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Journal Archiv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19 , No. 8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19, No. 8, pp. 1499-1506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30 Jul 2018 Revised 20 Aug 2018 Accepted 28 Aug 2018
DOI: https://doi.org/10.9728/dcs.2018.19.8.1499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 사용 실태조사 및 분석
이소현1 ; 모아라2, *
1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2연성대학교 사회복지과

A survey and Analysis An analysis on the Image Media Status of Educational Institu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So-Hyun Lee1 ; A-Ra Mo2, *
1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dong University, 27, Gyeongdongdaehak-ro, Yangju-si, Gyeonggi-do, Korea
2Department of Social Welfare, Yeonsung University, Anyang-si 14011, Korea
Correspondence to : *A-Ra Mo, Tel: +82-10-2248-0196, E-mail: moara0515@hanmail.net


Copyright ⓒ 2018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 현황 및 사용 실태조사를 분석하여 영유아교육기관에서 필요한 영상매체를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18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유하고 있는 영상매체와 사용하고 있는 영상매체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 연령과 학급 연령에 따른 차이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불필요한 영상매체를 파악할 뿐 아니라, 지원해야 할 영상매체와 개발되어야 할 영상매체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use of the image media in education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children to find out about the required image media in education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children. The survey included 18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y were then survey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age media in possession and the image media in use were different.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teacher age and class ag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elped to identify unnecessary image media in education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children. It is also believe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on the image media to be supported and the image media to be developed.


Keywords: Image media, Education institutions, Infants and children
키워드: 영상매체, 교육기관, 영유아

Ⅰ. 서론

영상매체란 어떤 사실이나 정보를 담아서 다른 누구에게 직‧간접적으로 지식이나 의사를 전달 해주는 수단 등을 말하는 미디어의 하나로 시각과 청각을 통해 정보와 사상을 전달해주는 매체이다[1,2]. 현재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다양한 영상매체의 발달과 홍수 속에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유튜브나 포털사이트 등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영상매체의 사용을 위한 인터넷 이용률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률은 꾸준히 높아져 20대에서 50대의 이용률이 100%에 달하는 가운데, 영유아의 이용률도 2017년 현재 92.7%에 이르고 있다[3]. 다시 말해 우리는 현재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매체 접근이 필수불가결한 시대에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영유아의 영상매체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동영상이나 게임, 스마트폰 사용 등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에 \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4,5,6]. 하지만 영상매체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영상매체의 교육적 관점이나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영유아는 영상매체에 대한 흥미와 활용수준이 높고, 긍정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2,7,8,9]. 따라서 영유아의 영상매체의 사용에 대한 연구는 이제 부정적인 인식의 차원을 넘어 긍정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모색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유아는 언어발달 단계에 있어서 글을 모르거나 배우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텍스트 위주의 자료보다는 시청각자료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학습효과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그래서 교과서를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초중등학교와는 달리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수방법에 있어 다양한 영상매체의 사용이 빈번하다[10].

그렇다면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 실태는 어떠할까? 급격한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영상매체는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박석규의 연구에 의하면 2006년도의 연구였으므로 영상미디어의 보유현황은 OHP, TV, 비디오, 컴퓨터, 인터넷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졌는데, 학급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영상미디어와 활용빈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OHP의 경우 30.33%의 보유현황에도 불구하고 한 학기에 1~2회 정도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따라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영상매체에 대해 조사하고, 불필요한 매체나 새로 개발된 추가 구입이 필요한 매체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내는 것은 영유아를 위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영상매체의 사용실태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영상매체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 사용실태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은 표 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lassification N %
Institution kindergarten 44 23.9
Day care Center 140 76.1
합계 184 100.0
Teacher’ age 20~29 56 30.4
30~39 62 33.7
40~49 62 33.7
50~ 4 2.2
합계 184 100.0
Class in charge 0 year old class 22 12.0
1 year old class 36 19.6
2 years old class 46 25.0
3 years old class 40 21.7
4 years old class 10 5.4
5 years old class 30 16.3
Total 184 100.0

