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컬러 어포던스와 사용자 행동유도의 상관관계 연구
Copyright ⓒ 2020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소재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목적 대상의 사용방법을 찾을 때 컬러 어포던스 인지반응, 사용자 행동반응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반응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는 컬러 어포던스 요인이 무엇인지 도출하고, 컬러 어포던스의 적용의 중요성과 그 효과와 관련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컬러 어포던스 요인 가운데 사용자 인지반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은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으로 나타났고, 사용자 행동반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은 인지적 어포던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페이스디자인에 있어서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모두 중요하지만 특히 물리적, 인지적 어포던스에 보다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 한 컬러의 선택을 통한 적극적인 컬러 어포던스 사용이 필요하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UI(user interface) design is to ver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affordance cognitive response and the user's behavioral response, and to verify the user's cognitive response to the user's actions. Through these efforts, color affordance that induce actual user behavior and to study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applying color affordance. Among the factors of color appeal in UI design,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 cognitive responses were physical factors, and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 behavior were cognitive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sensory, and physical appeal are all important in mobile content or product interface UI design, but need to focus more on physical and cognitive assertion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UI design's color affordance is active use of color assertions is needed through the selection of a color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Keywords:
User Interface Design, Affordance, Color, User's Behavioral키워드:
인터페이스 디자인, 어포던스, 컬러, 사용자 행동유도Ⅰ. 서 론
컬러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원시시대부터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인류는 자연에서 다양한 색상의 정보를 활용하여 생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나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하여 왔다. 현대사회에서도 컬러는 다양한 제품, 거주공간, 음식, 건강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정보를 시각에 의존하고 있고, 오감 즉, 미각 · 촉각 · 시각 · 후각 · 청각 중에서 특히 시각에 대한 의존도는 80%가 넘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컬러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도 충실히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기업의 판매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컬러의 감성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직결시키는 컬러마케팅(color marketing)기법이나, 컬러에 대한 심리적 감정을 이용해 작업환경이나 기계설비 등에 배색함으로써 안전행동을 도모하는 컬러 다이나믹스(color dynamics)를 활용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컬러를 이용한 심리적 · 정서적 치료와 안정을 얻는 건강요법으로 컬러 테라피(color therapy)까지 컬러에 대한 다양한 활용법들이 고안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러한 경향은 컬러를 통해 특정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을 직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기본 원리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컬러 반응에 대한 행동유도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없다. 위에서 언급한 컬러 마케팅, 컬러 다이나믹스, 컬러 테라피 역시 컬러에 대한 인간의 심리와 연상, 생리현상에 기초를 두고 행위유도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광범위한 행동유도 개념으로 인간이 처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나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행동유도개념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현대 사회는 급속한 환경변화와 함께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 새로운 개념의 공간 등 여러 가지 복합된 상황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컬러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를 선별적 분류하거나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제품의 사용방법을 효율적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돕는 인터페이스 분야, 복잡해지는 도시환경에서 원하는 지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웨이파인딩(wayfinding)분야까지 컬러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소재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목적 대상의 사용방법을 찾을 때 컬러 어포던스(color affordance), 인지반응, 사용자 행동반응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조사대상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는 컬러 어포던스 요인이 무엇인지 도출하고, 컬러 어포던스의 적용의 중요성과 그 효과와 관련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Ⅱ. 본 론
어포던스(affordance)란 제임스 깁슨이 그의 저서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에서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제공해 주는 자극의 모든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는 환경과 사용자와는 상보적인 관계를 지니게 한다”는 의미이다. 즉, 사용자 환경에 속한 대상이 가지는 속성으로 사람이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자극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컬러는 뮈르(Robert Muir)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가 외부로부터 인지하는 83%는 시각을 통해서이고 10%가 청각, 4%가 후각, 2%촉각, 1%가 미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1] 컬러의 기능에는 ‘시각유도기능, 표현기능, 상징기능, 식별기능, 미적기능 등이 있으며, 컬러의 특성은 문자나 형태에 비해서 사용자의 사고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고 하였다.(원유홍, 1982). 컬러를 이용한 심리적, 정서적 치료와 안정을 얻는 건강요법으로 컬러 테라피나 색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으로 공간의 채광과 조명 계획이 함께 고려되는 컬러 스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 편이성을 위하여 색을 기능적으로 일관성 있게 사용하는 컬러 코딩, 가시성, 유목성, 시인성과 같은 색의 기능이나 구매의욕이 촉진될 수 있는 인상적인 사용방법인 커머셜 컬러 분야까지 컬러에 대한 광범위한 활용에 대해 모색되어지고 있다.[2]
2-1 컬러 어포던스의 개념
컬러 어포던스란 컬러의 개념을 보다 광범위하게 해석하여 인간의 인지행동 분야와 디자인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인간의 컬러의 반응에 대한 행동유도 개념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즉 특정한 상황이나 형태가 컬러와 결합하면 사용자는 그것에 대한 감정과 함께 구체적인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는 개념이다. 컬러는 컬러 그 자체만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거나 행동유도의 개념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컬러에서의 색채 조절은 컬러에 대한 일반적인 심리, 연상, 감정 등의 작용을 이용하는 광범위한 활동으로 구체적인 상황 제시나 세부적인 디자인적용의 한계가 있다. [4] 컬러 인지 착오에서 발생하는 컬러 인지의 특성이나 형태와 컬러의 상관관계 등 세부적인 사항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그림 1은 이러한 특성을 종합한 컬러 어포던스의 개념도이다.
