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0, No. 7, pp.1319-1327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19
Received 19 Jun 2019 Revised 10 Jul 2019 Accepted 25 Jul 2019
DOI: https://doi.org/10.9728/dcs.2019.20.7.1319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정서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우혁1 ; 이선화2 ; 장아인2 ; 한승현2 ; 최세림2, *
1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2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Emotion and Adjustment for school-age sibling Children from working parents.
Woo-Hyuk Jang1 ; Sun-Hwa Lee2 ; Ah-In Jang2 ; Seung-Hyeon Han2 ; Se-Lim Choi2, *
1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2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Bachelor’s Course

Correspondence to: *Se-Lim Choi E-mail: cselimjj@naver.com

Copyright ⓒ 2019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의 학령기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정상아동이며, 형제가 있다. ABA 개별사례 연구 설계로, 11명의 아동이 총 8주간의 연구기간 중, 5회의 검사와 8회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정규성 검증,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은 대상 집단의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점수 향상을 보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program applying to school-aged children from parents who are both working for a living. All children are normal and have a sibling or more. A single subject A-B-A design was utilized. Eleven children have participated in 8 sessions of the program and five tests for eight weeks. The outcomes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and a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effects significantly on self-esteem,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and child-rear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The school life adaptation shows an improvement,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Keywords:

Working parents, Sibling children, Normal school-age children, Group sensory integration program

키워드:

맞벌이 가정, 형제아, 학령기 정상 아동,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

Ⅰ. 서 론

맞벌이 가정이란 근대 제 2차 산업혁명 이후에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사회참여가 증가하여 생겨난 새로운 가족형태이다[1]. 통계청[2]에 따르면 배우자가 있는 1,188만 4천 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2016년에 비해 12만 5천 가구(2.4%)나 증가한 533만 1천 가구로, 전체의 44.9%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외벌이를 포기하고 맞벌이에 나서는 가구도 증가하고 있다[3]. 오늘날의 맞벌이가 늘어나고 있는 환경은 어머니의 부재를 가져 왔으며, 어머니와의 원만하지 않은 상호작용은 아동의 가치관 확립에 혼란을 가져오게 되었다[4]. 따라서 맞벌이 가정은 아동들의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5]. 또한 Kim[6]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맞벌이는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모의 경제적 활동으로 인한 무관심과 부족한 보살핌은 아동에게 불안감, 소외감, 우울, 분노, 공격, 비행 등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나타나게 한다[3, 7].

이러한 상황 속에서 외동아와 형제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8-13]. 형제가 없는 외동아는 사회성이 떨어지며, 발달이 느리고, 자기중심적이 될 확률이 높다[8]. 또한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발달심리학적으로 더 자기중심적이고 협동적이지 못하며[9], 환경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과거의 외동아에 관한 부정적인 연구 결과와는 달리, 최근에는 형제아가 더 부정적이라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점차 나오고 있다[10]. 또 다른 연구에서는 형제아가 외동아에 비해 저하된 행복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적응능력에도 열등성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11].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검사 중 타인과의 관계 항목에서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12], 형제아는 외동아보다 학교에 더 적응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13].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외동아보다 형제아의 부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아동의 문제행동을 치료하기 위하여, 작업치료사인 A. Jean Ayres에 의해 개발된 감각통합은 활발히 사용되어 왔다[14]. 감각통합은 다양한 감각 입력을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을 치료하는 것으로 전정자극, 고유수용성자극, 촉각, 청각 등이 많이 사용된다[15]. 현재 국내에서는 작업치료뿐만 아니라 물리치료, 특수교육, 특수체육교육 분야 등의 많은 분야에서 감각통합치료가 실시되고 있다[16]. 이러한 감각통합치료는 치료사와 아동이 일대일로 접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룹 활동으로 시도하기도 한다[17]. 그룹 감각통합치료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그룹 아동들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아동들에게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다[18, 19].