연구 대상자의 근무기관은 유치원이 44명(23.9%), 어린이집이 140명(76.1%)이었으며, 연령은 20대는 56명(30.4%), 30대와 40대는 62명(33.7%)로 20대에서 40대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직 담임교사로 50대 이상이 근무하는 경우가 영유아교육현장 자체에도 많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연구대상으로 50대 이상은 4명(2.2%)에 불과했다. 담당학급은 0세반은 22명(23.9%), 1세반은 36명(19.6%), 2세반 46명(25.0%), 3세반 40명(21.7%), 4세반 10명(5.4%), 5세반 30명(16.3%)이었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총 21문항의 설문지로, 일반적인 특성 3문항, 영상매체 사용 실태 10문항, 영상매체에 관한 인식 및 요구 8문항이며,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영상매체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1에서 5점까지 응답하도록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필요함을 의미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영유아교육현장 경력 10년 이상인 어린이집 원장 2인과, 유치원 원장 1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조사 전에는 영유아교육현장에서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부터 설문지 문항의 이해도를 검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3. 연구절차 분석방법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직접 설문조사를 하거나 SNS를 사용한 설문지 회수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가 설문지에 응답하는 시간은 평균 5분 정도 소요되었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8년 3월 15일부터 2018년 4월 5일까지 3주간 이루어졌다. 배포된 235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설문지는 189부로서 회수율은 80.4%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5부를 제외한 총 184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영상매체 사용실태 및 필요성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영상매체 사용 실태 분석
1) 영상매체 보유 실태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 보유현황은 각 반에서 보유하고 있거나, 기관 내에 보유하고 있어서 사용에 불편함이 없을 경우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영상매체의 보유현황은 컴퓨터가 94.6%로 가장 많았으며, 텔레비전과 빔프로젝터가 102(55.4%), 핸드폰이 78(42.4%), OHP 32(17.4%), 비디오14( 7.6%) 순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영상매체 보유실태는 표 2와 같다.

Table 2.  
Owned image media
Image media N %
Television 102 55.4
Video 14 7.6
Computer 174 94.6
Overhead projector 32 17.4
Smartphone 78 42.4
Beam projector 102 55.4
Total 502 272.8
* Multiple responses available

2) 영상매체 사용 실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영상매체는 컴퓨터(62%)였으며, 빔프로젝터(22%), 텔레비전(9%), 스마트폰(7%), 비디오(1%), OHP(0%) 순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육현장에서 비디오나 OHP의 사용은 다른 영상매체에 비해 사용이 많지 않다고 판단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표 3과 같다.

Table 3.  
Most popular image media
Image media N %
Television 16 9
Video 2 1
Computer 114 62
Overhead projector 0 0
Smartphone 12 7
Beam projector 40 22
Total 184 100

교사의 연령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이검정 값은 30.133이고, 유의확률은 .003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연령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는 다르다고 볼 수 있었다. 20대 교사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영상매체는 컴퓨터로 28(50%)였으며, 다음으로는 빔프로젝터가 16(29%)였으며, 30대에서는 빔프로젝터 62(50%), 컴퓨터 42(34%)가 높은 순위에 있었다. 40대에서는 컴퓨터가 42(67%)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빔프로젝터, 스마트폰 순으로 나타났다. 50대에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대한 응답이 2(50%)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는 컴퓨터로 114명(62%)으로 나타났으며, OHP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답변은 없었다. 그리고 비디오에 대한 답변은 2(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연령에 따른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에 관한 연구 결과는 표 4와 같다.

Table 4.  
Most frequently used image media by teacher age N(%)
Type of image media x2
TV V C O SP BP
TA 20s 6
(38)
0
(0)
28
(50)
0
(0)
6
(11)
16
(29)
30.133***
30s 8
(6)
2
(2)
42
(34)
0
(0)
10
(8)
62
(50)
40s 3
(5)
0
(0)
42
(67)
0
(0)
4
(6)
14
(22)
50~ 0
(0)
0
(0)
2
(50)
0
(0)
2
(50)
0
(0)
Total 16
(8.7)
2
(1.1)
114
(62)
0
(0)
12
(6.5)
40
(21.7)
*p<.05,
**p<.01,
***p<.0.01
TA: Teacher’s age
TV: Television
V: Video
C: Computer
O: Overhead projector
SP: Smart phone
BP: Beam projector

학급 연령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이검정 값은 53.242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은 .000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급 연령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는 서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학급 연령에서도 컴퓨터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였으므로 2순위를 살펴보면, 0세 학급에서는 교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6(27%)이였으며, 만 1세와 2세 학급에서는 빔프로젝터가 10(22%), 10(22%)이였으며, 만 3세 학급에서는 TV가 8(20%), 만 4세와 5세 학급에서는 빔프로젝터가 2(20%), 40(22%)으로 나타났다. 학급 연령에 따른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표 5와 같다.