2-2 컬러 어포던스의 상황과 디자인 적용 요소
디자인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떤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디자인 요소는 형태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적절한 컬러의 사용, 사용자의 심리이해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즉 형태적인 요소가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사용자의 행동유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컬러의 기능성, 연상성, 주목성, 상징성, 식별성의 원리와 사용자의 컬러의 심리를 제대로 파악했는지,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행동과 패턴을 적용하여 최상의 조건으로 디자인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디자인의 조건은 그 대상(상품)을 보기만 하여도 무엇을 의도하는 것인지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세 가지의 조건이 최상의 상태로 조합될 때 컬러 어포던스가 적절하게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표 1 은 컬러 어포던스의 종류와 상황에 따른 디자인 적용 요소에 관한 내용이다. 인지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들이 어떤 것을 알도록 도와주는 설계 특성으로 디자인 적용요소로 명확성과 예측가능성 등이 있고 감각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들이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설계 특성으로 사용자의 주의집중과 주목성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컬러 어포던스는 물리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계 특성으로 개체 조작의 어려움, 스트레스 등이 있다.
컬러 어포던스의 지각특징은 컬러에 의한 색채지각이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형태의 요소가 컬러에 의해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형태지각의 요소의 이론과 색채지각 이론을 교차시켜 컬러 어포던스의 정보표현 비주얼 검증 요소를 체크하여야 한다. 즉 형태, 위치, 방향, 크기 등을 검증하는 케슈탈트법칙, 간섭효과, 일관성, 공간감 유도 전경과 배경, 가독성, 가시성 등의 형태지각 이론과 색상의 감성적 정보와 명도, 색상, 기분, 편안함을 관여하는 색채 지각 이론을 체크하여 보다 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이끌어 낼 수 있다.
2-3 컬러 어포던스의 디자인 활용
지난 2011년 1월~3월에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서울 방배동 삼성 레미안 아파트 방배아트힐 600단지를 대상으로 디자인과 색상이 조절된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를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그림2의 고지서는 사용자의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녹색, 노랑, 빨강의 3가지 단계의 색상을 나누어 고지서에 표시되었다. 그 결과 가구당 평균 10.7%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이를 전국주택 사용전력으로 환산하면 연간 3,360억원의 절감효과를 가져 온다고 한다. 이는 컬러 어포던스를 활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에너지를 절약을 유도해낸 좋은 사례이다.
서울시는 범죄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열악한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범죄자의 심리를 위축시켜 범죄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그림 3과 같이 범죄예방디자인 적용 5개월 후 염리동에서는 범죄예방효과가 78.6%, 주민 만족도는 83.3%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업 시행 1년 후에는 살인, 강도, 절도 등을 포함한 5대 범죄의 범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도시환경을 범죄에 대한 방어적인 디자인으로 설계하는 기법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브라질의 파벨라 페인팅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의 범죄율이 평소 25% 수준으로 줄었다. [5] 컬러에 의한 정보들은 인간의 심리와 그에 따른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두 가지 프로젝트는 결과적으로 컬러적용이 범죄행위 유발 억제에 영향을 미친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컬러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 복잡해지는 도시환경에서 원하는 지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웨이파인딩 디자인 분야가 주목 받고 있다. 웨이파인딩은 사람이나 동물들이 물리적인 공간에서 스스로 위치를 찾고,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6] 그림 4 와 같이 넓은 지하주차장의 층별, 공간별 컬러 적용이나 고속도로의 분기점에서 컬러를 이용한 유도선이 설치하여 특정 방향이 경로를 미리 알려주어 운전자들의 안전운행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사용자들의 빠른 인지와 행동을 이끌어 내는 컬러 어포던스의 좋은 사례이다.