이와 같은 국내의 연구들은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장애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다[18, 20].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에게 적용하였을 경우, 운동 및 사회성 기능이 향상되었으며[20],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에게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사회성이 향상되었다[18]. 따라서 학령기 장애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령기 정상 아동과 장애 아동이 포함되어 있는 대상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을 경우,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21].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학령기와 비학령기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운동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17].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장애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들의 놀이다움, 식단관리, 소근육 운동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였다[22]. 하지만 앞에 언급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장애 아동들이 주 대상이거나[17, 18, 20], 비학령기 아동이 포함된 그룹을 대상으로 하였다[19, 21]. 따라서 국내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학령기 정상 아동의 정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뿐만 아니라 맞벌이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형제아의 부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는 상황 속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8년 9월 30일부터 11월 25일까지 S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 형제가 있는 정상 아동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실시 전 부모님과 아동들에게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모든 검사를 이해하여 직접 참여할 수 있으며, 이에 동의한 초등 교육 과정 중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n=11)

2-2 검사 도구

1) 부모양육태도 검사 (PAT; Parental Attitude Test)

양육태도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나타내는 일반적인 태도나 행동으로, 자녀에 의해 지각되고 행동으로 나타나는 반응양식이다. PA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9로 신뢰도를 입증 받은 도구이며, Kim[23]이 제시한 질문지를 통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를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 도구는 애정-거부, 자율-통제의 2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PAT는 Likert식 4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매우 그렇다 = 4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것을 의미한다.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위는 6~240점이다. 문항 중, 1, 4, 6~8, 11, 12, 16, 17, 19, 21, 24, 26, 28~30 총 16문항은 역점수 항목으로, 점수의 배열을 반대로 환산하여 채점한다[24].

2) 자아존중감 검사 (SETT; Self-Esteem Test)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가치에 대한 평가로 자신의 속성을 얼마나 가치있게 여기며, 자신의 행동이 개인의 가치 기준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25]. SETT의 Cronbach's α는 .93으로 신뢰도를 입증 받은 도구이며[26], Kim & Kim[27]이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하고 Kim[28]이 보완한 질문지를 통해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 도구는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 능력 자아, 교사 관련 자아의 7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ETT는 Likert식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정말 그렇다 = 5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총 4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위는 49∼245점이다. 문항 중, 2, 5, 9∼15, 25, 26, 28번 총 12문항은 역점수 항목으로, 점수의 배열을 반대로 환산하여 채점한다[28, 29].

3) 자기효능감 검사 (SEFT; Self-Efficacy Test)

자기효능감이란, 특정한 환경에서 특정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개인의 믿음이며, 자기 능력의 판단 또는 기대에 관한 것이다[25, 30]. SEFT의 Cronbach's α는 .80으로 신뢰도를 입증 받은 도구이며, Kim[31]이 수정한 질문지를 통해 아동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 도구는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 선호의 3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EFT는 Likert식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정말 그렇다 = 5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총 2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위는 23~115점이다. 문항 중, 1~7, 9, 19, 22번 총 10문항은 역점수 항목으로, 점수의 배열을 반대로 환산하여 채점한다[24].

4) 학교생활적응 검사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학교생활적응이란, 학교생활을 하며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교육적 환경을 자신의 욕구에 맞게 변화시키며, 환경과 개인 사이에 균형을 이루려하는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다[24, 32, 33]. SLAT의 Cronbach's α는 .85로 신뢰도를 입증 받은 도구이며, Min[34]이 제작한 질문지를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정도를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 도구는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행사에 대한 적응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LAT는 Likert식 4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매우 그렇다 =4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총 2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위는 25~100점이다. 점수의 배열을 반대로 환산하여 채점하는 역점수 항목은 없다[24].

2-3 연구 설계 및 과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개별실험연구 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검사는 기초선 A기간 동안 2번(Test 1, 2), 중재 B기간 동안 2번(Test 3, 4), 중재 종료 후 A기간 동안 추적검사 1번(Test 5)을 2주 간격으로 총 5번 실시하였다. Test 2를 실시한 후 바로 중재를 시작하였으며, 4주 동안 총 8회기의 중재를 진행하는 동안 각각 4회기와 8회기 중재 종료 후에 Test 3과 Test 4를 실시하였다. 상세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다(Fig. 1).

Fig. 1.

Research Design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2) 연구 과정

본 연구는 S지역의 아동센터 또는 가정 방문을 통해 희망자를 모집하여 진행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은 모집된 아동 11명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8년 9월 30일부터 11월 2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그 중 중재 프로그램은 2018년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4주 동안 주 2회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감각통합에 기초한 그룹 프로그램으로,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 그룹의 수준에 맞게 구성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능력 영역의 향상을 위하여 전정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촉각을 활용하여 각 목표영역 당 2회기씩 기획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60분으로, 매 회기마다 준비 활동 10분, 중재 프로그램 40분, 마무리 활동 10분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Table2).