Table 5.  
Most frequently used image media by class age N(%)
Type of image media x2
TV V C O SP BP
CI 0 0
(0)
0
(0)
14
(64)
0
(0)
6
(27)
2
(9)
53.242***
1 0
(0)
0
(0)
22
(61)
0
(0)
2
(6)
12
(33)
2 2
(4)
0
(0)
34
(74)
0
(0)
0
(0)
10
(22)
3 8
(20)
2
(5)
20
(50)
0
(0)
4
(10)
6
(15)
4 0
(0)
0
(0)
8
(80)
0
(0)
0
(0)
2
(20)
5 6
(20)
0
(0)
16
(53)
0
(0)
0
(0)
8
(27)
Total 16
(9)
2
(1)
114
(62)
0
(0)
12
(7)
40
(22)
*p<.05,
**p<.01,
***p<.0.01
CI: Class in charge
TV: Television V: Video
C: Computer
O: Overhead projector
SP Smart phone
BP Beam projector
0: 0 year old class
1: 1 year old class
2: 2 years old class
3: 3 years old class
4: 4 years old class
5: 5 year old class

3) 영상매체의 사용 시간

영상매체의 사용 시간은 대부분의 매체에서 5분 이하인 것으로 보아 영유아교사들이 불필요하게 영상매체를 사용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었지만, 20분 이상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컴퓨터 44(23.9%), 스마트폰 12(6.5%), 텔레비전 8(4.3%), 빔프로젝터 8(4.3), 비디오 2(1.1%)로 나타났다. 영상매체 종류에 따른 사용시간은 표 6과 같다.

Table 6.  
Used time of image media N(%)
Type of image media
TV V C O SP BP
UT 1 146
(79.3)
164
(89.1)
84
(40.2)
174
(94.6)
138
(75.0)
132
(71.7)
2 18
(9.8)
16
(8.7)
36
(19.6)
10
(5.4)
16
(8.7)
32
(17.4)
3 10
(5.4)
2
(1.1)
16
(8.7)
0
(0)
12
(6.5)
10
(5.4)
4 2
(1.1)
0
(0)
14
(7.6)
0
(0)
6
(3.3)
2
(1.1)
5 8
(4.3)
2
(1.1)
44
(23.9)
0
(0)
12
(6.5)
8
(4.3)
Total 184
(100)
184
(100)
184
(100)
184
(100)
184
(100)
184
(100)
UT: Used Time
1: ~ 5minutes
2: 5 ~ 10minutes
3: 10 ~ 15minutes
4: 15 ~ 20minutes
5: 20minutes~

활동시간 별로는 영상매체는 대집단 활동 시간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결과가 128(69.6%)인 것으로 보아 영유아교사들은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교육활동의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통합보육 시간의 경우 42(22.8%)로 응답하였다. 통합보육 시간의 경우 오전 오후로 나뉘어져 오전 9시 전 또는 오후 6시 이후에 영유아교육기관에 남아있는 영유아를 보육하는 시간인 점을 생각하면, 이는 통합보육 시간의 교사 대 아동 비율, 통합보육 프로그램, 영유아의 안전 등을 점검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전이시간28(15.2%), 급간식 시간 6(3.3)으로 나타났다. 전이시간의 경우 영유아의 안전을 위해서, 급간식 시간의 경우는 영유아가 음식을 섭취하는 속도가 각기 다른 이유로 영상매체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표 7과 같다.

Table 7.  
Activity time mainly using image media N(%)
Activity time mainly using image media
Large group activity time 128
(69.6)
Small group activities time 24
(13.0)
Transfer time 28
(15.2)
Feeding time 6
(3.3)
Taking a nap and resting time 0
(0)
Integrated childcare time 42
(22.8)
Total 200
(123.9)
* Multiple responses available

2) 영상매체 사용 목적

영유아교사들의 영상매체 사용 목적은 영유아의 교육활동에 도움이 되어서가 110(59.8%)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유아의 흥미가 높아서 46(25.0%), 교사가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서 16(8.7%), 영유아의 보육에 용이해서 12(6.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상매체가 영유아의 교육활동에 가장 적합한 교수매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교육활동에 도움이 되고 영유아의 흥미가 높은 매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상매체 사용 목적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표 8과 같다.

Table 8.  
Purpose of image media usage N(%)
Purpose of image media usage
Teachers use it because it helps children do their education. 110
(59.8)
Teachers use it because they can be easily provided. 16
(8.7)
Teachers use it because children are interested in it. 46
(25.0)
Teachers use it because it helps protect children. 12
(6.5)
Teachers use it because it is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dium. 6
(3.3)
Total 190
(103.3)
* Multiple responses available

2. 영상매체의 필요성 분석
1) 영상매체의 필요성

영유아교사들은 영상매체 자체(M=3.72)에 대한 필요성은 개별 영상매체 필요성에 대한 평균(M=3.10)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별 영상매체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컴퓨터의 필요성(M=4.29)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빔프로젝터(M=3.73), 스마트폰(M=3.13), 텔레비전(M=2.57) 순으로 나타났다. OHP(M=2.61)와 비디오(M=2.28)에 대해서는 다른 영상매체에 비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영상매체의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표 9와 같다.