Ⅲ. 컬러 어포던스의 인지와 사용자 행동
3-1 컬러 어포던스의 인지와 사용자 행동 특성
사용자의 인지방식과 유형은 표 2와 같이 시지각 기반 인지와 행위 기반 인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시지각 기반 인지의 경우 인지특성은 이해도와 선호도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처리는 감각 주도적이다. 이에 반해 행위 기반 인지의 경우 어포던스와 경험적 스키마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처리는 개념 주도적이다. [7]
하지만 컬러 어포던스는 컬러에 의한 시지각 기반의 인지 특성을 가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지각 기반의 인지특성에 따라 형태지각의 이해도와 선호도에 영향을 크게 받고 컬러에 의한 감각 주도적 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 어포던스의 시지각 기반의 인지 특성은 형태를 포함한 컬러의 이해도와 선호도로 정리할 수 있다.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 컬러는 단독으로 존재할 때 의미부여가 되지 않는다. 형태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게슈탈트법칙, 자동성(스트룹간섭), 일관성, 폰레스토프 효과, 가시성 등에서 컬러에 의해 형태의 인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감각 주도적 특징인 주의집중에 의한 주목성, 구별성에 의한 이해도, 친근감에 의한 선호도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3-2 사용자 태도와 행동
사용자가 행동의 전단계로 어떠한 태도를 취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태도(attitude)는 어떤 특정한 대상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 감정상태 행동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심리학 등 순수 사회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광고, 교육 등 실용적 학문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고, 사용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핵심적인 변수로 평가되고 있다. [8]
태도의 형성의 과정을 보면 먼저, 인지적 요소(cognitive component)로 소비자가 특정 대상에 대해 가지는 일련의 평가적 신념들로 특정 대상이 지닌 속성들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다. 두 번째, 감정적 요소(affective component)로 특정 대상에 대해 소비자의 전반적인 평가로 대상에 대한 호의성과 비호의성을 말하는 것이다. 세 번째, 행동적 요소(behavioral component)로 소비자가 행동적 반응을 보일 잠재력 또는 준비 상태를 말한다. [9] 작용하는 순서는 인지적 요소가 감정적 요소보다 선행한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태도는 대상을 ‘좋아한다’ 또는 ‘싫어한다’는 감정적 요소로서 인지적 요소(또는 신념)에 의해서 형성되고, 행동의도의 원인이 된다. [10]
태도와 관련된 초기 연구들은 인지적 구조와 인지적 반응과 같은 인지적 요인들에 의해 태도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태도, 판단, 행동의도,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인지적 요인이 강조되어 왔다. 인지는 인식의 개념과 함께 정보처리 과정을 통한 앎의 과정과 표상의 내용 등을 모두 포괄하는, 능동적 과정의 보다 넒은 의미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11]
피시빈과 아이저(Fishbein & Aizen, 1975)의 연구에 의하면, 제품 혹은 디자인에 대한 태도는 사용자들이 제품 혹은 디자인에 관련하여 취하는 행동으로, 특정 제품의 선택 혹은 특정 디자인에 대한 이해 및 선호와 관련한 인지반응 및 행동이라는 사용자 행동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이러한 태도는 제품 및 디자인의 속성과 연관되어 결정된다고 말했다. 어떠한 제품 혹은 디자인에 대한 태도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이 유도된다고 할 수 있다. [12]
따라서 태도는 어떤 제품을 사용할 때 어떤 인지반응을 보이는지 여부와 행동의 판단 근거가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태도는 해당 모바일 콘텐츠의 디자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해당 제품이나 기업의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특정제품, 특정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태도는 특정제품, 특정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특성에 대해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인지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궁극적으로는 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Ⅳ.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적용 실증분석
4-1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적용에 대한 가치 있는 설문 결과를 위해 제작에 앞서 본 연구의 취지와 컬러와 어포던스 유형을 다룬 각 전문가의 문헌을 고찰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선정하였다. 또한 이 자료는 사용자의 행동반응을 분석하는 설문자료로 사용하였다. 컬러 어포던스를 적용한 이미지는 실존하는 모바일 콘텐츠, 제품의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하였고 경쟁관계에 있는 회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오른쪽에는 일반 이미지를 배치하고 왼쪽에는 컬러 어포던스가 적용된 이미지를 배치하여 설문 시 설문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비교하기 쉽게 하였다. 비교군의 차이를 최소화 하기위해 최대한 비슷한 기능과 내용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찾았다. 1차에서 연구자가 직접 24개의 이미지를 선별하였다. 2차에서는 1차의 분류 대상 중에서 연구자가 직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18개를 선정하였고, 3차에서는 최종적으로 시각디자인 관련 교수와 UI디자인 및 모바일, 제품 인터페이스 디자인 실무업계의 전문가 7명 의 자문을 통해 빈도가 높은 8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조사에 사용된 사례는 UI디자인 인터페이스분야 4개, 제품과 모바일 콘텐츠 분야에서 4개를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아래 표 3 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 자료수집은 표 4와 같이 2018년 10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일주일간 모바일 설문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6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이후 불성실한 응답 11부를 제외 한 349부의 유효 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네이버 오피스 온라인 설문조사 툴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모바일 설문도구를 통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주소를 문자메세지 형태로 배포하여 온라인과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응답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 이전에 실증분석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설문 방법에 대해서 조사대상자에게 미리 조사의 목적과 조사의 방법, 조사요령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설명하였다. 