Introduction of Intervention

2-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규성 검증을 만족하였으며, 동질성 검증과 집단 전·후 차이의 효과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유의성을 위해 p<0.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3-1 대상 집단의 동질성 검증

연구 대상 집단의 중재 전 두 번의 결과 값들을 통해 동질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PAT, SETT, SEFT, SLA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동질성 검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Homogeneity Test‘s Results of the Object Group

3-2 대상 집단의 중재 전·후 변화

대응표본 검정에 대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Table 4). 또한 설문 검사 시기에 따른 비교를 위해, 각 항목의 원점수(Raw Score)를 막대그래프로 제시하였다(Fig. 2).

Paired T-Test's Results of the Object Group

Fig. 2.

Comparison of Group's Raw Score *p<.05, **p<.01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1) 부모양육태도 검사 (PAT; Parental Attitude Test)

PAT 항목의 중재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Test 2와 Test 4 사이의 결과 변화 값(이하 -로 표시)이 171.45±19.38점에서 181.90±20.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est 2 - Test 3과 Test 3 - Test 4는 각각 171.45±19.38점 - 172.45±19.42점과 172.45±19.42점 - 181.90±20.4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 Test 4 - Test 5는 181.90±20.42점 - 176.90±19.1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감소하였다. Test 2 - Test 5에서는 171.45±19.38점 - 176.90±19.1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Table 4).

2) 자아존중감 검사 (SETT; Self-Esteem Test)

SETT 항목의 중재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Test 2와 Test 4 사이의 결과 변화 값(이하 -로 표시)이 170.18±25.10점에서 180.63±27.3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Test 3 - Test 4의 결과 값이 171.00±23.92점 - 180.63±27.31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est 2 - Test 3에서는 170.18±25.10점 - 171.00±23.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 Test 4 - Test 5는 180.63±27.31점 - 180.18±25.74점으로 미세하게 점수가 감소하였다. Test 2 - Test 5는 170.18±25.10점 - 180.18±25.7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Table 4).

3) 자기효능감 검사 (SEFT; Self-Efficacy Test)

SEFT 항목의 중재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Test 2와 Test 4 사이의 결과 변화 값(이하 -로 표시)이 64.09±11.06점에서 72.27±14.1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Test 2 - Test 3은 64.09±11.06점 - 67.72±10.93점으로, Test 3 - Test 4는 67.72±10.93점 - 72.27±14.1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 Test 4 - Test 5는 72.27±14.19점 - 69.63±10.9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감소하였다. Test 2 - Test 5는 64.09±11.06점 - 69.63±10.9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Table 4).

4) 학교생활적응 검사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SLAT 항목의 중재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Test 2 - Test 3과 Test 2 - Test 4에서 각각 70.72±6.58점 - 71.54±13.17점과 70.72±6.58점 - 73.81±8.8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 또한 Test 3 과 Test 4에서도 71.54±13.17점 - 73.81±8.8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 Test 4 - Test 5는 73.81±8.80점 - 73.54±10.85점으로 미세하게 점수가 감소하였다. Test 2 - Test 5는 70.72±6.58점 - 73.54±10.8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점수가 상승하였다(Table 4).


Ⅳ. 고찰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의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S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 1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Kim[23]이 제시한 부모양육태도 검사(Parental Attitude Test; 이하 PAT)를 시행하였으며, 자신에 대한 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Kim & Kim[27]이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하여 Kim[28]이 보완한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Test; 이하 SETT)를 시행하였다. 또한 어떠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31]이 수정한 자기효능감 검사(Self-Efficacy Test; 이하 SEFT)를 시행하였으며, 아동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in[34]이 제작한 학교생활적응 검사(School Life Adaptation Test; 이하 SLAT)를 시행하였다.

각 검사항목의 점수 변화를 비교한 결과, PAT, SETT, SEFT 항목에서 중재 전인 Test 2 와 중재 종료 후인 Test 4 사이의 결과 변화값(이하 -로 표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ETT 항목에서는 Test 3 - Test 4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4주 간 적용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모든 항목에서 Test 2 - Test 3과 Test 3 - Test 4에서 꾸준히 점수가 상승하였다. 이는 검사 간 기간이 2주라는 짧은 기간이었기에, 점수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재 8회기 종료 2주 후에 실시한 Test 5는 모든 항목에서 중재 8회기 종료 직후인 Test 4보다 미세하게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중재 전인 Test 2보다는 점수가 상승하였다. 이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였을 경우에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냈으며, 꾸준히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보고한다.