Table 9.  
Necessity of image media
N M SD
Television 184 2.57 1.333
Video 184 2.28 1.222
Computer 184 4.29 .941
Overhead projector 184 2.61 1.164
Smart phone 184 3.13 1.389
Beam projector 184 3.73 1.175
Average 3.71
Image media 184 3.72 .973
Internet 184 4.62 .737

2) 교사 연령별 영상매체의 필요성

전체 영상매체 및 영상매체별 필요성과 영상매체 사용에 필수적인 인터넷의 필요성에는 교사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연령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전체 영상매체의 필요성, 텔레비전의 필요성, 비디오의 필요성이었다. OHP, 인터넷, 스마트폰, 빔프로젝터의 필요성은 교사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전체 영상매체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F=3.56, p<.05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사후 검증 결과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텔레비전(F=28.96, p<.0.01)과 비디오(F=22.30, p<.0.01)는 연령이 낮을수록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영상매체의 필요성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표 10과 같다.

Table 10.  
Necessity of image media by Teachers ' Age
20s
M(SD)
30s
M(SD)
40s
M(SD)
50~
M(SD)
F
TV 3.46c
(.83)
2.74bc
(1.28)
1.68ab
(1.16)
1.00a
(.00)
28.96***
V 3.11b
(1.02)
2.32ab
(1.32)
1.55a
(.76)
1.50a
(.58)
22.30***
C 4.32
(.92)
4.35
(.94)
4.19
(1.01)
4.50
(.58)
.40
O 2.75
(1.22)
2.68
(1.26)
2.48
(.99)
1.50
(.58)
1.82
S.P 3.50
(1.36)
2.90
(1.43)
3.00
(1.31)
3.50
(1.73)
2.19
B.P 4.02
(1.11)
3.54
(1.37)
3.62
(.99)
4.00
(1.15)
1.82
I.M 4.04
(.83)
3.65
(.94)
3.48
(1.05)
4.00
(1.15)
3.56*
I 4.64
(.55)
4.65
(.87)
4.58
(.76)
4.50
(.58)
.13
*p<.05,
**p<.01,
***p<.0.01
a〈b〈c: Scheffe
TV: Television
V: Video
C: Computer
O: Overhead projector
S.P: Smartphone
B.P: Beam projector
I.M: Image media
I: Internet

3) 학급 연령별 영상매체의 필요성

전체 영상매체 및 영상매체별 필요성과 영상매체 사용에 필수적인 인터넷의 필요성에는 학급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학급 연령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전체 영상매체, 텔레비전,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의 필요성이었다. 비디오, OHP, 빔 프로젝터의 필요성은 담당 학급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전체 영상매체(F=3.424, p<.0.1)는 만 4세까지 학급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후 검증 결과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텔레비전(F=4.730, p<.0.01)에 대해서도 영유아교사들은 만 4세까지 학급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사후 검증 결과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컴퓨터(F=2.441, p<.0.1), 인터넷(F=2.501, p<.0.1), 스마트폰(F=2.609, p<.0.1)의 필요성은 F값에 대해서는통계학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였으나, 사후 검증 결과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급 연령에 따른 영상매체의 필요성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표 11과 같다.