지역에 편차를 두지 않고 전국에 고등학생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4-2 연구의 모형 및 가설 설정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컬러 어포던스 변인을, 종속변수로는 사용자 인지반응 변인 및 사용자행동 변인을 설계하였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컬러 어포던스 변인의 경우 Hartson(2003), 박형주(2012)의 연구를 참조하여 하위 요인을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으로 하위 요인화하였다. 사용자 인지반응의 경우 최종필(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이해도 요인 및 선호도 요인으로 하위 요인화하였다. 한편, 사용자 행동 변인의 경우 단일요인화하여 그림 6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1) 연구문제1. 연구문제 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인지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 - 가설 1-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인지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인지반응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가설 1-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각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인지반응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가설 1-3.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물리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인지반응에 높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문제 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인지반응은 사용자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 - 가설 2-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자 인지반응의 이해도는 사용자 행동유도가 쉬울 것이다.
- - 가설 2-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자 인지반응의 선호도는 사용자 행동유도가 쉬울 것이다.
(3) 연구문제 3.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 - 가설 3-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인지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행동을 빠르게 할 것이다.
- - 가설 3-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각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행동을 빠르게 할 것이다.
- - 가설 3-3.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물리적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행동을 빠르게 할 것이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디자인을 소재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목적 대상의 사용방법을 찾을 때 컬러 어포던스, 인지반응, 사용자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반응을 검증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 되었다.
설문지 구성의 예시를 살펴보면 먼저 컬러 어포던스에 관련한 질문은 “A영역의 이미지에 적용된 컬러는 B영역의 이미지보다 내가 이동하고자 하는 메뉴가 쉽게 예측된다.” 외 총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인지반응에 관한 설문구성은 “A영역의 이미지에 적용된 컬러는 B영역의 이미지보다 메뉴를 구별하기 쉽다.” 외 총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자 행동은 “홈컨트롤 A이미지에 적용된 컬러는 사용 시 원하는 메뉴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외 총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체 구성을 디지털 터치방식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제품, 모바일 분야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두 부분 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전체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4-3 측정도구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서성희, 천정임(2003), 신혜영, 심영완(2004), 양미연(2005), 박형주(2012)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의 하위요인을 표 5와 같이 인지적, 감각적,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 등 3개 요인으로 측정하고자 하며, 총 6개 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컬러 어포던스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신혜영, 심영완(2004), 양미연(2005), 최종필(2015)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인지반응을 표 6과 같이 이해도, 선호도 요인 등 2개 요인으로 측정하고자 하며, 총 4개 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인지반응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4-4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대상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컬러 어포던스, 인지반응, 사용자 행동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수행하고자 하며,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요인분석 시 요인적재치(factor loading)는 0.5 이상을 기준으로 할 것이며, 고유치(eigen value)는 1.0 이상을 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변수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 SEM)을 수행 하고자 한다.