Ayres의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ADHD 아동의 사회적 기술 척도와 하위 영역인 협동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5]. 이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Hong & Kim[36]은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Yang[37]은 학령기 아동의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정상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Choi[38]의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602)를 보고하였으며, Jang[24]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과도 상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특정 지역의 아동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각 검사 간 기간은 2주로 일정하게 설계하였지만, 8주의 짧은 연구 기간으로 인해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기간은 2주,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한 기간은 4주로 중재 프로그램 개입여부의 기간은 일정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들을 개선하여 대상자의 수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며, 장기적인 계획을 통하여 결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의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집단의 부모양육태도가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둘째,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집단의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은 맞벌이 가정의 형제가 있는 학령기 정상 아동의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대상에게 그룹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K. M. Kim, and S. J. Kye, "A Study on Work-Family Balance and the Happiness level of Dual Career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6(4), p103-119, (2017). [https://doi.org/10.7466/jkhma.2018.36.4.103]
  • Statistics Korea, [Internet] Availabl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3/index.board?bmode=read&aSeq=361185.
  • H. G. Cheon, "The Effect of Art Treatment on the Stress and Problem Behavior of Double-income Families",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Rep. of Korea, (2018).
  • J. S. Nam, "Effects of Art Therapy of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and Same Age Relationship of Only Child in Dual-Income Famili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Rep. of Korea, (2018).
  • Y. S. Kim,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nger management of children of a dual income famil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2014).
  • S. A.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orking and Their Children's Self-Concept",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Rep. of Korea, (2006).
  • H. O. Kan, and W. J.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School Maladjustment : Focused o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3), p5-23, (2005).
  • Y. J. Yoo, S. O. Kim, and K. S. Kim, "Family Relationship", Gyomoon, Seoul, (2013).
  • M.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between the only child and sibling chil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Rep. of Korea, (2006).
  • M. S. Kim, "(A) Study on the Socialbility, Self-Esteem, School Adjustement of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 of Korea, (2004).
  • H. Y. Rho,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f only children and children with siblings",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Rep. of Korea, (2017).
  • H. Y. Jung,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Children with and without Siblings in Elementary School by the Communication Types of Their Par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 of Korea, (2014).
  • O. J. Song, “The roles of hardiness as a mediator between the relation of the pat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s to school : focus on comparing the only children with the children raised with siblings”,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Rep. of Korea, (2012).
  • S. J. Lane, et al., “Neural Foundations of Ayres Sensory Integration®”, Brain Sciences, 7(7), p1-14, (2019). [https://doi.org/10.3390/brainsci9070153]
  • M. Zimer, and L. Desch, “Sensory integration therap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and behavior disorders”, Pediatrics, 129(6), p1186-1189, (2012).
  • H. R. Jung, Y. W. Choi, and K. M. Kim, "A Systematic Review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Focusing on Ayres Sensory Integration(ASI)",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p27-40, (2013).
  • J. H. Park,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Interaction and Motor Skill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Rep. of Korea, (2013).
  • E. Y. Kim, Y. E. Park, and K. M. Kim,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p37-47, (2009).
  • J. M. Kim,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Facilitating Sensory Motor Development With Preschooler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Rep. of Korea, (2008).
  • M. A. Han, K. Y. Jang, J. Y. Kim, and S. Y. Han,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Motor Skill and Social Fun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p23-35, (2009).
  • J. H. Park, E. J. Lee, J. S. Noh, H. S. Lee, & J. J. Cha,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8(1), p27-40, (2010).
  • N. H. Jung, “A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2(1), p25-38, (2014).
  • Y. J. Kim,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Identity Types and Creativity to Family Background Perceived by Childre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 of Korea, (1996).
  • K. S. Jang,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the Children, Adaptation to School Lif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 of Korea, (2006).
  • M. Shi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p663-671, (1982).
  • E. S. Choi,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Feature on Emotional clarity and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ts",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Rep. of Korea, (2016).
  • H. H. Kim, and K. Y. Kim, "Research : Development of Self-Esteem Inventory for Children in Kore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p1-12, (1996).
  • H. H. Kim,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Adolescence: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 of Korea, (1998).
  • M. J. Lee, "A Comparative Study of Self-esteem and Learned Helplessness of the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p. of Korea, (2009).
  •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ilffs. NJ, Prentice-Hall, (1985).
  •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 - tolerance and its correlat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p1-19, (1997).
  • Y. B. Ahn, “(The) charcteristics of adjustment and behavior and their relative variabl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987).
  • Y. R. Cha, "(A) study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Rep. of Korea, (2000).
  • B. S. Min, "(The) influence of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Rep. of Korea, (1990).
  • N. H. Lee, M. Y. Jang, J. S. Lee, J. W. Kang, S. S. Yeo, and K. M. Kim, "The Effects of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Social Skill Ability and Self-Esteem of Low-Income Children With ADH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6(2), p1-14, (2018).
  • E. K. Hong, and H. G. Kim,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p1-12, (2009).
  • J. H. Yang, "The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Needs and Socia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7(3), p531-544, (2015).
  • S. I.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Trust in Their Teacher and Adaptation on School Lif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 of Korea, (2015).