Table 11.  
Necessity of image media by Class Age
0year 1year 2years 3years 4years 5years F
M(SD) M(SD) M(SD) M(SD) M(SD) M(SD)
A 2.18a 2.50a 2.43a 2.85a 4.20b 2.20a 4.730***
(1.220) (1.276) (1.424) (1.210) (.422) (1.297)
B 2.09 2.50 2.13 2.60 2.60 1.87 1.893
(1.109) (1.320) (1.439) (1.172) (.516) (.900)
C 4.18 4.00 4.17 4.60 4.80 4.33 2.441*
(1.053) (1.171) (.877) (.672) (.422) (.959)
D 2.36 2.78 2.52 2.75 2.80 2.47 .654
(.902) (1.098) (1.362) (1.104) (1.229) (1.167)
G 3.55 3.17 2.91 3.60 2.60 2.67 2.609*
(1.184) (1.558) (1.396) (1.215) (1.075) (1.422)
H 3.67 4.18 3.60 3.71 3.50 3.50 1.353
(.796) (1.267) (1.003) (1.319) (1.195) (1.319)
G 3.18a 3.56ab 3.74ab 4.00ab 4.40b 3.67 3.424**
(.733) (1.081) (.999) (.784) (.516) (1.093)
H 4.36 4.67 4.39 4.80 4.80 4.80 2.501*
(.902) (.956) (.714) (.516) (.422) (.551)
*p<.05,
**p<.01,
***p<.0.01
a〈b: Scheffe 사후검사 결과 p<.05에서 유의한 차이
TV: Television
V: Video
C: Computer
O: Overhead projector
S.P: Smartphone
B.P: Beam projector
I.M: Image media
I: Internet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영상매체의 사용실태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영상매체와 사용하고 있는 영상매체에는 차이가 있었다. 컴퓨터는 보유빈도가 가장 높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였다. 두번째로 많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매체는 텔레비전과 빔프로젝터였으나,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는 빔프로젝터로 나타났으며 텔레비전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교사 연령과 학급 연령에 따라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매체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 연령에 따라 사용하는 영상매체가 다른 이유를 조사하여 사용방법에는 문제가 없는지 교사 교육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를 분석해보고, 영상매체에 관련한 프로그램이나 매뉴얼 개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은 컴퓨터를 비롯한 영상미디어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보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주로 활용하고 있는 분야 및 활용하고 싶은 분야에 대한 참고자료 및 도서 그리고 전직교육인 대학에서 혹은 현직교육인 연수교육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힌 박석규의 연구[8]와 일치한다. 또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로봇을 활용한 증강현실 극놀이 실험을 통한 아동들이 느끼는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어릴수록 재미가 높고, 로봇이 똑똑하다고 생각하였고 로봇 사용경험이 없는 아이들이 상대적 흥미가 높고, 로봇분장에 대해서는 로봇사용 경험 있는 아이들이 차이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한정혜(2016)[11]의 연구는 향후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영상매체활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과 일치한다.

영상매체별 사용시간은 5분 이하가 가장 많았고, 사용 목적 또한 ‘교육활동에 도움이 되어서’가 가장 많았던 걸로 보아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영상매체는 교육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유아과학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전체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증진 점수가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김진영(2018)[12]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이소현∙모아라(2017)가 연구한 유아음악교육에서의 음원 사용에 관한 연구결과, 사용방법으로 <유료로 다운로드 후 카세트로 제공>, <노트북, 스마트폰으로 제공>과 많은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3].

영상매체별 필요성은 컴퓨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디오, OHP, 텔레비전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는 교사의 연령과 학급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불필요한 영상매체에 대한 교체와 함께 필요한 영상매체에 대한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vailable: http://dic.daum.net/
2. H. Kim, The Influence of Media Program on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Master Thesis, Joong-Bu University, Geumsan. 2011.
3.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KISA, 2017 Internet Usage Survey Summary Repor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KISA, Naju, pp. 01-41, 2018.
4. J. S. Choi,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t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aster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14
5. E. J. Yu,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 Thesis, Education University National of Incheon, Incheon, 2014.
6. K. J. Kim, J. S. Kim and K. J. Lim, "Analysis of Research for Smartphone Use by Infa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6, pp. 423-432, June 2016.
7. J. H. Ju, Study on educational values of visual media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007.
8. S. K. Park, "An analysis of the present recognition conditions, needs and subjects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Research on Childcare Administration, Vol.10, No.3, pp. 5-38, 2006.
9. I. J. Lim, Influence of Education Programs method to 3D Stereoscopic Contents on Child development and Children's Creativity, Master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013.
10. N. S. Park.,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Engineering for Young Children. yswpub, 2005.
11. J. H. Han, "An alysis on Children Robot Interaction with Dramatic Playes for Better Augmented Reality",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7, No.6, pp. 531-536, 2016.
12. J. Y. Kim, The effect of science activities using visual media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focusing on the theme of life 'water', Master Thesis, Chung Ang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2018.
13. S. H. Lee and A. R. Mo, A Study on the Use of Sound Source i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8, No.3, pp. 509-516, 2017.

저자소개
이소현(So-Hyun Lee)

1999년 :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문학사)

2014년 : 공주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문학석사)

2017년 : 공주대학교 유아교육과(문학박사)

2018년~현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관심분야:저작권 교육(Copyright Education), 유아 놀이(Child Play), 교사 교육(Teacher Education) 등

모아라(A-Ra Mo)

2006년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문학석사)

2014년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문학박사)

2009년~2015년: 서울 금천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2016년~현 재: 연성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관심분야: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교육(Middle manag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교사교육(Teacher Education),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