4-5 분석결과
본 연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으로는 여러 기법 중 정보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수많은 변수들을 가능한 적은 수의 요인으로 줄이는 데 목적이 있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요인회전방식은 직교회전 방식인 Varimax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이 0.5 이상인 변수들을 의미 있는 변수로 판단하였다. 또한 도출된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항목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먼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결과는 <표 6>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제거된 문항은 없었으며, 측정항목의 KMO측도는 0.899,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 χ2=1753.810(df=15 p<.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측정항목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하였다. 예측대로 고유치가 1.0 이상인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들의 총분산설명비율은 89.554%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요인 1은 인지적 어포던스 요인으로서 분산설명비율은 32.335%였고, 요인2는 감각적 어포던스 요인으로서 분산설명비율은 31.870%, 요인 3은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으로서 분산설명비율은 25.349%로 각각 나타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도출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한 신뢰성 검증 결과, Cronbach's α값이, 인지적 어포던스 요인은 0.898, 감성적 어포던스 요인은 0.875,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은 0.836으로 각각 나타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들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은 모두 내적 일관성은 높은 항목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결과는 <표 7>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제거된 문항은 없었으며, 측정항목의 KMO측도는 0.795,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 χ2=1021.751(df=6 p<.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측정항목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하였다. 예측대로 고유치가 1.0 이상인 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들의 총분산설명비율은 90.213%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요인 1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이해도 요인으로서 분산설명비율은 45.608%였고, 요인2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선호도 요인으로서 분산설명비율은 44.604%로 각각 나타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도출된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한 신뢰성 검증 결과, Cronbach's α값이, 이해도 요인은 0.908, 선호도 요인은 0.871로 각각 나타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인지반응 요인들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은 모두 내적 일관성은 높은 항목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행동 요인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결과는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제거된 문항은 없었으며, 측정항목의 KMO측도는 0.779,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 χ2=683,331(df=6 p<.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측정항목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하였다. 예측대로 고유치가 1.0 이상인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의 총분산설명비율은 71.225%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도출된 사용자행동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한 신뢰성 검증 결과, Cronbach's α값이, 0.865로 나타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행동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측정항목들은 모두 내적 일관성은 높은 항목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검증을 실시하기에 앞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사용자 인지반응, 사용자 행동 등 연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먼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과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인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각각의 요인들은 모두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인 이해도, 선호도 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과 사용자 행동 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인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각각의 요인들은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과 사용자 행동 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이해도 요인과 선호도 요인 각각의 요인들은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4-6 가설 검증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먼저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검토 결과 모든 변수에서 공차한계(TOL)는 모두 0.3 이상이고, 분산팽창요인(VIF)은 4.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인지반응을 설명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분산 설명력은 67.3%였고,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39.519, p<.001). 분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 가운데 인지적 어포던스(β=.319, p<.001), 감각적 어포던스(β=.195, p<.01), 물리적 어포던스(β=.372, p<.001) 요인 모두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 수준이 높을수록 사용자 인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물리적 어포던스(β=.372, p<.001)가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인지반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고려 시에 물리적어포던스 수준을 가장 중점적으로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설 1-1, 1-2, 1-3은 채택되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이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먼저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검토 결과 모든 변수에서 공차한계(TOL)는 모두 0.4 이상이고, 분산팽창요인(VIF)은 3.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이 사용자 행동을 설명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분산 설명력은 64.2%였고,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13.334, p<.001). 분석 결과,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 가운데 이해도(β=.626, p<.001), 선호도(β=.217, p<.001) 요인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요인 수준이 높을수록 사용자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이해도(β=.626, p<.001)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 가운데 이해도 수준을 가장 중점적으로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설 2-1, 2-2은 채택되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먼저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검토 결과 모든 변수에서 공차한계(TOL)는 모두 0.3 이상이고, 분산팽창요인(VIF)은 4.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행동을 설명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분산 설명력은 49.4%였고,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14.213, p<.001). 분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 가운데 인지적 어포던스(β=.342, p<.001), 감각적 어포던스(β=.188, p<.01), 물리적 어포던스(β=.230, p<.01) 요인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요인 수준이 높을수록 사용자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지적 어포던스(β=.342, p<.001)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고려 시에 인지적 어포던스 수준을 가장 중점적으로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설 3-1, 3-2, 3-3은 채택되었다.