저자소개

장우혁(Woo-Hyuk Jang)

2006년: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사

2013년: 대구대학교 작업치료석사

2016년: 영남대학교 의학박사(의과학 전공)

2017년~현 재: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관심분야: 뇌지도화, 보조공학, 작업치료

이선화(Sun-Hwa Lee)

2016년~현 재: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관심분야:작업치료

장아인(Ah-In Jang)

2016년~현 재: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관심분야:작업치료

한승현(Seung-Hyeon Han)

2014년~현 재: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관심분야:작업치료

최세림(Se-Lim Choi)

2015년~현 재: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관심분야:작업치료

Fig. 1.

Fig. 1.
Research Design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Fig. 2.

Fig. 2.
Comparison of Group's Raw Score *p<.05, **p<.01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n=11)

Characteristics Sort n(%)
Gender Male 5(45.45)
Female 6(54.55)
Age
(yrs)
8 2(18.18)
9 4(36.36)
10 2(18.18)
11 3(27.27)
Birth
(order)
First 2(18.18)
Second 6(54.55)
Third 2(18.18)
Fourth 1(9.09)

Table 2.

Introduction of Intervention

Session Intervention Purposing
Sensory
processing
Detailed
targets
Sociality
1 Making my Pot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self-efficacy co-op,
following turn
2 Drawing with Glue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self-esteem co-op,
following turn
3 Food Art Therapy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school life adaptation co-op,
following turn
4 Animal Family Mosaic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parental adaptation co-op,
following turn
5 Making Sandwich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parental adaptation co-op,
following turn
6 Making Slime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self-esteem co-op,
following turn
7 Making mini-Gimbap proprioceptive,
tactile process
self-efficacy co-op,
following turn
8 Human Bowling proprioceptive,
vestibular process
school life adaptation co-op,
following turn,
personal reaction

Table 3.

Homogeneity Test‘s Results of the Object Group

Categories Test 1 Test 2 P
M±SD M±SD
PAT 167.54±5.45 171.45±5.84 .422
SETT 175.81±6.86 170.18±7.56 .173
SEFT 67.63±3.05 64.09±3.33 .221
SLAT 70.45±2.22 70.72±1.98 .928
M±SD: mean±standard deviation
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Table 4.

Paired T-Test's Results of the Object Group

Categories M±SD t P
*p<.05, **p<.01 M±SD: mean±standard deviation
PAT; Parental Attitude Test, SETT; Self-Esteem Test, SEFT; Self-Efficacy Test, SLAT; School Life Adaptation Test
PAT Test 2 - Test 3 171.45±19.38 172.45±19.42 -.237 .721
Test 2 - Test 4 171.45±19.38 181.90±20.42 -2.646 .026*
Test 2 - Test 5 171.45±19.38 176.90±19.15 -2.125 .060
Test 3 - Test 4 172.45±19.42 181.90±20.42 -2.060 .091
Test 4 - Test 5 181.90±20.42 176.90±19.15 1.252 .239
SETT Test 2 - Test 3 170.18±25.10 171.00±23.92 -.276 .929
Test 2 - Test 4 170.18±25.10 180.63±27.31 -3.860 .010**
Test 2 - Test 5 170.18±25.10 180.18±25.74 -2.197 .053
Test 3 - Test 4 171.00±23.92 180.63±27.31 -2.863 .023*
Test 4 - Test 5 180.63±27.31 180.18±25.74 .118 .908
SEFT Test 2 - Test 3 64.09±11.06 67.72±10.93 -1.625 .141
Test 2 - Test 4 64.09±11.06 72.27±14.19 -3.046 .021*
Test 2 - Test 5 64.09±11.06 69.63±10.93 -1.761 .109
Test 3 - Test 4 67.72±10.93 72.27±14.19 -1.538 .055
Test 4 - Test 5 72.27±14.19 69.63±10.93 .798 .443
SLAT Test 2 - Test 3 70.72±6.58 71.54±13.17 -.260 .683
Test 2 - Test 4 70.72±6.58 73.81±8.80 -1.648 .083
Test 2 - Test 5 70.72±6.58 73.54±10.85 -1.633 .134
Test 3 - Test 4 71.54±13.17 73.81±8.80 -.847 .373
Test 4 - Test 5 73.81±8.80 73.54±10.85 .143 .889