향대로 모든 변수들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대각선은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값을 나타내고 괄호안의 값은 상관계수의 제곱 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관계수의 제곱 값이 AVE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두 변수간의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4. 
Correlation and Discrimination Validity Analysis
Mean S.D E.P C.E I.L L.O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4.62 1.49 .518
class
operation
4.53 1.41 .518**(.268) .604
social expectation 4.11 1.41 .617**(.381) .702**(.493) .509
psychological
satisfaction
4.21 1.69 .198**(.039) .294**(.086) .398**(.158) .598
* p<0.05, ** p<0.01, *** p<0.001

본 연구는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정보는 표 5에 제시되었다.

Table 5. 
Hypothesis Test Result
Hypothesis Route Standardized Estimate C. R. hypothesis
H1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 class
operation
.561 8.28*** accept
H2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social expectation
.358 5.984*** accept
H3 ERP
personnel module education →
psychological
satisfaction
.087 .996 reject
H4 class
operation→
social expectation
.543 8.642*** accept
H5 social expectation→psychological
satisfaction
.497 5.286*** accept
* p<0.05, ** p<0.01, *** p<0.001

가설 1은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표준화계수가 0.561이고 C.R 값이 8.28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은 채택되었다.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는 가설 2의 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0.358로 나타났으며 C.R 값은 5.984로 가설2는 채택되었다. 이는 ERP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1,8,10].

또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의 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0.087이고 C.R 값이 0.996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수업운영이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의 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0.543이고 C.R 값이 8.642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4는 채택되었다. 사회적 기대감이 심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는 표준화계수가 0.497, C.R 값이 5.286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심리적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운영이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기대감이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평가

본 연구는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에 대한 검증결과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수업만족도 변수 중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정(+)의 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만족도를 결정짓는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을 위해서 교수는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ERP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어려움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1,8,10,13].

둘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쳤지만 심리적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만족에 있어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으며 수업만족도 중 심리적 만족 이외의 다른 요인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수업만족도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면 수업운영이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기대감이 심리적 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심리적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으로 수업운영이 만족한 수준라고 생각되면 사회적 기대감이 원활하게 진행되며 이는 심리적 만족 향상에도 영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1,8,9,14].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이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과 같은 수업만족도 변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에 있어 학생들이 ERP 시스템 파악에 어려움이 없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둘째, 수업운영은 사회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기대감은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을 실시할 때 수업운영을 제대로 실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은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을 통하여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수업운영과 사회적 기대감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표본이 서울과 경기지역의 대학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함으로써 일반화를 위해서는 조사대상의 표본을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집단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ERP를 적용한 인사모듈교육과 수업만족도 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영향 요인을 연구하였지만 수업만족도에 대하여 교수자의 행동 등 다양한 요인을 고찰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E. J. Umble, R. R. Haft and M. M. Umbl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l.146, pp.241-257, 2003.
2. P. M.. Bingi, M. K. Sharma and J. K. Godla, “Ciritical Issues Affecting an ERP Implementation,”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Vol.16, No.3, pp.7-14, 1999.
3. L. B. Michal, N. Gali, P. Nava and F. Lior, “Mobile Technology and Business Process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Collaborative Supply–Chain Capabilities,”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Vol. 35, No. 4, pp.308-329, 2018.
4. G. Chen, S. M. Gully & D. Ed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 4, No.1, 62-68, 2001.
5. T. F. Gattike & D. L. Goodhue, “What Happens After ERP Implementatio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erdependence and Differentiation on Plant-Level Outcomes,” MIS Quarterly, Vol. 29, No. 3, pp.559-585, 2005.
6. P. Lrgris, J. Ingham & P. Collette,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A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0, No. 3, pp.191-204, 2003.
7. M. Demir, N. J. Cooke & P. G. Amazeen, “A conceptual model of team dynamical behaviors and performance in human-autonomy teaming,” Cognitive Systems Research, Vol.52, pp.497-507, 2018.
8. Y. B. Yang & K. H. Park, “A Study of Shared Values 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8, No.1, pp.111-125, 2013.
9. H. J. Lee, Exploring “Way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 for Internal Stability of Public Education, centered on Teacher's Opinions,”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Vol. 18, No. 3, pp.77-102, 2010.
10. T. Urdan, “Using Multiple Methods to Assess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Goal Structures,” European Psychologist, Vol. 9, pp.222-231, 2004.
11. M. M. Mitchell, C. P. Bradshaw & P. Leaf,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A Multilevel Exploration of Patterns of Discrepancy,” Journal of School Health, Vol. 80, No. 6, pp.271-279, 2010.
12. F. W. Bond & P. E. Flexman, “The ability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job control to predict learning, job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6, pp.113-130, 2006.
13. S. J. Lee, K. S. Han, "A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Use Intention of Multi-access Edge Computing(MEC),"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 No. 3, pp.613–622, 2019.
14. S. N. Lee, "A Study on Accounting Education Using the AT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0, No. 4, pp.769–773, 2019.

저자소개

송형철(Hyung-Cheol Song)

1990 : 성균관대학교 학사

1992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석사).

2005 : 충북대학교(경영학박사).

1998~현재 : 동원대학교 사회경영학부 e-비즈니스과 교수

※관심분야 : e-비즈니스,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