이상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 가운데 인지적 어포던스(β=.319, p<.001), 감각적 어포던스(β=.195, p<.01), 물리적 어포던스(β=.372, p<.001) 요인 모두 사용자의 선호도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물리적 어포던스(β=.372, p<.001)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이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사용자 인지반응 요인 가운데 이해도(β=.626, p<.001), 선호도(β=.217, p<.001) 요인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이해도(β=.626, p<.001)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요인 가운데 인지적 어포던스(β=.342, p<.001), 감각적 어포던스(β=.188, p<.01), 물리적 어포던스(β=.230, p<.01) 요인 모두 사용자 행동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지적 어포던스(β=.342, p<.001)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 인지반응과 사용자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인지반응은 사용자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콘텐츠 혹은 제품 인터페이스 사용 시에 반영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인지하는 반응을 보이며,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콘텐츠 혹은 제품 인터페이스 사용 시에 즉각적인 반응 및 정확한 행동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인지적 어포던스는 사용자들이 대상을 쉽게 알도록 도와주는 설계 특성으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자인이다. 본 논문에서 검증한 세부 적용 디자인 요소로 예측성과 명확성이 있다. 사용자가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초기단계로 컬러에 의한 디자인 표현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명확한 색상의 사용이나 높은 채도의 컬러를 사용하여야 하고, 의미에 부합하는 컬러 적용과 정보이해를 위한 일관성의 유지가 필요하다.
셋째, 감각적 컬러 어포던스의 디자인 적용 요소는 사용자들이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계 특성으로 지각 정보에 대한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디자인 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 검증한 세부 적용 디자인 요소로 시선집중과 주목성이 있다. 이는 사용자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적극적인 컬러 사용이 해당 요소를 높여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명시성이 높은 컬러의 사용이나 차별성 있는 컬러 단계의 활용, 정보 구분을 위한 가시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
넷째, 물리적 컬러 어포던스의 디자인 적용 요소는 제품의 사용이나 인터페이스 상에서 물리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계특성으로 본 논문에서 검증한 세부 적용 요소는 조작의 편의성과 스트레스이다. 적극적인 컬러 사용이 조작의 편의성과 스트레스에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컬러 면적을 높여 조작의 용의성을 확보하고, 테스트 컬러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컬러 어포던스 적용은 다양한 정보의 조합을 통해 가장 최선의 것을 제공해야 하는 디자이너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다. 디자인 상황과 문제를 어떻게 표현 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표현된 디자인에 대해 사용자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하였는가가 더 중요한 요소이다.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 한 컬러의 선택을 통한 적극적인 컬러 어포던스 사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컬러 어포던스를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야에 적용해 봄으로써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모바일 콘텐츠와 제품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소재로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적용된 컬러 어포던스가 사용자의 인지반응 및 사용자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설문대상의 한계에 의해서 전체 연령대로 일반화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컬러 어포던스는 모바일 콘텐츠와 제품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국한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확대 해석하여 일반화 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컬러 어포던스의 개념이 객관적,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여서 컬러 어포던스를 측정하는 객관적이고 체계화 된 측정도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컬러 어포던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추가적으로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 This paper is summary of excerpts form the "Sung. Euk. Park, The effect of color affordance on user behavior in UX design, Ph.D,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aegu, 2019"
References
- S. H. Park,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ijinsa publishing company, p.66, 1999.
- S. E. Park,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indu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lor affordances in public service design, Haneul publishing company, pp.24-25, 2017.
- S. E. Park,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indu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lor affordances in public service design, Haneul publishing company, pp.26-27, 2017. (Reorganized)
- H. J. Park, A development of affordance design strategy for improvement of pedagogical usability on e-learning contents user interfaces, Ph.D,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seoul, pp.40, 42, 2012.2 (Reorganized)
- G. Lee, Design white paper, Seoul design foundation, p.148, 2015.
- Wikipedia, Wayfinding, https://ko.wikipedia.org/wiki/Wayfinding
- J. P. Choi, A study on the cognition of visu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mobile environment, Ph.D,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aegu, p.49, 2012.2
- H. S. Lee, Consumer behavior, Bubmunsa publishing company, p.125, 2006.
- K. H. Lee, Responding to consumer behavior innovation, Hakhunsa publishing company, pp.134~135, 2017. (Reorganized)
- K. H. Lee, Responding to consumer behavior innovation, Hakhunsa publishing company, p.136, 2017. (Reorganized)
- J. P. Choi, A study on the cognition of visu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mobile environment, Ph.D,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aegu, p.33, 2012.2
- M. H. Oh, The effect of consumeraattitude toward fashion products on SNS's characteristice to purchase inten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Ma,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p.49, 2014.2
저자소개
2002년 : 영남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석사)
2005년 : 영남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박사-UX 디자인)
2008년~2010년: ㈜재미로
2009년~2010년: 영남대학교 겸임교수
2010년~현 재: 중원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 교수
※관심분야: 인터페이스 디자인, UX 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